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1:54:12

듄: 파트 2/줄거리 및 탐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듄: 파트 2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줄거리
1.1. 프롤로그: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멸족1.2. 교모가 된 제시카1.3. 프레멘의 지도자가 된 폴1.4. 페이드 로타의 등장1.5. 남부로 떠나는 폴, 퀴사츠 해더락으로의 각성1.6. 아트레이데스 가문과 프레멘의 반격1.7. 페이드 로타와의 최종 결투
2. 원작과의 차이점
2.1. 개별 캐릭터 묘사
3. 장면 탐구

1. 줄거리

1.1. 프롤로그: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멸족

Power over spice is power over all.
스파이스를 지배하면 모든 것을 지배한다.
[1]
1편이 챠니 카인즈의 독백으로 시작했듯, 여기서는 코리노 가문의 모행성 카이테인에서 황궁 일지를 남기는 이룰란 코리노의 독백으로 영화가 시작된다. 이룰란은 자신의 아버지인 황제 샤담 4세레토 공작을 마치 아들처럼 아꼈음에도 권력을 잃지 않기 위해 아트레이데스 가문을 멸족시킨 결정을 말하면서, 하코넨 가문이 그런 아버지의 더러운 일을 맡은 것이 처음은 아니며 아트레이데스 가의 멸족은 제국의 가장 어두운 비밀로 남게 될 것이라 한다. 그와 동시에 죽은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병사들과 레토 1세의 초상화가 하코넨 병사들에게 불태워지고, 블라디미르 하코넨 남작[2]라반을 아라키스의 총독으로 임명하는 장면이 스쳐 지나간 뒤 아라키스 행성을 배경으로 영화의 로고가 뜨며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1.2. 교모가 된 제시카

은 꿈 속에서 어머니 제시카의 뱃 속에 있는 태아인 여동생 알리아에게 독백하는 꿈을 꾸다 모래밭 위에서 일어난다. 결투에서 자미스를 이기고 스틸가 일행과 동행해도 된다고 인정받은 그들은 아라키스의 풍경이 붉게 변하는 해가 지는 밤에 다른 프레멘 일행과 자미스의 시신을 옮기며 타브르 시치[3]로 향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평소라면 나타나지 않을 하코넨 병사들을 맞닥뜨리지만, 스틸가 일행이 진동을 이용하여 모래벌레를 불러들여 당황시키고는 벌레로부터 안전한 바위로 올라가 모이게 한 뒤[4] 저격하여 하나 둘씩 몰살한다. 폴도 하코넨 병사의 시신에 매달린 칼로 검투를 벌여 저격으로부터 살아남은 1명을 제거, 그 사이 원거리에서 총으로 폴을 죽이려던 또 다른 병사를 제시카가 임신한 몸임에도 직접 나서 바위로 머리를 때려죽여 무사히 상황을 넘기고, 하코넨 병사들의 시체에서 물[5]을 추출한 후 모래벌레를 불러 먹이로 준다. 한편 하코넨 가문이 아트레이데스 가문을 멸족시키고 지배하던 아라킨에서, 라반은 병사들의 전멸 소식을 알게 되자 사람이 살지 못하는 남부에서 하코넨 병사들이 더 이상 허무하게 죽지 않도록 남부에서 불러내야 한다는 부하의 말을 듣자 분노하여 쥐새끼들(rats)을 다 죽여야 한다면서 그 부하의 얼굴을 마구 쳐박으며 소리친다.

