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루이스 해밀턴|루이스 해밀턴]]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루이스 해밀턴/선수 경력|루이스 해밀턴/선수 경력]]
<nopad>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5R) 현재 7위 |
루이스 해밀턴 2025 시즌 | |
| |
<colbgcolor=#d40000><colcolor=#fff>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스쿠데리아 페라리 HP |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 | 0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1] | 0회 |
해트트릭[2] | 0회 |
폴 투 윈 | 0회 |
총점 | 31점 |
평균 스타팅 그리드[3] | 7.4위 |
평균 완주 순위[4] | 7.25위 |
1. 개요2. 프리 시즌3. 시즌 상세
3.1. 전반기
4. 시즌 총평3.1.1. 1R: 호주 그랑프리3.1.2. 2R: 중국 그랑프리3.1.3. 3R: 일본 그랑프리3.1.4. 4R: 바레인 그랑프리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3.1.8. 8R: 모나코 그랑프리3.1.9. 9R: 스페인 그랑프리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3.1.12. 12R: 영국 그랑프리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1. 개요
루이스 해밀턴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해밀턴이 페라리 소속으로 참가하는 1번째 시즌이자 F1 참가 19번째 시즌이다.2. 프리 시즌
새로운 팀에서 맞이하는 첫 시즌이다. 새로운 팀메이트로 샤를 르클레르를 맞이하여 페라리에서의 우승을 위해 도전한다.1월 20일에 해밀턴은 페라리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페라리 레이스 카의 움직임을 미리 이해할 예정이며, 같은 달 22일에는 피오라노 서킷에서 3년 전 페라리 레이스 카였던 페라리 F1-75와 2년 전 레이스 카인 페라리 SF-23을 주행함으로써 처음으로 페라리 F1 레이스 카를 몰 예정이다.
|
1월 22일 오전에 SF-23에 탑승한 뒤 피오라노 서킷을 주행하며 처음으로 페라리 레이스 카를 몰았다. 이후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으로 이동하여 2026년형 피렐리 타이어 테스트를 위해 또 한번 주행을 하였다. 레이스 카를 경미하게 파손시킬 정도로 벽에 충돌해 적색기를 발령시켰으나, 페라리에서는 크게 개의치 않았다고 이야기하였다.
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해밀턴의 페라리 소속 첫 퀄리파잉의 결과는 8위로 마감되었다. 기온이 낮아진 Q2 후반부터 레이스 카의 조종성이 나빠지며 르클레르와 함께 고군분투하였고, 결과적으로 낮은 순위를 받아들여야 했다. 해밀턴은 아직 레이스 카에 적응이 필요하다며 시간이 더 주어질 필요가 있음을 피력하였다.빗길 속에서 치러진 레이스에선 스타트 직후 샤를 르클레르와의 접촉을 피하려다 순위 상승에 실패해 8위에 머물렀다. 30여랩을 알렉산더 알본에 묶인 채 레이스를 이어나갔고, 동시에 레이스 엔지니어인 리카르도 아다미와는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5] 이후 레이스 최후반부에 소나기가 내리는 상황에서 페라리 피트월이 르클레르와 해밀턴을 슬릭 타이어로 트랙에 머무르게 하는 전략을 선보이며 해밀턴은 10위까지 떨어지고 말았다. 이후 앞서 있는 피에르 가슬리의 실수로 9위까지 올랐으나, 뒤떨어졌던 오스카 피아스트리에게 마지막 랩 10번 코너에서 추월당해 페라리 데뷔전을 10위로 마쳤다.
레이스 종료 후 해밀턴은 리카르도 아다미의 도움도 많이 받고 있다며 오늘 보여진 문제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였다.
3.1.2. 2R: 중국 그랑프리
파일:25중국 해밀턴 스프린트 폴.jpg |
다음 날 펼쳐진 스프린트에서는 훌륭한 스타트를 보이며 베르스타펜의 추월 시도를 방어해 냈고, 이후 시종일관 안정적인 페이스를 보이며 여유롭게 스프린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해밀턴의 통산 첫 스프린트 우승이다.[7][8]
퀄리파잉에서는 SQ에서의 기록과 비슷한 시간대의 기록(1분 30초 927)을 작성했으나, 다른 팀들의 페이스가 SQ 대비 더 올라간 탓에 5위에 그쳤다.
레이스에서는 스타트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베르스타펜을 추월해 4위로 올라왔다. 그러나 이후 좋은 페이스를 보여주지 못했고, 오히려 본인과 충돌해 프런트 윙 엔드플레이트가 손상된 샤를 르클레르가 더 좋은 페이스를 보이자 직접 스왑을 요청해 한 계단 내려온 5위에서 달리게 되었다.[9] 레이스 막판 베르스타펜이 무섭게 압박을 가하자 두 번째 피트 스탑을 통해 언더컷을 시도했지만, 베르스타펜은 르클레르를 추월해 4위까지 순위를 올렸고 해밀턴도 더 이상 순위를 올리지 못한 채 6위로 피니시했다.
|
르클레르, 해밀턴, 가슬리 실격 |
3.1.3. 3R: 일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 레이싱 불스의 아이작 하자르보다 낮은 8위를 기록해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레이스에서는 하드 타이어로 시작하여 초반부터 하자르를 추월해 7위로 올라섰다. 이후 첫 스틴트를 오래 끌고 가려 했으나 생각보다 하드 타이어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31랩 째에 미디엄 타이어로 교체한 뒤 7위로 완주하였다.
