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0:06:1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8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161>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경기 일정
}}}
그룹
(10/5)
A조 B조
녹아웃 8강 (10/6)
4강 (10/11)
결승 (10/14)

1. 개요2. 리그별 진출 팀3. 대진 편성4. 경기 진행
4.1. 1경기: Moscow 5 vs Invictus Gaming
4.1.1. 경기 내용
4.1.1.1. 1세트4.1.1.2. 2세트
4.1.2. 총평
4.2. 2경기: Taipei Assassins vs Najin Sword
4.2.1. 경기 내용
4.2.1.1. 1세트4.2.1.2. 2세트
4.2.2. 총평
4.3. 3경기: Team SoloMid vs Azubu Frost
4.3.1. 경기 내용
4.3.1.1. 1세트4.3.1.2. 2세트
4.3.2. 총평
4.4. 4경기: Team WE vs Counter Logic Gaming Europe
4.4.1. 경기 내용
4.5. 눈맵 사건
5. 8강 총평6. 둘러보기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의 8강에 관한 문서이다. 3판 2선승제 싱글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펼쳐지며 승리팀은 4강으로 진출한다.

10월 5일, 로스앤젤레스 LA LIVE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2. 리그별 진출 팀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8강 진출팀
8강 직행 유럽 #1 북미 #1 중국 #1 대만 #1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파일:600px-Team_SoloMid_lightmode.png파일:TSM White.png 파일:WE.webp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M5 TSM WE TPA
그룹 A조 1위 A조 2위 B조 1위 B조 2위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파일:Invictus_Gaminglogo_square.png파일:Invictus_Gaminglogo_square_white.png 파일:Najinswordlogo.png 파일:600px-CLG_Europelogo_square.png
AZF IG NJ SWD CLG.EU

3. 대진 편성

파일:bracket.png

4. 경기 진행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8강 대진표
{{{#!wiki style="margin: -10px -5px"
M5
유럽 #1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2
IG
A조 2위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TPA
대만 #1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2
NJSW
B조 1위
파일:Najinswordlogo.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TSM
북미 #1
파일:600px-Team_SoloMid_lightmode.png파일:TSM White.png
0
AZF
A조 1위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2 }}} {{{#!wiki style="margin: -10px -5px"
8강 4경기 (10/6, 11)
WE
중국 #1
파일:WE.webp
1
CLG
B조 2위
파일:600px-CLG_Europelogo_square.png
2 }}}
연두색: 4강 진출

4.1. 1경기: Moscow 5 vs Invictus Gaming

Moscow 5 Invictus Gaming
파일:300px-Moscow_Fivelogo_square.png 파일:Invictus_Gaminglogo_square.png

4.1.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8강 1경기
(2012-10-6 04:00)
Moscow 5 2 0 Invictus Gaming
- × × -
4강 진출 결과 탈락
4.1.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Moscow 5, redteam=Invictus Gaming
, d_blueban1=마오카이, d_blueban2=알리스타, d_blue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maokai, p_blueban2=alistar, p_blueban3=jayce
, d_redban1=그라가스, d_redban2=누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gragas, p_redban2=nunu, p_redban3=sona
, d_bluepic1=신 짜오,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그모, d_bluepic5=자이라
, p_bluepic1=xinZhao, p_bluepic2=leeSin, p_bluepic3=evelynn, p_bluepic4=kogmaw, p_bluepic5=zyra
, d_redpic1=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쉔, d_redpic3=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yorick, p_redpic2=shen, p_redpic3=cassiopeia, p_redpic4=ezreal, p_redpic5=leona)]