이후 스틸가의 인도로 폴과 제시카는 타브르 시치에 도착하고, 자미스의 시신을 본 시치의 프레멘들은 그를 죽인 것에 대해 폴과 제시카를 비난하거나 폴을 리산 알 가입으로 숭배하며 비난하는 자들은 자기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르고 지껄이는 것이라며 말리는 자들로 나뉜다. 이후로도 프레멘들의 대화를 통해 최소한 이 둘을 이방인으로 배척하거나 더 나쁘게는 하코넨의 스파이로 생각하는 분파와 폴을 예언 속의 구원자로 생각하는 두 분파로 나뉘어 있음을 보여주는데, 폴과 제시카는 식사하며 이를 지켜보고 폴은 믿지 않는 사람들을 흔들어 자신이 황제가 되어야겠다고 말하며 너의 아버지는 복수를 믿지 않았다는 제시카의 말을 자신은 믿는다며 식사를 하던 중 예지몽 속에서 해골이 위에 놓인, 장례식에서나 볼 법한 아버지 레토 공작의 초상화를 보게 되는데 이를 통해 프레멘들이 먹는 음식에 스파이스가 들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던 중 스틸가는 제시카를 따로 불러 프레멘들이 자미스의 시신에서 물을 빼내 시에치 지하수로 옮기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신들의 교모가 죽어가고 있고 타브르 시치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는 제시카가 부족의 교모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싫다면 어쩔 거냐니까 방금 전 자미스처럼 죽여서 물을 받을 거라고 협박하며[6] 양자택일의 상황을 만든다.[7] 폴의 안전마저 보장받을 수 없게 된 상황에 처하게 된 제시카는 프레멘의 교모 의식을 진행하는데, 본인도 프레멘의 의식이 어떤 것인지 몰라 떨며 베네 게세리트의 기도문을 읊조린다. 교모 의식은 모래송어를 물에 빠뜨려 얻은 독인 '생명의 물'을 마시는 것인데, 제시카는 다른 교모들의 물을 마시라는 '목소리'에는 경계하며 물이 무엇인지 묻지만, 대교모의 '목소리'에는 반항하지 못하고 생명의 물을 마셔 버린다. 생명의 물을 마시고 깨어난 제시카는 교육받은 대로 몸에서 자체적으로 해독하고, 선조와 다른 교모의 기억을 체현할 수 있는 교모로 각성한다. 이때 태아의 모습인 알리아에게도 양수를 통해 생명의 물이 뻗어나가는 장면이 매우 불길하게 묘사되고[8] 제시카도 이 시점부터 파란 눈을 가지게 된다.

그 와중에 시치 밖에서 마흐디의 어머니는 독을 마시고도 살 것이라는 예언과 들어맞는다고 주장하고, 폴이 마흐디, 리산 알 가입이라는 것을 믿는 스틸가를 비롯한 남부 출신 중심의 근본주의자 무리는 기도를 하면서 챠니, 그녀의 친구 시샤클리를 비롯해 믿지 않는 북부 출신 중심의 세속주의자 무리와 신경전을 벌인다.[9] 폴이 나서서 어머니 제시카는 베네 게세리트라 해독 훈련을 받았기에 살아남았을 뿐 자신은 예언의 마흐디가 아니라고 선언하고, 권력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의 생활 방식을 배우고 하코넨에 맞서 함께 싸우고 싶을 뿐이라며 이를 중재한다. 오히려 스틸가와 근본주의자 무리는 이에 마흐디는 너무도 겸손해서 스스로가 마흐디임을 부정할 것이라는 예언과 일치한다며 흥분해서 더욱 광신에 빠져들고, 챠니는 폴의 진심을 좀 더 이해하게 된다. 그 후 폴은 어머니 제시카에게 다가가 생명의 물을 마시기 전까지와는 달리 자신에게 퀴사츠 해더락이 될 거라고 뱃속에 있는 알리아가 말한다는 제시카의 말을 듣는다.

