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트링 목록 | |
{{{#!wiki style="margin: 0 -0px -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진영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91919> |
[[미셸(스트리노바)| 미셸 노부나가 코코나 이베트 플라비아 유기리 레오나 치요 | |
[[밍(스트리노바)| 밍 라비네 메레디스 카나미 레이이치 아이카 프라그란스 마라 | |
[[미리내(스트리노바)| 미리내 오드리 바이모 마들렌 퓨시아 갈라테아 |
- [ 역할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or=#fff><width=640px>||
_타격대
[[밍(스트리노바)|]][[바이모(스트리노바)|
밍]][[퓨시아(스트리노바)|
바이모]][[플라비아(스트리노바)|
퓨시아]][[아이카(스트리노바)|
플라비아]][[마라(스트리노바)|
아이카]][[치요(스트리노바)|
마라]]
치요_척후대
[[라비네(스트리노바)|]][[카나미(스트리노바)|
라비네]][[갈라테아(스트리노바)|
카나미]]
갈라테아_수호자
[[미셸(스트리노바)|]][[노부나가(스트리노바)|
미셸]][[레오나(스트리노바)|
노부나가]][[오드리(스트리노바)|
레오나]]
오드리_전략가
[[이베트|]][[메레디스(스트리노바)|
이베트]][[레이이치(스트리노바)|
메레디스]][[마들렌(스트리노바)|
레이이치]][[유기리(스트리노바)|
마들렌]]
유기리_지원가
[[코코나(스트리노바)|]][[미리내(스트리노바)|
코코나]][[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미리내]]
프라그란스
| |
"전장이든 일상이든, 안전한 장소가 필요하다면 맡겨만 줘." | |
레오나 Leona | 蕾欧娜 | レオナ 길의 초석 PUS 건축 엔지니어링부의 부장, 신중하고 세심하며 동료들의 깊은 신뢰를 받습니다. | |
<colbgcolor=#4172E0,#000000><colcolor=#ffffff> 성별 | 성 |
키 | 168cm |
생일 | 9월 10일 |
나이 | 25세 |
활동 구역 | 스트리안 드래그윈드 |
무기 | 기관총 |
성우 |
히카사 요코
■■ |
1. 개요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나는 PUS 건축부 부장, 레오나. 잘해보자."
"I'm Leona, head of the P.U.S Engineering Department, looking forward to working with you."
PUS 건축 엔지니어링부의 부장, 신중하고 세심하며 동료들의 깊은 신뢰를 받습니다.
"I'm Leona, head of the P.U.S Engineering Department, looking forward to working with you."
PUS 건축 엔지니어링부의 부장, 신중하고 세심하며 동료들의 깊은 신뢰를 받습니다.
《스트리노바》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2. 소개
3. 무기
조준기 기관총 |
|
높은 파괴력과 안정적인 성능을 지니고 있는 다목적 기관총. 고대 지구의 수많은 전장에서 사용되었으며 1.25배율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
외형적으로 가장 가까운 실존 총기는 방아쇠 앞에 드럼탄창이 수직 방향으로 바로 장착되어 장전하는 것으로 보아 울티맥스 100 계열로 보인다.
무기 분류는 명백히 기관총이지만 같은 기관총을 사용하는 오드리의 무기와는 아예 정 반대의 특징을 가졌으며, 실제로 써보면 단순히 기관총이라기보단 돌격소총과 기관단총, 기관총의 특징을 적절히 합쳐놓은 것이라고 느끼게 된다. 지향 및 견착 사격 명중률은 기관단총 저리가라 할 수준으로 높고 반동은 다른 연사 무기의 1/3 수준으로 거의 없다고 봐도 되는 수준이며[1],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무기 분류상 기관총이라 탄창은 60발이나 되어 스트링화로 탄을 빼고 재장전을 유도하는 전법이 거의 안 먹힌다. 또한 단발 데미지도 제법 강하고 거리 비례 피해량 감소도 그다지 크지 않다. 대신에 아무리 특이하더라도 결국은 기관총이기에 장전 속도가 매우 느리고, 연사속도 또한 대부분의 연사화기에 비해 많이 느린 편이라 DPS 자체는 그다지 높지는 않다. 그러한 애매한 화력을 독보적인 명중률과 무반동수준의 안정성으로 커버하는 무기.
