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랜스 스트롤|랜스 스트롤]]
<nopad>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5R) 현재 10위 |
랜스 스트롤 2025 시즌 | |
| |
<colbgcolor=#008275><colcolor=#fff>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 |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 | 0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 | 0회 |
해트트릭 | 0회 |
폴 투 윈 | 0회 |
총점 | 10점 |
평균 스타팅 그리드[1] | 16.4위 |
평균 완주 순위[2] | 13.6위 |
1. 개요2. 시즌 상세
2.1. 전반기
3. 시즌 총평2.1.1. 1R: 호주 그랑프리2.1.2. 2R: 중국 그랑프리2.1.3. 3R: 일본 그랑프리2.1.4. 4R: 바레인 그랑프리2.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2.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2.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2.1.8. 8R: 모나코 그랑프리2.1.9. 9R: 스페인 그랑프리2.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2.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2.1.12. 12R: 영국 그랑프리2.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2.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2.1.15. 전반기 총평
2.2. 후반기1. 개요
랜스 스트롤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스트롤이 애스턴 마틴[3]소속으로 참가하는 8번째 시즌이자 F1 참가 9번째 시즌이다.2. 시즌 상세
2.1. 전반기
2.1.1. 1R: 호주 그랑프리
개막전 퀄리파잉에서는 팀메이트인 페르난도 알론소에 0.1초 내의 차이로 13위를 기록하였다.빗길 속에서 치러진 레이스에서는 최후반부에 소나기까지 내려 페라리 듀오와 츠노다 유키, 피에르 가슬리 등이 후미로 떨어졌다. 스트롤은 안정적인 주행으로 6위로 완주하였다.[4]
2.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선 P10을 기록, P8까지 올라와 랜도 노리스를 방어하다 18랩에서 9위로 밀려났다.본 레이스 퀄리파잉은 P13을 기록했다.
레이스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피트 스탑 타이밍이 너무 늦어 12위로 피니시, 아쉽게도 포인트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그런데 레이스 종료 후 스트롤보다 순위가 높은 드라이버들 중 무려 3명이 실격당하면서 9위로 승격되어 2포인트를 벌어들였다.
2.1.3. 3R: 일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 20위 최하위로 Q1 탈락을 하였다. 레이스에서는 소프트 타이어로 시작했으나 다소 도박성이 있는 전략 수행을 위해 10랩 만에 피트인해 하드 타이어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페이스가 나오지 못해 앞 차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해 그대로 20위로 여유있게 주행 후 20위로 완주하였다.2.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랩 타임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19위로 Q1 탈락을 하였다. 레이스에서도 별다른 활약 없이 무난한 주행만 이어간 끝에 17위로 완주하였다.2.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16위로 Q1에서 탈락하였다. 이로써 케빈 마그누센을 제치고 F1 역대 최다 Q1 탈락 드라이버[5]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차지했다(...).레이스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자동문의 역할을 이어간 끝에 16위로 완주했다.
2.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2.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2.1.8. 8R: 모나코 그랑프리
2.1.9. 9R: 스페인 그랑프리
2.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2.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2.1.12. 12R: 영국 그랑프리
2.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2.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2.1.15. 전반기 총평
2.2. 후반기
2.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2.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2.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2.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2.2.5. 19R: 미국 그랑프리
2.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2.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2.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2.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2.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3. 시즌 총평
[1]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2] 리타이어 제외[3] 前 레이싱 포인트[4] 스트롤의 커리어를 살펴보면 은근히 수중전에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럼 작년 브라질에서는 왜...[5] 75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