1.3. 프레멘의 지도자가 된 폴

폴은 프레멘들과 함께 싸우기 위한 프레멘들의 방식을 배우고자 사막 횡단하기, 바람덫 사용법 등을 훈련받는다. 스틸가가 사막 지대를 횡단하는 훈련을 시키는데, 스틸가는 여러 조심해야 할 것을 말해 주던 중에 뜬금없이 사막의 요정인 진(Djinn)을 조심하라는 충고를 한다.[10] 사실은 마흐디라면 가르쳐주지 않아도 할 수 있을 거라는 무모한 믿음에서 시킨 일이었고,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챠니가 몰래 따라가서 폴이 횡단하고 텐트를 치는 것을 돕는다.
훈련을 성공적으로 끝마친 이후에도 하코넨의 스파이스 수확기(하베스터)를 급습해 하베스터는 물론 그 주변을 경호하던 오니솝터까지 파괴하며 전투에서 공을 세운 폴은 그날 밤 스틸가에게 프레멘 전사 이름인 '우슬 (Usul)'을 받고, 스스로는 사막의 작은 쥐인 '무앗딥 (Muad'Dib)'[11]이라는 이름을 지어 어엿한 프레멘 전사인 "폴 무앗딥 우슬"로 거듭남으로서 나머지 일원에게도 인정받게 된다. 스틸가는 북쪽으로 더 가겠다는 폴의 말에 처음에는 죽을 수도 있다고 거부하다 이내 마음을 바꾸어 그렇게 하겠다며 마음을 바꾸어 말하고, 무앗딥이 단순히 귀여운 캥거루쥐가 아니라 여러 의미(북극성을 포함한 별자리, 길을 가리키는 자, 사막의 스승)를 가졌다면서 폴이 고른 새 이름을 잘 지었다며 마음에 들어하는 등 폴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그와 대치되게 챠니는 내키지 않는 표정을 지으며 폴의 전사 이름인 우슬만 말하고 더 북쪽으로 떠날 준비를 하던 중 자신의 프레멘식 이름인 시하야는 '봄의 샘물'이고 이 이름을 안 좋아하는 이유는 예언에서 따서 만든 이름이기 때문이라고 밝히는 등 프레멘 신앙을 좋게 보지 않는 태도를 가졌음을 폴에게 보여준다. 그리고 어쩌면 자신이 모두가 동등한 프레멘들과는 달리 귀족 가문의 혈통을 가져 모래벌레조차 타지 못할 수도 있는 폴이 프레멘이 되어 모두와 동등해지는 방법을 가르쳐 줄지도 모른다고 말하며 그와 키스를 하여 연인관계를 형성한다. 이후 프레멘들은 폴의 의견에 따라 짐을 싸 더 북쪽으로 움직인다.

한편 아라킨. 아라키스에서 스파이스 수확을 진두지휘하던 라반이 프레멘의 지속적인 방해로 급격히 줄어버린 스파이스 수확량을 만회하지 못하는 와중에, 프레멘들을 무자비하게 제거할 목적으로 하코넨 병사들을 허무하게 죽음으로 몰자 하코넨 남작은 공작의 독가스로 인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몸을 회복하고자 약욕하던 중에 라반을 불러 그가 하코넨 가문에 굴욕을 주었다며 화를 내고, 라반 대신 사이코 기질로 악명높은 조카이자 라반의 동생 페이드 로타 하코넨에게 일을 맡긴다.[12]

다시 사막. 폴은 예지몽을 꾸다 일어나는데, 챠니는 또 무슨 꿈을 꾸었냐고 물어보고 폴은 조각난 장면이라 뚜렷한 게 없고, 자신이 남부로 간다면 볼 미래라고 하는데 자신은 맨발로 걷는 어느 여인을 따라가고 있으며 자신이 남부로 가게 되면 성전을 일으키고 많은 사람이 자신 때문에 굶어 죽을 거라고 말하며 그 여인이 걷는 주변에 굶어 쓰러진 사람들을 비춘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챠니는 스파이스에 오래 노출되어 폴 역시 눈이 파랗게 변한 모습을 보게 된다.
프레멘이 되는 마지막 시험인 모래벌레 타기에서 폴은 유례없이 어마무시한 크기의 모래벌레를 불러내었고 극적으로 올라타는 데 성공한다. 스틸가의 예언파는 모래벌레의 크기 역시도 예언과 같다고 날뛴다. 폴은 출중한 역량과 지지를[13] 기반으로 프레멘의 핵심 지도자로 성장하며[14], 여기에 제시카가 종교적 물밑작업으로 북부 프레멘을 장악하며 적극적으로 퍼트린 광신 프로파간다 덕분에 타브르 시치 내에서 프레멘의 구세주로 여겨지게 된다. 이를 알게 된 챠니는 폴과 성관계를 가지며 프레멘이 그를 숭배하는 것에 걱정된다고 폴에게 경고한다.

교모가 된 제시카는 남부로 떠나게 되는데, 그녀의 곁에 서 남부로 떠나기 위해 짐을 챙기는 프레멘들을 보며 폴은 같이 가자는 어머니의 말에 어머니가 위험한 말들을 퍼뜨리고 있는 데다 자신은 남부에 있는 어머니를 위해 북부에서 투쟁해야 하며, 예언자가 아니라기 때문에 가지 않을 거라고 반기를 들지만, 제시카는 동생 알리아가 뱃속에서 사랑에 눈이 멀었고 자신이 예언자라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말싸움을 벌이고, 끝까지 예언자임을 인정하라며 우리가 저들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제시카의 말에 "그건 희망이 아니에요!(That's not hope!)"라고 소리치고 제시카의 뒷모습을 보며예지몽 속의 그 여인이 제시카였음을 알게 되고, 제시카는 결국 먼저 남부에 도착하게 된다.[15]