성능과는 관계없지만, 소음기가 달려있어서 발사음이 다른 무기에 비해 작다.
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스트링 배리어(Kinetic Barrier)
스트링 배리어 액티브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레오나가 지정된 구역에 두 각도의 엄폐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엄폐물 생성은 스킬 포인트와 스트링 에너지를 소모하며, 동시에 최대 16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쿨타임 20초|충전량 최대치 10개 | 엄폐물 HP 550 |
"스트링 에너지 엄폐물 생성!"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쿨타임 완료 시
"엄폐물은 이곳에 설치할게"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발동 시
"방어 시설을 구축하는 중이야"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발동 시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쿨타임 완료 시
"엄폐물은 이곳에 설치할게"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발동 시
"방어 시설을 구축하는 중이야"
"일본어 대사"
- 액티브 스킬 발동 시
대상 지점에 정사각형의 블록을 생성한다. 블록은 소환물 판정이며 일정량의 체력을 가지고 있고, 적 또는 아군 모두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며 공격을 받아 내구도가 감소하면 점점 균열이 생겨 내구도가 다 떨어지면 파괴된다. 블럭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지만 하나의 블럭 옆이나 위 아래에 딱 맞물리게 생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블록은 궁극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충돌 판정이 존재하기에 진로를 가로막거나 발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아예 탑처럼 쌓아 그 위에 올라서는 것도 가능하다.
레오나는 벽을 생성하는 데 쿨타임 말고도 스트링 에너지라는 고유의 자원을 사용하며, 스트링 에너지는 레오나가 스트링화한 상태일 때 천천히 회복되기 시작한다.
레오나를 플레이하는 것을 포트나이트, 마인크래프트 한다고 표현할 정도로 레오나의 아이덴티티와도 같은 스킬이다. 이런 류의 스킬이 그렇듯 사용자의 창의력에 따라 활용법이 매우 다양한데, 기본적으로 특정 사이트 진입로를 틀어막는 데 사용하거나 개활지에서 엄폐물 역할로서 생성하여 쓰기도 하고[2], 탑처럼 쌓아 고지대를 확보해 사각에서 적을 공격하거나 스트링화로 통과해야 하는 지형을 막아버리는 등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초보 레오나 유저가 자주 실수하는 점인데, 이 스킬을 너무 변칙적으로만 사용하려고 하고 정석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려 하지 않는 점이다. 레오나는 기본적으로 수비측 캐릭이고 수비측 입장에서 적 공격팀이 사이트를 빠르게 점령하지 못하게 만들고 아군이 합류할 시간을 벌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기에, 너무 창의력을 발휘하려고 하다가 이도저도 안 되는 상황을 만들 필요 없이 단순히 적이 지나갈 지역을 막아두는 것만으로도 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장 정석적인 플레이 방법은 한쪽 사이트의 주요 진입로를 완전히 막아버리고 다른 사이트로 가는 것을 강요하거나 불리한 지형으로 진입하도록 강요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의할 점으로, 이 기술은 적의 진로도 방해하지만, 명백히 아군의 진로 또한 가로막으므로 사이트를 빼앗겼을 때 아군이 리테이크를 시도하는 경로까지 막지는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때문에 주로 막는 위치는 정해져 있는 편이며 어디를 막는 게 효율적인지는 게임을 하면서, 그리고 다른 레오나의 플레이를 보면서 익히는 것을 추천한다.
