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원뮤지컬컴퍼니 제작
<colbgcolor=#1d1840><colcolor=#e0c66a> | |
<nopad> | |
제작 | <colbgcolor=#ffffff,#1c1d1f> |
작•작사 | 추정화 |
작곡 | 허수현 |
음향 디자인 | 송선혁 |
공연장 | 초연: JTN아트홀 1관 재연: 드림아트센터 1관 삼연: 대학로 TOM 1관 사연: 예스24 스테이지 1관 |
공연 기간 | 초연: 2018.11.27 ~ 2019.01.27 재연: 2019.04.09 ~ 2019.06.30 삼연: 2020.06.30 ~ 2020.09.27 사연: 2022.12.20 ~ 2023.03.12 |
관람 시간 | 110분 |
공식 계정 |
1. 개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주인공으로 만든 창작 뮤지컬이다.베토벤의 아동기와 청년기, 중장년기를 고루 다루지만, 베토벤 전기는 아니다. 베토벤과 우정을 나눈 가상 인물 마리를 통해 청력 상실 과정과 음악적 완고함, 부성애를 섬세하게 표현했다. 조카 카를을 향한 베토벤의 집착을 다뤘는데 실제로도 그러했었다. 마리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에서 베토벤은 “아이는 키우는 것이 아닌 자라는 것”이라며 ‘내려놓음’을 통찰한다.
무대는 두 대의 피아노와 테이블 하나, 기하학적 액자 프레임이 전부다. 아역부터 청년, 중년을 연기하는 배우들이 베토벤 넘버 일부를 직접 연주하며 트라우마를 토해낸다.
2. 시놉시스
얼마 남지 않은 생을 앞두고 쓰여진 베토벤의 편지 한 통. 그리고 그 편지가 한 여자 앞으로 전달된다.
청력을 잃고 좌절의 늪에 빠져 있던 청년 베토벤이 죽음을 마주하고 있던 바로 그날 밤.
세차게 내리치는 폭풍 소리와 함께 낯선 여자 마리가 어린 소년 발터를 데리고 무작정 찾아와 그에게 발터의 피아노 선생님이 되어 달라 청한다.
망가진 청력, 나락으로 떨어진 자괴감에 베토벤은 그녀의 제안을 완강히 거부하고, 마리는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했던 그에게, 또 다른 세상의 문을 열어두고 떠난다.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인연을 마주한 베토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또 다른 비극의 시작이 되는데
출처: 인터파크 소개 페이지
청력을 잃고 좌절의 늪에 빠져 있던 청년 베토벤이 죽음을 마주하고 있던 바로 그날 밤.
세차게 내리치는 폭풍 소리와 함께 낯선 여자 마리가 어린 소년 발터를 데리고 무작정 찾아와 그에게 발터의 피아노 선생님이 되어 달라 청한다.
망가진 청력, 나락으로 떨어진 자괴감에 베토벤은 그녀의 제안을 완강히 거부하고, 마리는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했던 그에게, 또 다른 세상의 문을 열어두고 떠난다.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인연을 마주한 베토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또 다른 비극의 시작이 되는데
출처: 인터파크 소개 페이지
3. 넘버
- 2020년 삼연 기준으로 작성됐다.