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 9위를 기록하며 크게 부진했다. 이후 인터뷰에서 낙담한 모습을 보이며 팀원들과 티포시들에게 사과했다.레이스에서는 톱10에선 샤를 르클레르와 함께 유이하게 미디엄 스타트를 하였고, 2스톱 전략 수행 과정에서 2번째 스틴트에서 여러 차례 추월쇼를 하며 5위까지 올라섰다. 이후 SC 상황에서 하드 타이어로 교체하였고, 레이스 재개 직후 기습적으로 랜도 노리스를 1번 코너 바깥쪽으로 추월하여 4위까지 올라섰다. 그러나 하드 타이어가 저열한 성능을 내며 곧바로 노리스에게 추격당했고, 얼마 못가 추월을 허용해 5위로 완주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엔 여러 차례 좋은 추월 장면을 선보인 덕에 DOTD에 선정되었다.
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가까스로 Q3에 진출했으며[10], 팀메이트 샤를 르클레르보다 0.531초 느린 P7을 기록하였다. 자신이 대체한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보다 느린 기록을 보였으며 퀄리파잉 종료 후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부진을 자책하며 팀과 팬들에게 사과하였다.레이스에서는 큰 사건 없이 7위로 그대로 체커드 플래그를 받았다. 그래도 레이스 중반 랜도 노리스와 엎치락 뒤치락하는 장면은 팬들 눈에 즐거운 순간을 선사하였다. 팀메이트 샤를 르클레르가 페라리에 시즌 첫 포디움을 가져와준 것을 생각하면 아쉬움이 있는 기록이다.
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사우디 아라비아 그랑프리와 마찬가지로 어려운 주말이 될 것이라고 인터뷰했다.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는 7그리드를 얻게 되었다. 비가 많이 내려 트랙이 미끄러운 상황에서 팀메이트인 샤를 르클레르가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로 정찰랩을 돌다 사고를 내며 DNS를 한 악재가 겹쳤다. 해밀턴은 최악의 트랙 상황에 웻 타이어가 아닌 인터미디어트를 끼운 팀에 아쉬움을 표했다. 스프린트 특성상 많은 추월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였으나...트랙 상황이 좋지 않아 미뤄진 스프린트에서 다른 상위권 드라이버들보다 한 랩 일찍 피트인하며
퀄리파잉에서는 충격의 Q2 탈락을 하며 전날의 좋은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나가지는 못하였다. 레이스에서는 VSC이상황에 피트인하며 약간의 이득을 얻었고, 하드를 낀 샤를 르클레르와 미디엄을 낀 본인 사이의 스왑을 팀에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약간의 언쟁이 오갔고, 결국 키미 안토넬리를 잡을 정도의 페이스가 되지 않자 다시 스왑했다. 마지막 랩에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에게 추월을 허용할 뻔 했지만 막아내며 P8으로 마무리한다.
레이스 결과와는 별개로 윌리엄스에도 밀리는 페이스를 페라리가 보여주며 비상에 걸린 상황이다.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3]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4] 리타이어, 실격 경기 제외[5] 아다미가 지속적으로 오버테이크 버튼인 K1 버튼을 누르라고 주문하자, 해밀턴은 "내가 알아서 하겠다"며 짜증이 난 듯한 모습을 보였다.#[6] 또한 이번 스프린트 퀄리파잉을 통해 해밀턴은 기존에 세바스티안 베텔이 가지고 있었던 트랙 레코드(1분 31초 095)를 경신하였다(1분 30초 849). 그랑프리 개최 전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는 전면적인 재포장이 있었고 이것이 기록 경신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다음 날 퀄리파잉에서 폴 포지션을 따낸 오스카 피아스트리에 의해 트랙 레코드가 다시 경신되었다(1분 30초 641).[7] 팀메이트였던 발테리 보타스와 조지 러셀도 스프린트 우승 경험이 있지만 정작 해밀턴은 처음이다.[8] 또한 2021년 스프린트 레이스 도입 이후 페라리의 첫 스프린트 우승이기도 하다.[9] 프런트 윙 엔드플레이트가 손상돼 공기역학적 성능에 이점을 가져왔다는 분석이 있다. 그러나 레이스 종료 후 밝혀진 사실에 의하면, 해밀턴은 바터밍 이슈로 인해 레이스 내내 플로어가 트랙 표면에 긁히는 상황에서 주행을 했던 것이어서 르클레르보다 페이스가 좋게 나오지 못한 것이었다. 방송에 송출된 팀 라디오만 들은 팬들은 페라리가 두 드라이버의 페이스를 비교한 후 스왑 오더를 내렸다고 알고 있었기에, 페라리의 팀장 프레데릭 바쇠르는 이러한 악마의 편집에 대해 FIA에 정식으로 항의하겠다고 밝혔다.[10] Q2에서 11위인 알렉산더 알본보다 0.007초 빠른 기록으로 Q3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