스트리노바는 앉기 시스템이 없기에, 특정 입구를 적은 블록을 소모하여 막고자 한다면 캐릭터의 키보다 조금 낮게 가로로 일자로 블럭을 배치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적은 활공으로 억지로 블럭 아래로 몸을 우겨 넣어서 들어오는 것 말고는 통과할 수가 없게 되는데 수비팀이 지키고 있는 상황에 그렇게 통과하는 것이 쉽지는 않으며, 설령 수비팀이 없는 상황이라 해도 다수의 인원이 그런 방법으로 한번에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해 벽을 넘으려다 오히려 각개격파를 당하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또한 벽을 가로로 배치하여 입구를 막으면, 벽을 지키는 쪽은 벽 너머에 적이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고 벽에 인접한 적의 하반신을 공격할 수 있게 된다. 적이 벽을 빠르게 부수고 통과할 것 같아 걱정된다면, 일자로 배치한 블럭에 가로로 블럭을 덧대면 된다.
대신 무조건 일자로 막는 것이 좋냐 하면 그건 또 아닌게, 위에서 말한거처럼 통과하는 방법이 매우 까다롭긴 해도 어쨌든 아래쪽에 틈이 충분하다면 통과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특정 지역에서는 적 역시 벽 위아래의 틈으로 공격을 시도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으며, 입구 천장이 높은 편이고 좌우 벽을 스트링화로 탈 수 있는 곳이면 적이 아예 활공으로 벽 위를 넘어 들어오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벽을 좀 더 소모하여 완전히 빈틈없이 막아버릴지, 벽을 적게 소모하여 진입만 막아버릴지 레오나 본인이 지형이나 상황을 보고 선택하면 된다.
또한, 자신이 지키는 사이트의 어떤 입구를 막으려고 하는데 그곳이 적이 오면 자신이 통과해야 하는 지역일 경우에는, 자신이 통과할 틈을 남긴 후 일부만 막아두고 적이 들어오려 하면 자신은 빠르게 통과한 후 빈 자리를 막아버리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1각성 개방 시 벽 주변에 있는 아군들의 보호막을 2초마다 3 회복시킨다. 언뜻 보면 벽 주변이라는 것이 벽에 붙어있어야 할 것 같지만 생각보다 범위가 널널해서 아군 근처에 딱 붙여서 설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이 각성과 레오나 자체의 패시브의 존재 때문에 레오나는 강화 보호막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2각성 개방 시 서로 연결된 벽은 체력과 피격 판정을 공유한다.[3] 레오나로 특정 사이트 진입을 막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각성으로, 이 각성의 유무에 따라 적이 블럭 하나만 딱 부수고 진입하느냐 합쳐진 모든 블럭을 부숴야만 진입하느냐가 갈리게 되는데다 궁극기로 만든 블럭의 내구도에도 영향을 주므로, 별다른 상황이 아닌 이상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채용하며 레오나가 최우선으로 개방해야 하는 각성이다.
3각성 개방 시 레오나의 블럭이 파괴될 때 약 40정도의 피해를 주고 주변의 적을 밀쳐낸다.
4.2. 패시브 스킬
4.2.1. 완벽한 워라밸(Work-Life Balance)
완벽한 워라밸 패시브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레오나가 스트링화 상태에서 스트링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회복합니다. 스트링 에너지가 50% 이상이면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50% 미만이면 보호막이 서서히 회복됩니다. |
패시브 | 50% 이상일 때 이동 속도 10% 증가 | 50% 미만일 때 2초마다 보호막 8 회복 |
패시브 대사 없음.
레오나는 스트링 에너지라는 고유 자원을 사용하며 화면 중앙 하단에 게이지로 표시되는데, 이 스트링 에너지가 절반보다 낮은가 높은가에 따라 다른 버프를 받는다.