밴/픽

1경기에서는 M5의 알렉스가 관뚜껑을 박차고 뛰쳐나온 이블린을 픽하며 관중들이 환호했고, 그 후 다리엔이 중국 팀 상대로 신 짜오를 가져가는 행보를 보이며 역시 M5의 픽밴은 4차원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IG는 의외로 M5와 라인전에서 유리한 기세를 잡고, 쯔타이가 알렉스 이치 상대로 솔킬을 가져가는 등 혹시 M5마저 아시아에게 무너지는 것이 아니냐는 설레발이 있었지만 M5의 전매특허인 괴물 같은 한타력 앞에 IG가 무너지며 M5가 1경기를 가져갔다. 라인전에서 패해 돈템도 못 갈 정도로 못 큰 다리엔의 짜오가 바론앞 한타에서 패기로 뛰어들어 내지른 궁에 IG의 딜러진들이 아무도 몰래 뒤로 돌아갔던 알렉스 이치의 데파 든 이블린에게 배달되는 장면은 백미.
4.1.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Invictus Gaming, redteam=Moscow 5
, d_blueban1=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그라가스, d_blueban3=누누(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evelynn, p_blueban2=gragas, p_blueban3=nunu
, d_redban1=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yorick, p_redban2=maokai, p_redban3=jayce
, d_bluepic1=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쉔,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알리스타
, p_bluepic1=vladimir, p_bluepic2=shen, p_bluepic3=ryze, p_bluepic4=ezreal, p_bluepic5=alistar
, d_red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리 신, d_redpic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코그모, d_redpic5=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olaf, p_redpic2=leeSin, p_redpic3=zilean, p_redpic4=kogmaw, p_redpic5=sona)]

2경기는 1경기보다 더한 역전극이었는데, IG의 라인스왑 작전이 성공적으로 먹히며 2:1 갱에서 더블킬 따고 승리할 정도로 괴물처럼 커 버린 pdd의 블라디미르에 IG의 승리가 거의 확실시되어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작은 틈조차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M5의 파상공격에 천천히 경기상황이 비등해지기 시작했다. 그 후 여러 번의 한타에서 엎치락뒤치락하는 양상이 나왔으나 결국은 Pdd가 자신이 일으켜 세운 게임을 자신이 하드쓰로잉하면서 M5가 2:0으로 4강에 진출했다. 포인트는 게임 중반부까지만 해도 0킬 4데스로 푸짐하게 똥을 싸던 다리엔의 올라프가 순식간에 8킬을 먹고 자기가 언제 설사했냐는 듯 경기를 캐리하는 모습.

4.1.2. 총평

  • 롤드컵 경기에서 평소의 메타에서는 흔히 보이지 않던 챔피언들이 나오긴 했지만 M5의 경기에서는 신 짜오, 질리언[1] 등 대회에서 생소한 픽들이 난무하며 역시 뉴메타의 산실 M5다운 모습이었다. 유럽의 SK gaming이 허무하게 탈락하고 CLG.EU도 나진 소드에게 압살당하는 모습에 유럽도 아시아 롤과 상대가 되는가? 는 의문이 들었으나, M5는 현재 세계 1위의 명성이 헛되지 않음을 입증하고 4강에 안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IG도 유럽팀 중 가장 공격적인 팀인 M5를 상대로 날카로운 초반 공격세로 여러 번 우위를 점하는 모습을 보이며 중국의 저력을 보였고, 쯔타이와 PDD의 경우는 세계 최고급 라이너들인 알렉스 이치와 다리엔 상대로 라인전에서 지지 않고 자신들의 실력을 과시했지만, M5의 상황별로 최선의 행동을 취하는 사기적 전투력과 중국 팀의 고질적 문제인 뒷심 부족에 발목을 잡히며 탈락하게 되었다.
  • 결혼 후 온라인 경기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팬들을 걱정시키던 알렉스 이치 선수는 1, 2경기 전체에서 한타시 정확한 움직임과 딜링을 보여주며 클래스를 각인시켰으며, 다리엔은 1경기 짜오 픽으로 중국 팀에게 북대륙의 짜장 맛을 보여주고 자신이 싼 똥을 자기가 치우는 기특한 모습을 보이며 역시 S급 탑솔의 미덕은 셀프비데임을 증명했다. 겐자는 코그모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겐자보다는 다이아몬드프록스와 알렉스 이치가 1, 2경기의 MVP였다. IG는 M5에 대해 대비를 해온 듯 1경기때 고수페퍼의 소나누누를 모두 밴했지만 고수페퍼는 자이라를 픽해서 적시적소에 궁을 깔아주는 훌륭한 서포팅을 보였다. [2] 소나가 풀린 2경기에선 소나를 칼픽 후 혈사병 맞고도 앞으로 들이대는 미친 견제와 칼같은 크레센도 각도로 M5 경기를 처음 본 시청자들에게 자신이 S급 서폿임을 각인시켰다. 다이아몬드프록스는 두 경기 모두 리 신을 픽한 후 Q가 빗나가는 모습이 몇 번 보이며 컨디션 안 좋다, 긴장했다는 말이 나왔지만 역시나 아무도 예상치 못한 타이밍의 초반 드래곤으로 팀의 숨통을 트여주고 충분히 초반부터 후반까지 1인분 이상의 존재감으로 'M5의 리 신은 유통기한이 없다'는 속설(?)이 진실임을 보여주었다.[3]

