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3:13:39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파일:레고 닌자고 검은색 로고.png
닌자고 시리즈 & 마스코트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닌자고:스핀짓주 마스터
(2011)
그린 닌자고
(2012)
골드 닌자고
(2013)
리부티드
(2014)
티타늄 닌자고
(2015)
카이 로이드 로이드 카이
고스트 닌자고
(2015)
스카이 해적
(2016)
유령의 날
(2016)
타임 블레이드
(2017)
마스터즈
(2018)
로이드 제이 카이
니야
가마돈
드래곤 헌터
(2018)
도깨비 습격!
(2019)
불의 닌자 대 얼음의 황제
(2019)
게임 속으로 레벨 업!
(2020)
스컬 던전 속으로!
(2020)
마스터 우 카이 카이 제이
미지의 섬
(2021)
미지의 바다
(2021)
어둠의 크리스털
(2022)
드래곤 라이징 시즌 1
(2023)
드래곤 라이징 시즌 2
(2024)
로이드 니야 로이드 아린
지로
카이
에갈트
로이드
근원의 드래곤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2025)

포커스 드래곤
}}}}}}}}}

레고 닌자고 스토리 진행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2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미정

<colbgcolor=#c80000>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2025)
Ninjago: Dragons Rising Season 3
<nopad> 파일:DR S3 POSTER HQ.jpg
장르 애니메이션, 닌자를 소재로 한 작품
원작 레고 닌자고 (레고의 제품 테마)
방송 시간 미정
공개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1부: 2025년 4월 17일
2부: 2025년 9월 4일
방송 기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4월 17일 ~
방송 횟수 20부작
스트리밍
서비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TVING 표시)]
제작 WildBrain Studios
채널
기획 라이언 피어스
더빙
스튜디오
우리말 연출 김은영
극본
음악
번역 오동희
우리말 출연 신용우, 엄상현, 김보민, 이새아, 박지윤, 남도형, 김도영, 정재헌, 전숙경, 이광수, 이윤선, 박요한, 윤미나, 방시우, 류승곤, 박성태, 이호산, 이현, 이규창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TV-Y7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
3.1. 주연3.2. 조연3.3. 주변인물
3.3.1. 스핀짓주 사원3.3.2. 잃어버린 것들의 땅3.3.3. 진자고3.3.4. 근원의 드래곤3.3.5. 드래곤 마스터3.3.6. 미스테리움3.3.7. 리의 영역
3.4. 빌런들3.5. 기타 인물들
4. 평가5. 미디어 믹스
5.1. 제품
6. 회차 목록7. 기타

1. 개요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2》의 후속작이자, LEGO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의 세 번째 시즌.

마스코트는 [1]포커스 드래곤, 메인 보스는 금지된 다섯, 메인 빌런은 드래고니안.

==# 공개 정보 #==
  • 2024년 12월 2일,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제품에 모로픽셀 미니피규어가 들어있는 것이 확인되어 출연이 확정되었다. 또한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제품의 박스 아트에 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스코트는 쟌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줄거리

3. 등장인물

3.1. 주연

파일:Lego_Ninjago_–_Dragons_Rising.png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리즈 주연
카이
Kai

3.2. 조연

3.3. 주변인물

3.3.1. 스핀짓주 사원

3.3.2. 잃어버린 것들의 땅

3.3.3. 진자고

3.3.4. 근원의 드래곤

  • 모션의 상징
  • 에너지의 상징
  • 힘의 상징
  • 생명의 상징
  • 흐름의 상징
  • 균형의 상징

3.3.5. 드래곤 마스터

3.3.6. 미스테리움

3.3.7. 리의 영역

  • 리 (C.V: 세바스찬 요한슨/불명)
  • 아린의 부모님
    • 배리
    • 제니
  • 드림 가이버
    시즌2에서 닌자들을 환각에 빠뜨린 해파리 괴물이다. 사람들을 리를 좋아하도록 세뇌시킨다.