스트링 에너지가 절반보다 낮으면 보호막 회복 효과를 받는다. 이 보호막 회복 효과의 존재 때문에 레오나는 일반적으로 강화 보호막을 사용한다. 스트링 에너지가 적은 상황은 보통 에너지를 소모하여 블럭을 많이 깔아 놓은 상태라는 것이고, 보통 그런 상태라면 적과 대치중이거나 교전 중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럴 때 유지력을 높여주는 보호막 회복 효과가 꽤 큰 도움이 된다. 적과 대치중에 블럭을 더 깔지 않아서 에너지가 절반보다 높게 차오른다 하더라도 일단 적과 전투를 하게 되면 레오나는 어떤 식으로든 블럭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있으며, 레오나가 1각성을 획득하면 블럭들이 소량의 보호막을 천천히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전투를 지속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반대로 스트링 에너지가 절반보다 높으면 이동속도 증가 효과를 받는다. 스트링 에너지가 많은 상황은 보통 라운드 시작 전에 블럭을 설치하러 가는 상황이거나, 적이 아직 포착되지 않아 아군에게 합류를 빨리 해야하거나 적을 포착해서 안전지대로 빨리 가서 자리를 잡아야 하는 경우, 혹은 적이 거의 다 죽어서 더이상 블럭을 깔 필요 없이 일방적으로 추격하기만 하면 되는 상황이라서 이동속도 증가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다.
패시브를 의식해서 상황에 맞게 에너지를 관리하고 원하는 버프를 받아도 좋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에너지에 따른 버프가 대체로 상황에 맞아 떨어지는데다가, 보호막 회복이든 이동속도 증가든 양쪽 다 준수한 버프이기에 딱히 의식하지 않고 플레이해도 손해볼 게 없는 무난한 패시브.
4.3. 전술 스킬
4.3.1. C - 방탄 보호막(Bulletproof Glass)
방탄 보호막 전술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레오나가 지정한 위치에 가로 또는 세로로 적의 총알만 막을 수 있는 방탄 유리를 생성합니다. 생성 시 스킬 포인트와 스트링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방탄 유리는 동시에 최대 3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라운드 당 3회(일반 폭파), 쿨타임 20초(호위, 스트링 쟁탈전)|방탄 유리 HP 350 |
지정한 위치에 적의 총알만 막고 아군의 총알은 통과시키는 방탄 유리를 생성한다. 방탄 유리를 생성할 때 레오나의 블럭 하나만큼의 스트링 에너지를 소모하며, 만약 레오나가 생성한 블럭이 근처에 있으면 블럭에 방탄 유리를 붙일 수도 있다.
주된 사용법은 레오나의 궁극기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자리에 방탄 유리를 깔고 적의 총알을 막아내면서 사격하는 것이다. 방탄 유리의 체력은 하나당 350인데다 3장을 사용 가능하고, 아군의 공격은 가로막지 않기에 유리가 깨지기 전까지는 적을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주의할 점은 방탄 유리의 내구도가 제법 되긴 하지만 적의 공격을 오래 받아내기는 힘들다는 점인데, 어지간한 돌격소총이 반탄창을 비우기도 전에 유리 하나가 파괴되고 두 장을 겹쳐 깔아도 적 여럿이 공격하면 순식간에 파괴되기에, 방탄 유리가 깔렸다고 안전하다고 생각해서는 안되고 항상 유리의 체력을 염두에 두다가 유리가 파괴되면 즉시 엄폐할 생각을 해야 한다.
또한, 이 스킬은 기본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적이 다가오는 급한 상황에는 세로 방향보다는 가로 방향으로 깔아야 할 일이 훨신 많으므로 가급적이면 가로 방향으로 설정해 둔다음 필요할 때 설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4.4. 궁극기
4.4.1. X - 순결한 성벽(Fortress of Purity)
순결한 성벽 궁극기 | |
파일:레오나-궁극기.png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레오나의 스트링 에너지가 가득 차고 일정량의 블럭을 즉시 획득하며, 전장에 있는 기존 엄폐물과 스킬 사용 중 생성되는 엄폐물이 영구적으로 투명해집니다. 투명한 엄폐물은 아군과 적 모두 통과할 수 있으며, 아군의 총알을 더 이상 막지 않습니다. |
◆◆◆◆◆◆◆ | 7 포인트 | 지속 시간 15초 | 월드에 존재하는 모든 블럭에 효과 부여 | 궁극기 이후 설치된 블럭에는 미부여 | 투명화된 블럭의 유지시간 무제한 |
"시야 제한 해제, 공격 개시!"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자, 눈이 휘둥그래질 준비됐어?"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여긴 우리 엔지니어링부 담당이야!"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자, 눈이 휘둥그래질 준비됐어?"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여긴 우리 엔지니어링부 담당이야!"