4.2. 2경기: Taipei Assassins vs Najin Sword

Taipei Assassins Najin Sword
파일:300px-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4.2.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8강 2경기
(2012-10-6 06:20)
Taipei Assassins 2 0 Najin Sword
- × × -
4강 진출 결과 탈락
4.2.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Taipei Assassins, redteam=Najin Sword
, d_blueban1=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마오카이, d_blueban3=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evelynn, p_blueban2=maokai, p_blueban3=sona
, d_redban1=블리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카서스
, p_redban1=vladimir, p_redban2=morgana, p_redban3=karthus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문도 박사,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그모, d_bluepic5=누누(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DrMundo, p_bluepic3=orianna, p_bluepic4=kogmaw, p_bluepic5=nunu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스카너, d_redpic3=라이즈,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타릭(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skarner, p_redpic3=ryze, p_redpic4=ezreal, p_redpic5=taric)]
밴/픽
4.2.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Najin Sword, redteam=Taipei Assassins
, d_blueban1=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코그모, d_blueban3=카서스
, p_blueban1=vladimir, p_blueban2=kogmaw, p_blueban3=karthus
, d_redban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이블린(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jayce, p_redban2=evelynn, p_redban3=orianna
, d_blue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마오카이, d_bluepic3=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x, p_bluepic2=maokai, p_bluepic3=morgana, p_bluepic4=corki, p_bluepic5=sona
, d_redpic1=쉔, d_redpic2=스카너, d_redpic3=애니비아,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shen, p_redpic2=skarner, p_redpic3=anivia, p_redpic4=ezreal, p_redpic5=blitzcrank)]

밴/픽

4.2.2. 총평

  • TPA는 배틀로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나진은 상승세를 타고 있었기 때문에 국내 중계진에서도 맛집 타령을 할 정도로 나진의 완승을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TPA는 챔피언 선택 폭이 넓은 막눈을 봉쇄하기보다는 미드와 바텀을 견제하기 위한 밴픽을 하는 등 나진을 연구한 티가 났으며 적절한 플레이로 라인전을 압도하고 다수의 킬을 가져가거나 먼저 다수의 타워를 파괴하며 예상보다 훨씬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1, 2경기를 압승한다.
  • 반면 나진은 쏭과 카인의 좁은 챔피언 선택 폭을 극복하지 못했으며 이는 1경기의 미드 라인의 부진과 2경기 밴픽에서 카서스를 밴하고 1픽이 소나를 가져오는 모습으로 여실히 드러나고 말았다. 여기에 와치의 정글링 및 갱킹 능력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되면서 신생 팀으로서 당연히 가지고 있을 각종 문제가 대회에서 터져버린 형국이 됐다. 특히 와치는 이후 벌어진 프로스트의 경기에서 클템의 스카너가 보여준 활약 덕분에 더욱 비교가 된다. 또한 프레이도 한국 롤드컵 예선에서 보여준 모습과는 다르게 라인전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이기는 라인전이 탑일뿐인데도 와치가 적절하게 시팅을 못해주면서 무난하게 지는 형세가 나왔다. [4]
  • 사실 여태까지의 나진 소드는 항상 신생 팀의 위치에서 다른 팀에게 도전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입장이 CLG.EU를 무너뜨리며 정점에 이르렀지만, 그 다음에 기다린 것은 도전자의 자세로 완벽하게 연구해온 TPA에게 강자로서의 넓이와 깊이를 보여주는 것이었고,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활용가능한 경기 스타일과 챔프의 폭이 좁은 것은 도전자로서는 별 문제가 안되지만, 변수가 많은 토너먼트 형식에서 이처럼 도전받는 상태에서는 그만큼 불리한 것도 없었다.[5] 앞으로는 팀의 명성이 대단해진 만큼 더욱더 팀 스타일이 연구가 될 것이므로 선택 챔피언과 전략, 전술의 폭을 넓히는 게 중요할 듯싶다.[6] 무엇보다 아직도 한창 성장 중인 신생 팀이니 가능성이 많다. 이후 TPA가 4강과 결승 모두 압도적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나진은 그저 대진운이 나빴을 뿐이라는 의견이 주류가 되었다.