3.4. 빌런들

3.4.1. 금지된 다섯

파일:Lego_Ninjago_–_Dragons_Rising.png
'''[[금지된 다섯|
금지된 다섯
]]'''
녹트
Nokt
드릭스
Drix
쿠르
Kur

3.4.2. 드래고니안

3.4.3. 관리부

3.4.4. 기타 빌런

3.5. 기타 인물들

4. 평가

전작에 이어 스토리부분은 호평이 넘쳐 나오며 CG 또한 배경 묘사의 경우 도깨비 습격 만큼의 퀄리티가 나온다.[6] 아린과 소라의 과거회상과 화해 씬, 카이, 니야, 로이드의 합동 공격 액션 씬은 매우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다만 콜과 기대했던 모로의 분량이 적은 부분과 금지된 다섯의 허무한 리타이어는 아쉬운 부분으로 뽑힌다.

한국판의 경우 또한 최초의 영역을 원문 그대로 차용한 퍼스트 영역이라 부르다가 퍼스트 랜드라 부르거나 로이드가 픽셀을 누나라고 부르고[7] 족장의 포커스 드래곤을 족장의 근원 포커스 드래곤이라 부르는 등 번역 문제가 다시 발생했다. 또한 유튜브 한정으로 자막 폰트들이 드래곤 라이징 폰트가 아닌 일반 폰트가 쓰인 점에서 혹평을 받는다.

이번 시즌도 마찬가지로 중복 캐스팅이 심한 편이다.

5. 미디어 믹스

5.1. 제품

파일:71827.jpg파일:71828.jpg파일:71829.jpg
71827
쟌의 배틀 수트 로봇
71828
로이드의 풀백 경주용 자동차
71829
로이드의 그린 포레스트 드래곤
파일:71830.jpg파일:71833.jpg파일:71834.jpg
71830
카이의 로봇 스톰 라이더
71833
라스와 아린의 슈퍼 스톰 제트
71834
쟌의 울트라 합체 로봇
파일:71841.jpg
71841
드래고니안 스톰 빌리지
파일:71832.jpg파일:71836.jpg
71832
혼돈의 썬더 팽 드래곤
71836
포커스 드래곤


6. 회차 목록

회차 제목
1화 실종자들
2화 절대 존경의 대상
3화 스펙트럴 랜드
4화 쟌과 도둑들
5화 오직 나만이 구할 수 있다
6화 추락한 희망들
7화 드래곤 제왕의 요구
8화 함께 추락하는 우정
9화 대혼란의 시작
10화 섀터 드래곤
11화
12화
13화
14화
15화
16화
17화
18화
19화
20화

7. 기타

  • 픽셀과 대럿은 어둠의 크리스탈 이후로 3년만에, 모로는 유령의 날 이후 8년만에, 넉클과 크런차는 티타늄 닌자고 이후 무려 10년만에 재등장하게 되었다.
  • 이들중 대럿을 제외한 전부 기존의 모습과 큰 이질감은 없지만 디자인이 변경 되었다. 픽셀의 경우 눈이 커지고 얼굴 문양이 바뀌었고 모로는 눈의 색깔, 눈썹 모양, 도복 디자인 변경되고 몸이 더 이상 반투명하지 않은 대신 몸이 빛나는 것으로 유령 상태라는 것이 표현되었다. 넉클과 크런차 같은 경우에는 얼굴형이 기존과 달라지게 되었다.
  • 1화에서 도깨비를 드래곤들의 숙적이라고 두루뭉실하게 표현했는데 이에 닥 와이어트는 오니는 이번 시즌의 포커스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고 했지만 정작 바로 다음 에피소드에서 도깨비라고 아주 대놓고 언급된다...
  • 파트 1이 나온지 열흘도 안되서 에피소드 11~14가 유출되었다. 그 이전 시즌들에도 유출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때보다도 훨씬 빠른 일정으로 에피소드들이 유출되었다.... 그리고 에피소드 11~14 이어 에피소드 14~18이 유출되었다.

[1] 닌자고 리부티드 이후 무려 11년 만에 마스코트를 맡게 되었다.[2] 정확히는 드래곤 라이징 이전에 나온 차원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스포일러] 예고편과 스틸컷에서 최초의 차원인 도깨비와 드래곤의 세계와 지하세계가 공개되었다[A] [5] 드래고니안의 리더이다.[6] 사원의 도시가 그 예이며 특히 물의 표현의 경우 또한 저 시절과 비빌만 하게 발전했다.[7] 전작에선 픽셀에게는 반말을 썼다. 애초에 설정상 픽셀은 로이드가 태어난 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누나라는 호칭 자체가 매우 어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