"일본어 대사"
- 궁극기 발동 시
궁극기를 사용하면 궁극기 모션을 취하며, 시전 후 스트링 에너지가 최대로 충전되고 이미 맵에 존재하던 모든 레오나의 블럭이 투명화되며 15초의 지속 시간 동안 추가로 설치된 모든 블럭도 투명화 효과를 받는다. 공중에서 시전하면 빠르게 떨어지며 시전하며, 투명화 효과를 받은 블럭의 투명화 지속시간은 무제한이다. 한번 투명화 된 블럭은 레오나가 죽어도 투명화 상태를 유지한다.
투명화 된 블럭은 쉽게 말해 방탄벽으로, 적의 총탄을 완벽하게 막아내면서 아군의 총알은 전부 통과시킨다. 또한, 충돌 판정이 사라져 진로 방해 기능이 사라진다. 평소에 레오나의 블럭은 아무리 좋게 써도 적의 이동을 가로막거나 엄폐물로서 역할하는 정도가 한계인데, 궁극기를 사용하는 순간 하나하나가 상당한 내구도를 가진 블럭이 전부 방탄벽으로 변하는데다 아군은 그 벽 안에 들어가서 적을 일방적으로 공격하며 싸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지역 장악력이 나오게 된다. 오직 아군의 총알만 통과시키고 적의 총알은 전부 막아내므로 적은 방탄벽 안으로 들어가봤자 엄폐 효과를 전혀 받지 못하고, 거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아군이 빈사상태가 되어도 투명벽 안으로 들어가서 안전하게 살아나거나 적의 사선을 막고 제압 사격을 하면서 폭탄을 해체하는 등 활용도가 굉장히 다양하다. 블럭 하나의 내구도는 스킬강화까지 찍었을 때 최대 700인데, 이는 어지간한 AR이 한 탄창을 다 들이부어야 깨지는 체력이고 단발 피해량이 낮은 기관단총 계열 무기 같은 경우에는 한 탄창으로도 블럭 하나를 깨지 못할 수도 있다.
다른 수비팀 궁극기는 지속시간이 끝날때까지 피해서 숨거나 오브젝트를 파괴하는 것으로 대응이 가능하지만. 레오나의 궁극기는 한번 발동하면 투명화 된 블럭이 파괴되기 전까지는 지속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데다 블럭 하나하나의 체력도 매우 높고, 수비팀은 높은 확률로 블럭 안에 들어가서 공격팀을 공격하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에 블럭을 공격해 부숴서 대응한다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심지어 한쪽 사이트에서 레오나가 궁극기를 발동하면 다른 쪽 사이트에 있는 블럭도 같이 투명화되므로 사이트를 돌리는 것 만으로는 완전한 파해가 불가능할 때도 있다.[4]
또한, 미리 블럭을 설치해놔야만 궁극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블럭의 설치 선딜은 매우 짧은데다 궁극기 발동 후 15초동안은 레오나가 설치하는 모든 블럭은 투명블럭으로 변하므로, 블럭이 없는 곳에서 적과 교전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면서 블럭을 넓게 펼치면서 이미 설치된 블럭 안으로 들어가는 식으로 아군의 수비 라인을 전진시키거나 적이 강제로 밀려나게 만들 수도 있다.
