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트릭트(District)
1. 개요
국가별로 그 위상과 역할이 크게 다른 행정구역의 한 종류를 일컫는 일반 명사다. 특정 국가의 고유한 행정 단위를 지칭하기보다는, 여러 나라에서 쓰이는 광범위한 행정 구획의 명칭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한국어의 '구(區)', '군(郡)', 또는 때로는 '도(道)'나 '주(州)'에 대응할 정도로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규모는 대도시의 작은 하위 구역에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가진 광역 행정 구역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특히 영미권 국가들과 과거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각 나라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여 정착했다. 단순한 지리적 구분을 넘어, 세금 징수, 교육 행정, 선거구 획정 등 특정 목적을 위한 기능적 구역으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다.2. 국가별 현황
- 미국: 미국에서 디스트릭트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컬럼비아 특별구와 같이 주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지위를 가지는 특별 행정 구역을 지칭한다. 이 외에도 교육구, 소방구, 공원 관리구 등 특정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된 특수 목적 지방 정부의 명칭으로도 널리 쓰인다. 또한 선거구를 지칭하는 용어로도 활용하며, 이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주기적으로 경계를 조정한다.
- 영국: 영국에서는 디스트릭트가 주로 카운티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기능한다. 잉글랜드의 경우, 비도시 카운티의 하위 행정 구역인 '디스트릭트'는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보유하며, 쓰레기 수거, 지역 계획 등 카운티 의회와 역할을 분담한다. 하지만 단일 자치구로 지정된 디스트릭트는 카운티의 권한까지 모두 행사하며 광역 자치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영국의 디스트릭트는 지방 정부 개편 과정에서 그 지위가 수시로 바뀌는 특징을 보인다.
- 인도: 인도에서는 '디스트릭트'가 주(State)의 하위 행정 구역 중 가장 중요한 단위로 작동한다. 인도의 각 주는 수십 개의 디스트릭트로 나뉘며, 각 디스트릭트는 행정수반인 '디스트릭트 컬렉터' 또는 '디스트릭트 마지스트레이트'가 이끈다. 이들은 주로 중앙 정부 또는 주 정부에서 파견된 고급 공무원이며, 세금 징수, 법과 질서 유지, 지역 개발 사업 관리 등 매우 광범위한 행정 권한을 행사한다. 인도의 디스트릭트는 인구 규모가 수백만 명에 달하는 경우도 많아, 사실상 한국의 광역시나 도에 준하는 중요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