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트로퓨처리즘 Retrofuturism | |
| |
| |
영화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
1. 개요
| |
1960년대식 레트로퓨처리즘의 예시 이미지 | 1980년대식 레트로퓨처리즘의 예시 이미지 |
레트로퓨처리즘(Retrofuturism), 또는 복고미래주의(復古未來主義)는 1960년대 이전의 시대상을 기준으로 당대 사람들이 상상한 미래상을 현재의 관점에서 지칭하는 개념이다. '20세기 사람들이 생각했던 100년 뒤의 미래'나 꿈의 70년대 미군과 같은 주제로 요약된다. 흔히 레트로퓨처리즘으로 칭하는 스타일은 1950년대 ~ 1960년대가 중심이 되는데, 이는 1960년대를 주요 모티브로 삼는 펑크 장르 중 하나인 아톰펑크와 유사성이 많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핵의 강조라는 테마를 제외하면 두 개념을 동일한 갈래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다.
현재는 1960년대 이전까지만 지칭하던 뜻이 확장되어 20세기 스타일을 기반으로 미래주의적 표현을 하면 전부 레트로퓨처리즘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다만, 레트로퓨처리즘은 특정 시대상을 특정하는 단어가 아닌 단순히 복고적 미래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일 뿐 스팀펑크나 카세트 퓨처리즘 같은 펑크 장르의 용어와 동의어는 아니므로 구분해야 한다.
당대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이들이 그렸던 미래상은 실제 역사가 전개되는 방향과는 상이했는데, 우주도시나 날아다니는 자동차와 같이 현재에도 공상의 영역으로 남아있거나 보편화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 반면, 인터넷과 스마트폰처럼 보편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복잡하게 발달한 요소도 있으며, 자동 전축과 같이 개발의 필요성이 사라지거나 더 좋은 대안이 제시되면서 실현되지 않은 것도 있다. 물론 미래에도 현대에 예상한 여러 것들이 복고미래주의의 요소로 취급될 것이다.
과거부터 비교적 최근까지 공상과학 장르들에서 매우 자주 나타나는 경향은 기계공학/생명공학은 당대 기술 수준을 아득히 초월하는 기술로 나오지만 정보통신/컴퓨터 기술은 당대 기술에서 크게 나아가지 않은 경우가 많다. 기계공학/생명공학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속도보다 IT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속도가 비교가 안되게 빠르기 때문이다.
2. 복고미래주의의 영향
복고미래주의적 아이디어들은 이후 여러 펑크 장르들의 탄생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또한 현실이 작중에서 그린 시대보다 앞서 나가게 됨에 따라 발생하게 된 현실과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서, 스타트렉이나 사이버펑크 시리즈, 마크로스 시리즈 등의 사례와 같이 대체역사물 요소를 가미하여 현실과는 다른 역사가 진행된 평행우주임을 명시하게 된 SF 작품들도 늘게 되었다. 세월이 흘러서 그 시대가 왔는데 작품에서 그린 정도의 기술이 현실에서 실현되지 않으면 결국 시대적으로 어색하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되므로 이러한 현실과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체역사물 요소의 가미와 평행우주 설정이 들어가게 될 수밖에 없기도 하다. 이런 복고미래주의 개념은 대중문화가 급속히 확장된 21세기 이후 펑크 장르의 세분화와 맞물려 과거의 시대상을 분류하는 관점에서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2020년대 들어서는 슈퍼히어로 영화 계통에서 레트로퓨처리즘 미학이 시도되고 있는데, 매너리즘을 탈피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그 중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은 레트로퓨처리즘 미학을 잘 살려내어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레트로퓨처리즘 개념이 재조명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3. 레트로퓨처리즘 미학을 차용한 작품들
- 상당수의 SF 펑크 작품군들: 펑크 장르 자체가 특정 시대상의 기술이 극도로 발전한 세계를 가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장르이므로 과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장르들은 복고미래주의적 성격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 슈퍼히어로 영화
- 애스터로이드 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