물론 레오나의 궁극기는 강력하긴 하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일단 궁극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동을 가로막는 기능이 사라지게 되어 진입을 막는 역할은 더이상 하지 못하게 된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궁극기의 효과는 자신이 설치한 모든 블럭에 적용되기에, 자신이 적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해놓은 블럭도 투명화되어 더 이상 적을 가로막지 못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적이 아직 들어오지도 않았는데 무턱대고 미리 써버리면 손해이며, 다른 수비팀 궁극기와 마찬가지로 사용 타이밍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 외에도 블럭 내부의 아군이나 레오나를 폭풍 수류탄이나 아이카의 궁극기로 빼내버리는 대응도 가능하고, 다른 모든 무기의 공격은 블럭 내부의 아군에게 어떠한 피해도 주지 못하지만 카타나의 공격은 블럭 내부의 아군에게도 피해를 주기에 적이 칼을 뽑아들고 달려들면 그 적을 최우선으로 일점사하거나 잠시 거리를 벌려 뒤로 물러나야 한다. 단,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앰버스핏은 레오나의 투명벽 내의 적에게 어떠한 피해도 입히지 못하므로 앰버스핏을 보고 당황할 필요는 없다.
마라의 경우에는 제한적인 카운터가 가능한데, 마라가 2각성이고 대상 위쪽에 블럭이 없으면 머리 위의 구슬을 쳐서 투명벽 안의 대상을 잡아낼 수 있지만 2층으로 쌓인 벽 안에 들어간 적은 2각성으로도 잡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3각성이거나 각성이 없는 경우에는 영혼 구슬의 피격 판정이 투명벽 밖으로 나와 있도록 적이 투명벽 모서리쪽에 위치한다면 피해를 줄 수 있고 잘하면 잡아낼 수도 있으나, 적이 투명벽 중앙쪽에 있으면 구슬의 피격 판정마저 완전히 덮어버려 처치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가끔씩 몇몇 유저가 레오나의 투명벽 안에 있는 적을 잡는다고 벽 안으로 걸어 들어가는것을 볼 수 있는데, 레오나의 벽 안으로 걸어들어가 안에서 사격한다고 내부의 대상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게 아니다. 벽 안에 들어가서 아무리 적을 쏴봐야 벽이 모든 데미지를 흡수하고 안에 있는 적은 멀쩡하기에 괜히 시도하지 말것. 이는 구슬이 벽 밖으로 노출되기라도 한 것이 아닌 이상 마라로 구슬을 걸어놔도 마찬가지이다.
결론은, 대응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수비팀 궁극기에 비해 대응하는 수단이 굉장히 한정되고 까다롭기에 잘만 사용하면 공격팀에게 엄청난 압박을 주고 라운드를 가져가는 궁극기.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
[include(틀:스트리노바/총기 스탯/P.U.S,연사속도=600, 연사속도나누기12=50,
조준속도=45,
명중률=60,
제어=100,
탄창용량=60,
재장전속도=21, 재장전속도곱하기2=42,
볼트장전속도=0,
스트링피해량=67,
배율=1.25
)]
[include(틀:스트리노바/피해/P.U.S,
머리10=39, 머리30=37, 머리50=33,
상체10=26, 상체30=24, 상체50=22,
하체10=18, 하체30=17, 하체50=15
)]
[include(틀:스트리노바/캐릭터 스탯/P.U.S,
보호막=85, 보호막나누기2=22.5,
보호막재생수치=2, 보호막재생수치곱하기5=10,
이동속도=53,
스트링이동속도=66,
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33, 80나누기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49,
다운시간=15, 30나누기다운시간=50,
다운중부활시간=4, 8나누기다운중부활시간=50
)]
연사속도는 600으로 노부나가나 치요 같은 반자동모드가 존재하는 소총을 제외한 연사화기 중에서는 가장 느리지만, 제어가 무려 100으로 연사가 가능한 모든 무기 중 제일 적은 반동을 자랑한다. 명중률도 표기상으로는 60이지만 탄퍼짐 범위는 압도적으로 좁아 20미터 거리를 지향사격으로 쏴도 꽤 잘 맞는 수준이고, 탄퍼짐 강화를 찍어주면 다른 캐릭터들이 반드시 조준을 해야 하는 30미터 거리도 견착으로 때려박을 수 있는 정도로 명중률이 높다. 애매한 DPS를 압도적인 안정성으로 커버하는 무기.