2. 다락방의 피아노: 루드윅, 어린 루드윅
3. Work: 루드윅, 청년 루드윅
4. 상실: 루드윅, 청년 루드윅
5. 시련: 루드윅, 청년 루드윅
6. 세상을 넘어 꿈을 향해: 루드윅, 청년 루드윅, 마리, 발터
7. 재능: 루드윅, 청년 루드윅, 마리, 발터
8. 제발: 청년 루드윅
9. 운명: 루드윅, 청년 루드윅
10. 루드윅: 루드윅, 어린 카를
11. Lesson: 루드윅, 어린 카를
12. 난 뭘까?: 루드윅, 카를
13. 나의 옷: 루드윅, 마리
14. 사랑: 루드윅, 카를, 마리
15. 사랑 Reprise: 루드윅, 마리
16. 넌 나의 미래: 루드윅, 카를
17. 피아노: 루드윅, 마리
18. 모두 기억할 당신의 음악: 마리
19. Epilogue
4. 캐스팅
4.1. 2018년 초연
4.2. 2019년 재연
4.3. 2020년 삼연
- 루드윅: 서범석, 김주호, 테이, 박유덕
- 청년: 양지원, 김준영, 박준휘, 조환지
- 마리: 김소향, 이은율, 김지유, 김수연
- 발터 외: 차성제[3], 백건우, 함희수[4]
- 피아니스트: 이범재, 이동연
4.4. 2022년 사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5px; border-radius: 0 0 8px 8px; background: #1d184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 color: #e0c66a; min-width: 2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0" | | |
루드윅 | 김주호 | 루드윅 | 박민성 | |
| | |
루드윅 | 테이 | 루드윅 | 백인태 | |
| | |
청년 | 김준영 | 청년 | 정재환 | |
| | |
청년 | 조훈 | 청년 | 임세준 | |
| | |
마리 | 이은율 | 마리 | 이지연 | |
| | |
마리 | 유소리 | 발터 | 김시훈 | |
| | |
발터 | 박이든 | 피아니스트 | 양찬영 | |
| | |
피아니스트 | 조재철 | 피아니스트 | 크리스 영 | }}}}}}}}}}}} |
5. 재관람 혜택
초연 환희 카드 | |||
4회 적립 전석 30% 할인권 1매 | 7회 적립 전석 40% 할인권 1매 + 포토카드 랜덤 3종 | 10회 적립 전석 50% 할인권 + 포토카드 랜덤 5종 | 12회 적립 초대권 1매 OR 메시지 카드 1장 |
재연 환희 카드 | |||
3회 적립 포토카드 1세트 | 6회 적립 R석 40% 할인권 1매 | 9회 적립 R석 50% 할인권 1매 | 12회 적립 R석 예매권 1매 + 포토북 |
삼연 환희 카드 | ||
3회 적립 할인권 1매 (R,S석 40%) | 6회 적립 전 캐릭터 미공개 포토카드 세트 | 9회 적립 포토북 + 지정 폴라로이드 |
재연 환희 카드 | ||
3회 적립 40% 할인권 | 6회 적립 50% 할인권 | 9회 적립 지정 폴라로이드 + MINI 실황 OST |
6. 여담
- 극중 발터가 청년 루드윅을 방문해 피아노를 치는 장면이 있는데, 핸드싱크가 아니라 아역 배우가 실제로 연주한다. 예외로 재연에서 이시목 배우는 키가 작아 페달이 발에 닿지 않는 바람에 핸드싱크로 진행했다. 곡은 발터를 연기하는 배우마다 달랐으며 삼연 기준 월광 소나타 3악장(차성제), 템페스트 3악장(백건우), 비창 소나타 1악장(함희수)을 들을 수 있었다. 김주호 배우의 경우 이 점을 살려, 해당 장면 이후 청년 카를이 마리를 처음 만나는 씬에서 굳이 콕 집어 그 날의 발터가 연주했던 곡을 쳐보자고 외치는 모습을 연출하고는 했다. 폭발하는 비극성은 덤.
- 마찬가지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주인공으로 만든 EMK뮤지컬컴퍼니의 대극장 창작 뮤지컬, 베토벤이 2023년 1월 12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개막한다. 물론 두 작품은 주인공이 같아도 묘사하는 시점이 다르므로 등장인물조차도 베토벤 외에 서로 겹치지 않는다.
- 2023.01.11 밤 공연 중 피아니스트를 보고 있었다는 이유로, 한 관객이 주의와 협박성 행동을 하였다고 한다.
7. 둘러보기
추정화 작/각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3 | 달을 품은 슈퍼맨 | |
2016 | 은밀하게 위대하게 | |
인터뷰 | ||
2017 | 스모크 | |
원스어폰어타임 인 해운대 | ||
2018 |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 |
2019 | 블루레인 | |
2022 | 프리다 | |
2024 | 4월은 너의 거짓말 | |
시지프스 |
허수현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0 | 태양의 노래 | |
2013 | 달을 품은 슈퍼맨 | |
아가사 | ||
2016 | 은밀하게 위대하게 | |
인터뷰 | ||
스모크 | ||
로미오와 줄리엣 | ||
2017 | 원스어폰어타임 인 해운대 | |
2018 | 돌아서서 떠나라 | |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 ||
2019 | 더 캐슬 | |
블루레인 | ||
2020 | 또! 오해영 | |
2021 | 칠칠 | |
2022 | 프리다 | |
2023 | 보이체크 인 더 다크 | |
포쉬 | ||
2024 | 시지프스 | |
카포네 밀크 | ||
2025 | 아나키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