4.3. 3경기: Team SoloMid vs Azubu Frost

Team SoloMid Azubu Frost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600px-Team_SoloMidlogo_square.png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4.3.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8강 3경기
(2012-10-6 10:00)
Team SoloMid 0 2 Azubu Frost
× × - -
탈락 결과 4강 진출
4.3.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Team SoloMid, redteam=Azubu Frost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애니비아, d_blueban3=쉔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anivia, p_blueban3=shen
, d_redban1=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요릭, d_redban3=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orianna, p_redban2=yorick, p_redban3=vladimir
, d_bluepic1=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쉬바나, d_bluepic3=카서스,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소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darius, p_bluepic2=shyvana, p_bluepic3=karthus, p_bluepic4=ezreal, p_bluepic5=sona
, d_red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jayce, p_redpic2=maokai, p_redpic3=lux,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blitzcrank)]

1경기는 무난하게 프로스트의 컨셉이었던 포킹 조합에 특히 샤이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예선전에서의 깜짝 신지드처럼, 챔피언스 섬머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던 제이스를 멋지게 사용하면서 탑 다리우스를 압살해버리고 팀 파이트에서도 포킹을 통해 덤비지 못할 정도로 체력을 깎아버리면서 이제까지 지적받은 문제점들을 한 방에 날려버렸다. 경기 자체는 무난하게 프로스트가 이겼지만 돈 차이는 나도 한타력은 장담할 수 없었기에 죽어라 한타를 시작하려는 TSM과 죽어도 한타를 이긴다는 확신이 안 들기까지는 안하려는 프로스트의 모습이 관전포인트였다. 특히 돈 차이는 나더라도 카옥스의 이즈리얼이 건웅의 미포보다 더욱 강력하게 컸었기에 한타 자체는 몇 번 TSM의 우세로 끝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프로스트의 포킹조합에 결국 TSM이 무너지면서 1경기는 프로스트의 승리로 끝났다. 김동준 해설은 "어째서 제이스 상대로 다리우스를 가져간 건지 이해할 수 없다"[7]라고 입장을 밝혔으며 전용준 캐스터는 자주 죽는 다리우스를 가리키며 "다리우스가 제철이라 잘 먹어줘야 한다"라는 드립을 날렸다. 인벤에서 해설하던 라일락 역시 "다리우스로는 죽어도 제이스를 이길 수 없다"라며 다이러스의 다리우스 픽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다만 다이러스의 AMA에 의하면 제이스 상대로 다리우스가 버틸수는 있었고 쉬바나 갱킹에서 2대2에 더 강력한 점을 이용해서 우세를 가져가려고 했다고 의견을 말했다. 또한 카서스의 벽과 다리우스의 끌어오기를 이용한 강제 이니시에팅 효과로 득을 보려고 하였으나 크게 득을 보지는 못하였다.
4.3.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Azubu Frost, redteam=Team SoloMid
, d_blueban1=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orianna, p_blueban2=yorick, p_blueban3=katarina
, d_redban1=알리스타, d_redban2=애니비아, d_redban3=쉔
, p_redban1=alistar, p_redban2=anivia, p_redban3=shen
, d_bluepic1=이렐리아, d_bluepic2=스카너, d_bluepic3=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타릭(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irelia, p_bluepic2=skarner, p_bluepic3=vladimir, p_bluepic4=ezreal, p_bluepic5=taric
, d_red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카서스, d_redpic4=그레이브즈,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jayce, p_redpic2=maokai, p_redpic3=karthus, p_redpic4=graves, p_redpic5=blitzcrank)]