5.2. 강화 옵션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공격
|| 기본 피해량 증가 150 | |
기본 연사속도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기본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39 → 40 (+1) 30m 머리 피해 : 37 → 38 (+1) 50m 머리 피해 : 33 → 34 (+1) |
10m 상체 피해 : 26 → 27 (+1) 30m 상체 피해 : 24→ 25 (+1) 50m 상체 피해 : 22 → 22 (+1) | |
10m 하체 피해 : 18 → 19 (+1) 30m 하체 피해 : 17 → 18 (+1) 50m 하체 피해 : 15 → 16 (+1) | |
기본 연사속도 증가 연사속도 : 600 → 630 (+30) |
}}}}}}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치명타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50 | |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39 → 45 (+6) 30m 머리 피해 : 37 → 43 (+6) 50m 머리 피해 : 33 → 38 (+5) |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 67 → 80 (+13)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연사
|| 탄창 용량 증가 150 | |
재장전 속도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탄창 용량 증가 탄창 용량 : 60 → 70 (+10) |
재장전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 21 → 29 (+8)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명중률
|| 탄 퍼짐 조절 증가 150 | |
조작 속도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탄 퍼짐 조절 증가 명중률 : 60 → 75 (+15) |
조작 속도 증가 조준 속도 : 45 → 63 (+18)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스트링 배리어
|| 엄폐물 HP 150 증가 250 |
재사용 대기시간 12.5초 감소 25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완벽한 워라밸
|| 이동 속도 증가와 회복 효과 100% 증가 250 |
에너지 회복 속도 50% 증가 25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보호막
|| 재생 보호막 250 | |
강화 보호막 2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재생 보호막 보호막 매회 회복 수치 : 2 → 8 (+6) |
강화 보호막 보호막 : 85 → 105 (+2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스트링화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250 | |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2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14px;"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스트링화 이동 속도 : 66 → 76 (+10) |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비율 : 33 → 46 (+13) |
5.3. 각성
1각성 : 스트링 에너지 방출 아군 캐릭터가 엄폐물에 가까이 다가가면 보호막이 서서히 회복됩니다.[5] |
2각성 : 성벽 연결 여러 엄폐물이 연결되면, 하나로 간주하며 HP를 공유합니다.[6] |
3각성 : 프리즘 폭발 레오나의 블럭이 파괴될 때 주변의 적에게 피해를 주고 밀쳐냅니다. |
각성에 대한 설명은 액티브 스킬 설명 참조.
6. 평가
맵과 전략에 따라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수비팀의 슈퍼스트링.다른 슈퍼스트링이 화력이나 저지력으로 공격팀의 진입을 억제한다면, 레오나는 아예 진입로를 막아버리는 식으로 공격팀의 진입을 억제한다. 레오나가 출시된 초기에는 애매한 성능 때문에 승률도 최하위권이였으며 예능픽이나 장인용 픽으로 여겨질 만큼 평가가 좋지 못했으나, 패치를 거듭하고 상향을 크게 먹으면서 무난한 성능에 공격팀의 빠른 돌파를 억제하는 효과가 주목받아 합이 잘 맞는 수비팀에서 나오면 말 그대로 공격팀이 숨이 턱턱 막히게 하는 압박 능력을 자랑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플레이 방식도 변했는데, 과거에는 무기도 캐릭터 자체의 성능도 애매하여 최대한 창의력을 발휘하고 변수를 창출하는 플레이 방식이 레오나 유저의 살길이였으나, 패치로 성능이 좋아진 지금은 단독 전투력도 그리 크게 떨어지는 편이 아니며 블럭으로는 그냥 정석적으로 공격팀이 진입하는 주요 진입로를 가로막기만 해도 충분히 좋은 성능이 나온다. 레오나가 한쪽 사이트를 막아버리고 진입을 어렵게 만들면 공격팀은 불리하더라도 반대쪽 사이트를 뚫는 것을 강요받으며, 막힌 사이트를 억지로 뚫고 들어가려고 해도 그 사이에 수비팀이 다 합류해 방어할 준비를 하기에 공격 전략에 큰 제약이 생기게 된다. 그렇게 한쪽 사이트를 뚫을 것을 강요하면서 그 한쪽 사이트에 방어에 특화된 수비 캐릭터를 배치하여 돌파를 어렵게 만드는 것이 기본적인 레오나와 레오나가 있는 수비팀의 운영.
