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3:33:56

레고 드림즈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레고 로고.svg레고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25년 4월 공식 홈페이지 기준 판매 중인 시리즈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레고® 동물의 숲™ 아키텍처 레고® 아트 레고® 아바타
배트맨™ 레고® 블루이 NEW 보태니컬 컬렉션 LEGO® Braille Bricks
브릭헤즈 시티 클래식 크리에이터 3in1
DC 슈퍼 배드 4 디즈니 도트
드림즈™ 레고® 듀플로® 레고® 듀플로® 페파 피그 레고® 에듀케이션
프렌즈 레고® Fortnite® LEGO® 개비의 매직 하우스 해리포터™
레고® Icons 아이디어 쥬라기 월드 Lord of the Rings™
마블 마인크래프트® 미니피겨 몽키 키드™
닌자고® 파워드업 SERIOUS PLAY® 소닉 더 헤지혹™
스피드 챔피언 스타워즈™ 레고® 슈퍼 마리오™ 테크닉
레고® 젤다의 전설™ 레고® 웬즈데이 레고® 위키드 }}}}}}}}}
단종된 시리즈 · 브릭링크 디자이너 프로그램

파일:레고 드림즈 로고.png

등장인물회차 목록발매 제품
레고 드림즈 (2023~)
LEGO Dreamzzz
<nopad> 파일:레고 드림즈 로고.png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모험, 판타지, 드림 월드
원작 레고 드림즈 (동명의 레고 제품 테마)
감독 크리스 노이한
프로듀서 질 위퍼트
키스 말론
아사 타이트
토미 안드레아센
네이선 셰퍼드
멀리사 굿윈
조슈아 웩슬러
산지 굽타
피터 앤서슨
파멜라 J. 켈러
애니메이션 제작 Pure Imagination Studios
WildBrain Studios[1]
제작 레고
방영 기간 '''
시즌 1
'''
2023. 05. 15. ~ 2023. 08. 11.
'''
시즌 2
'''
2024. 05. 17. ~ 2024. 09. 06.
'''
시즌 3
'''
2025.
편당 러닝타임 22분
화수 40화
}}}}}}}}} ||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회차 목록 5. 설정
5.1. 웨이킹 월드5.2. 드림월드
6. 제품7. 평가8. 기타

1. 개요

레고에서 2023년부터 발매하고 있는 동명의 제품군의 홍보 목적으로 만들어진 3D 애니메이션. 꿈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드림월드'에서 펼쳐지는 여정을 그린 시리즈이다.

2019년부터 새로운 테마로 제작이 시작되었으며, 3년 반에 걸쳐 30.000명 이상의 어린이와 쇼핑객을 대상으로 스토리 콘텐츠와 놀이 체험부토 스토리 기반의 설명서와 제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요소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했다.[2]

그 후 꿈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펼치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인터뷰를 진행한 아이들 중 2/3도 비슷한 답을 했다고 한다. 그렇게 탄생한 게 레고 드림즈인 것이다.#

2. 시놉시스

파일:레고 드림즈.jpg
평범한 중학생이었던 마테오와 이지는, Z블롭과 만나면서 드림월드의 존재를 알게 된다. 드림월드가 위험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 두 사람은 친구들과 함께 드림 체이서의 길을 걷게 되고, 악몽으로부터 꿈꾸는 아이들을 보호해야 한다. 그들은 과연 드림월드를 지켜낼 수 있을까?

===# 포스터 #===
시즌 1
드림체이서들의 탄생과 모험
파일:드림즈 시즌 1 포스터2.jpg
시즌 2
네버 위치의 밤
파일:드림즈 시즌 2 포스터.jpg

===# 예고편 #===
카툰 네트워크 예고편
브라보키즈 예고편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고 드림즈/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등장인물#|]][[레고 드림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회차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고 드림즈/회차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회차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회차 목록#|]][[레고 드림즈/회차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 드림 기사단[3]
    드림월드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결성된 비밀 조직. 마테오 일행을 포함한 드림 체이서들이 해당 조직에 속해있으며, 현재 본부장은 로이스 상임 조사관이다.
    • 브루클린 지국
      마테오 일행이 속한 지국. 지부장은 오즈 박사.
    • 베를린 지국
      아스트리드가 속한 지국. 지부장은 불명.[4]
    • 도쿄 지국
      타카시가 속한 지국. 지부장은 불명.
  • 드림 크래프트
    드림월드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물건을 창조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사용자의 아바타를 설정할 때도 사용한다.[5] 주로 드림 체이서들이 사용하며, 가끔 드림 체이서가 아닌 사람이 사용하기도 한다.[6]
    • 비스트 크래프트
      드림 크래프트의 또 다른 형태. 드림월드에서 사용자의 아바타나 특정 사물을 야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현재 사용자는 로건과 보건 뿐이다.[7]

5.1. 웨이킹 월드

  • 브루클린
    미국 캘리포니아 뉴욕시에 위치한 곳으로, 마테오 일행들이 사는 마을이다.