2경기는 블루 스틸을 당하면서 퍼스트 킬을 내주고, 골드 차이도 3천 이상 벌어지고, 타워도 먼저 밀리는 등 어려운 양상을 보였기 때문에 3경기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클템의 스카너가 바텀의 갱킹을 성공하면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 이후 한타에서도 승리를 거둬내고 무난한 바론 사냥으로 경기를 끝낸다. [8] 이로서 북미의 LOL 프로팀은 전멸하고 말았으며, 나진 소드의 와치는 클템과 같은 스카너를 골라놓고 경기 양상이 전혀 다르게 돌아갔기 때문에 비교되고 있다.

4.3.2. 총평

  • 이번 경기들에서는 레지날드가 카서스를 픽하면서 빠른별과 파밍에서도 라인전에서 밀리지않고 매서운 벽과 이니시에이팅 등으로 TSM의 구멍이라는 오명을 벗었으며 봇 라인 또한 프로스트 봇 라인 상대로 우세하게 이끌어갔었으나 다이러스가 샤이에게 밀리면서 점점 무너져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4. 4경기: Team WE vs Counter Logic Gaming Europe

Team WE Counter Logic Gaming Europe
파일:WE.webp 파일:600px-CLG_Europelogo_square.png

4.4.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8강 4경기
(2012-10-7 04:00)
Team WE 1 2 Counter Logic Gaming Europe
× × ×
탈락 결과 4강 진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세트 다전제 동안 무려 4번이나 방송 송출이 중단되어 재경기를 3번이나 진행한 역대급 사건 사고가 터진 바람에 4경기만 문서가 분리되었다.

4.5. 눈맵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8강 총평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4강 진출팀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vs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M5 TPA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vs 파일:600px-CLG_Europelogo_square.png
AZF CLG.EU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8강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10602, #220401, #120200)"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


[1] 좀더 정확히 정의하자면 질리언은 대회에서는 생소한 픽이나 알렉스 이치의 질리언은 자주 애용되는 픽이다. 질리언의 유틸리티 능력을 좋아하는 알렉스 이치는 공식 경기에서 질리언을 구사하는 거의 유일한 미드 라이너다.[2] 1경기에선 고수페퍼가 킬도 안 먹고 버프도 제대로 리쉬해주어서 M5를 알던 사람들을 경악시켰지만 2경기에선 봇듀오가 위험에 처하자 즉각 적들에게 겐자를 던져주고 자기만 도망가는 플레이로 역시 도수페퍼!란 찬양(?)이 난무했다.[3] RQQ 콤보에 딜레이가 없었다![4] 클템이 전날 해설하면서 '와치는 매우 성장이 빠르고 가능성이 많은 정글러이다. 하지만 아직...(부족하다)라는 말을 했는데 과연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 전자두뇌 오오오.[5] 스타크래프트에서 스타일이 확실한 스타일리스트가 우승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하다.[6] M5가 괜히 최고란 소리를 듣는 게 아니다. 밴이나 저격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운영의 넓이 때문.[7] 제이스는 원거리 견제도 가능한 데다가 다리우스가 포획을 써도 천둥 강타와 관문을 통해서 거리를 벌릴 수 있다.[8] 클템과 매드라이프는 이번 대회에서 정글러와 서폿이라는 메인라인보다 아무래도 인기가 덜한 포지션으로 하드캐리를 밥먹듯이 보여주며 주가를 더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