물론 정석적인 운영을 하면서도 여유가 남으면 얼마든지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스킬들을 가진 캐릭터가 레오나이기에, 기본적인 역할에 충실하면서 기회가 될 때 자신만의 플레이로 변수를 창출하면 된다.
다만 이런 류의 캐릭터들이 그렇듯 쉬운 캐릭터는 절대 아니고 전체적인 운영을 보면 오히려 어려운 캐릭터에 속하는데, 사실 레오나는 공격팀 전략가 캐릭터들과 마찬가지로 맵과 공수 운영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제대로 된 성능을 낼 수 있으며, 벽을 이상하게 설치하거나 해야할 일을 안하면 영향력이 떨어지는 것을 넘어서 오히려 트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정도 게임에 익숙해지면 레오나를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한다. 평소에 공격팀이 어느 경로로 진입하는지, 아군은 어느 경로로 주로 리테이크를 시도하는지 숙지하고, 다른 아군이나 적 레오나 유저가 어떤 식으로 플레이할때 효율이 잘 나오는지, 어떤 맵에서 좋은지, 맵에 따라 어느 지역을 막는 것이 선호되는지 지켜보면 큰 도움이 된다.
7. 서약
8. 의상
9. 업적
10. 작중 행적
11. 인간관계
12. 대사
13. 기타
[1] 이게 어느 정도냐면, 탄퍼짐 강화를 한 다른 돌격소총 및 기관단총보다 탄퍼짐 강화를 하지 않은 레오나의 총이 탄퍼짐이 더 적을 정도이다. 레오나가 탄퍼짐 강화를 찍으면 이동하면서 지향사격을 쏴도 어지간한 돌격소총이 견착을 한 것만큼의 명중률을 보여주며, 반동 역시 어지간한 돌격소총 및 기관단총은 반동 제어 강화를 찍어도 레오나 총의 반동만큼 무반동수준의 안정성을 가지지는 못한다.[2] 적의 사선을 막아버리고 폭탄 해체를 시도한다든가, 빈사 상태가 된 아군 앞에 설치해 조금 더 안전하게 아군을 살려낸다든가. 혹은 굳이 그런 상황에만 사용할 필요 없이 개활지에 진입해야 할때 벽을 깔고 벽을 끼고 싸우는 전략을 사용해도 된다.[3] 예를 들어, 체력 550짜리 벽이 4개 연결되어 있다면 그 4개의 벽이 체력 2200짜리 하나의 벽으로서 존재하게 된다. 즉 2200의 피해를 가하기 전까지는 연결된 어느 블럭을 때리든 어느 한 블럭만이 깨지지는 않게 되며, 벽이 피해를 받아 균열이 생기는 경우에도 연결된 모든 블럭에 균열이 표시된다. 만약 균열이 난 상황에 레오나가 벽을 덧대어 보강하면 총합 체력이 늘어나 원래 있던 균열이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균열은 블록이 가진 체력 백분율에 따라 생기기 때문이다.[4] 때문에 레오나를 상대할 때 적이 사용중이지 않은 투명블럭은 여유가 된다면 팀원과 함께 미리 파괴해두는것을 추천한다. 지금 적이 안에 들어가있지 않더라도, 나중에 적이 들어가서 농성하게 되면 굉장히 골치아파질 수 있기 때문이다.[5] 2초 마다 보호막 3 회복[6] 이때 HP도 연결되어 같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