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9:48:18

디디에 쿠엘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2018년 2019년 2020년
아서 애슈킨
제라르 무루
도나 스트릭랜드
제임스 피블스
미셸 마요르
디디에 쿠엘로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안드레아 게즈
파일:울프상 로고 금색.png
역대 울프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78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우젠슝 조지 울렌벡 주세페 오치알리니 마이클 피셔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케네스 윌슨 레오 카다노프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프리먼 다이슨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 바이스코프 레온 레더만 마틴 펄 어윈 한
<rowcolor=#cd9f51> 1983/84 198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터 히르쉬 시어도어 마이만 코니어스 헤링 필리프 노지에레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첼 파이겐바움 알베르 리브차버 허버트 프리드먼 브루노 로시
<rowcolor=#cd9f51> 1987 1988 199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카르도 자코니 스티븐 호킹 로저 펜로즈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0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사울레스 모리스 골드하버 발렌틴 텔레그디 조셉 테일러
<rowcolor=#cd9f51> 1993 1994/95 1996/9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브누아 망델브로 비탈리 긴즈부르크 난부 요이치로 존 휠러
<rowcolor=#cd9f51> 1998 1999 200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키르 아로노프 마이클 배리 단 셰흐트만 레이먼드 데이비스
<rowcolor=#cd9f51> 2000 2002/03 200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고시바 마사토시 버트런드 할페린 앤서니 레깃 피터 힉스
<rowcolor=#cd9f51> 2005 2006/07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클레프너 알베르 페르 페터 그륀베르크 존 클라우저
<rowcolor=#cd9f51> 2010 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알랭 아스페 안톤 차일링거 하랄트 로제 크누트 우르반
<rowcolor=#cd9f51> 2012 2013 201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코프 베켄슈타인 페터 졸러 이냐치오 시랙 제임스 요르겐
<rowcolor=#cd9f51> 2015 2016 201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버트 키쉬너 요셉 임리 디디에 쿠엘로 미셸 마요르
<rowcolor=#cd9f51> 2018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찰스 베넷 질 브라사르 라피 비스트리저 파블로 헤레로
<rowcolor=#cd9f51> 2020 2021 2022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앨런 맥도널드 조르조 파리시 안 륄리에 크러우스 페렌츠
<rowcolor=#cd9f51> 2022 2024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폴 코쿰 마틴 리스
}}}}}}}}}}}}}}} ||
<colbgcolor=#1B2024><colcolor=#fff> 디디에 패트릭 쿠엘로
Didier Patrick Queloz

FRS[1]
파일:Queloz_profile.jpg
출생 1966년 2월 23일 ([age(1966-02-23)]세)
스위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천문학자
학력 제네바 대학교
지도교수 미셸 마요르
분야 천체물리학
소속 제네바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ETH Zürich
수상 울프상 · 물리학 (2017년)
노벨물리학상 (2019년)

1. 개요2. 여담

1. 개요

스위스의 천문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자연철학 잭슨 교수. 1995년 박사학위 과정에서 태양계 밖에서 태양과 비슷한 항성 주변을 도는 외계행성을 거느린 페가수스자리 51(51 Pegasi)을 발견해 낸 공로로 201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여담

EBS 위대한 수업에 출연하였다.
[1] Fellow of the Royal Society, 왕립학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