5.2. 드림월드

  • 랜딩 존
    마테오 일행의 공간
  • 판타지랜드
    • 드림 대장간
      대장간 마스터가 관리하는 공간.
  • 배개 봉우리
    짐이 관리하는 봉우리.
  • 녹터니아 성
    드림 기사단의 비밀 기지.
  • 사이버 랜드
    버저컵이 관리하는 세계.
  • 새도우 킵
    아이들의 순수한 꿈을 악몽으로 바꾸어 드림월드를 장악하려는 악몽 대마왕 일당의 본거지.
  • 안개랜드
    • 샌드맨 타워
  • 캔디랜드
  • 랜딩 존
    오즈 선생님의 공간. 다만 안으로 들어가면 각종 함정들이 있다. 또한 차고나 쓰레기장(?)도 있다. 차고에는 '오즈의 스페이스 카'가 있다.
  • 브루클린(드림월드)
  • 비스트랜드
    예전 이 드림월드 지역 이름이 '와일도리아'였다 이곳에는 다양한 비스트들이 있는데 자이언도 여기 비스트랜드에 있었을 수도 있다. 또한 웬 이상한 할아버지가 지배자의 왕관을 쓰고 왕아님 폭군임 행세를 하고 있었다

6. 제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고 드림즈/제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제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드림즈/제품#|]][[레고 드림즈/제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현재까지 나온 스토리들은 수작으로 볼만큼 좋은편이다. 주인공 마테오가 아빠의 새로운 여자친구를 어떻게 대하는지와 아빠와 이혼한 엄마에 대한 그리움, 이외 아이들의 심리적인 부분에서 기존 레고 애니메이션 시리즈들과는 좀 더 세심하다고 볼수있는 점이 호평받는다. 특히 나이트헌터와 조이의 모종의 관계가 시즌1부터 떡밥이 있다가 시즌2 부터 떡밥이 해소되는데, 조이가 나이트헌터의 정체를 알게된 후의 심리묘사도 구체적으로 보였고 결국 시즌2 마지막화에 그 둘의 갈등을 어느정도 해소해 입체적인 캐릭터성을 보였다.

그리고 주인공들의 디자인들도 좋지만, 특히 악역들[8]의 디자인들이 멋지게 나온점도 좋은 평을 받는다 이외 드림월드의 엑스트라나 배경들도 레고로써의 강점상상력을 최대화 했다고 볼 수 있다.

8. 기타

  • 원제가 Dreams가 아닌 Dreamzzz인 이유는 코고는 소리를 표현하는 의성어인 zzz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 레고 닌자고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설정으로 언급된다. 11화에서는 아예 TV에 닌자고 마스터즈의 한 장면이 나왔다. 3부작 중 1부라고 언급하는 건 덤.[9]
  • 마테오 일행이 밤에 활동함에도 피곤해하는 묘사는 없는데, 이는 드림월드가 꿈 속 세계이기 때문인 듯하다.[10]

[1] 미니무비와 시즌 2의 일부 에피소드만 제작했다.[2] 공식 사이트에서 모든 테마 중 역대 최고로 광범하게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말할 정도로, 엄청한 규모다.[3] 한국명과 영문명의 뜻이 완전히 다른데, 원판은 Night Bureau 즉, 야간 사무국 정도의 이름인데, 한국판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드림 기사단'으로 번안되었다.[4] 아스트리드는 로이스 조사관의 제자지만, 그는 본부장이기 때문에 베를린 지국의 지부장은 아닐 것이다.[5] 그래서 로건은 웨이킹 월드에서의 모습과 드림월드에서의 모습이 완전히 동일하다.[6] 이럴 경우 높은 확률로 드림 체이서로 캐스팅 된다. 드림 기사단이 필요로 하는 인재이기 때문.[7] 보건은 네버 위치가 만든 로건의 도플갱어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로건만의 고유 기술이다.[8] 악몽대마왕, 나이트헌터, 네버위치[9] 이를 감안하면 레고 키마의 전설이나 레고 넥소 나이츠 등 다른 레고사의 작품들도 TV 프로그램이라는 설정으로 언급될 가능성이 있다.[10] 잠을 자면서 피로를 채우는 것과 동시에 꿈과 상상으로 가득한 드림월드를 모험하는 거니 일석이조라고 볼 수도 있겠다. 물론, 위험한 적이 없다는 가정 하에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