1.4. 페이드 로타의 등장

스파이스 저장고가 프레멘들에게 폭파되자 라반은 스파이스 채취에 방해가 되는 프레멘들을 절멸시키기 위해 대량의 오니솝터와 부하들을 데리고 본거지로 추측되는 곳에 쳐들어간다. 하지만 라반은 프레멘들의 흔적을 놓친 부하를 바로 그 자리에서 목을 꺾어 죽이고는 아무도 없는 돌산에 폭격을 하라는 희대의 명령을 내리는 바람에 어떤 피해도 주지 못했고, 자신들이 발사한 미사일 때문에 시야가 먼지로 가려져 오니솝터에서 내린 후에는 피아식별조차 하지 못한 채 아군을 쏴 죽이거나 소수의 프레멘들에게 일방적으로 학살당하는 데다 오니솝터들도 파괴된다. 심지어 탈주하던 중에 오니솝터에 붙어 있던 여성 프레멘에게 죽을 위기에 놓인 와중에 부하가 총을 쏴 프레멘을 떨어뜨려 겨우 살아남는 등 엄청난 굴욕을 겪으며 후퇴하는 신세가 되자 결국 그는 남작이 페이드에게 후계자 자리를 넘기기로 개심한 현실에 굴복하고 만다.

한편 카이테인. 이룰란은 아버지 황제 샤담 4세에게 프레멘들에게 무앗딥이라는 선지자가 나타났다고 말하고, 이에 샤담 4세가 사다우카를 보내 암살 등의 공격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제안하자 되려 그런 방법은 프레멘들의 신앙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며 프레멘들과 하코넨 가문이 전쟁을 하게 하고, 아버지가 구원자로서 평화를 가져오는 방법을 제안한다. 베네 게세리트 측에서도 폴이나 페이드 로타가 아라키스를 지배하고 둘 중 하나가 황제가 될 것을 알았기에 모히암 대모는 이룰란의 폴이 살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말에 그런 말은 나와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는, 폴 때문에 황제가 사다우카를 아트레이데스 가문 몰살에 보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대가문들이 전쟁을 일으키게 되어 머지않아 황제는 폐위될 것이며, 폴은 우리의 유일한 예언자가 아니라고 하고는 사이코패스적 성향이 있음에도 페이드 로타가 그녀와 결혼하고 황제가 될 것임을 넌지시 통보한다. 그 후 레이디 마고트가 페이드 로타를 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코넨 가문의 모행성 기에디 프라임에 파견된다.
파일:페이드 승리 선언.jpg
기에디 프라임. 하코넨 남작은 페이드 로타의 생일을 축하해 주기 위해 자신과 베네 게세리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검투장에서 페이드 로타와 아트레이데스 가문 최후의 3인이 싸우게 한다. 페이드 로타는 검투 전, 몸과 이를 검은색으로 칠하고 칼을 가져다 준 시녀들을 칼로 베어 내구도를 시험하고는 칼을 고르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준 후 기에디 프라임 특유의 검은 태양으로 인해 흑백으로 보이는 검투장 바깥으로 나가 싸움에 임한다.[16]

이 과정에서 하코넨 남작은 페이드 로타의 강함을 시험할 겸 그의 승리를 더욱 극적으로 만들기 위해 그가 싸운 3인 중 한 명에게는 의도적으로 독을 주입시키지 않고 나머지 두 명은 독을 주입시켜 싸움에 내보낸다. 페이드 로타는 두 명은 쉽게 이겼지만 독을 주입받지 않은 한 명을 상대하게 되는데 자신의 방어막이 반응할 정도로 불리해지자 놀랍게도 방어막을 해제해 당당히 같은 조건에서 싸우겠다고 선언, 자신을 돕고자 상대의 등에 장대에 달린 칼을 휘두르는 결투 보조인들조차 물러나게 한 후, 살짝 고전했지만 결국은 몸싸움 끝에 상대를 "잘 싸웠다, 아트레이데스."라는 말과 함께 참살하며 이기게 되고[17], 다른 베네 게세리트들과 이를 지켜보던 마고트는 "참으로 인상적이다"라고 말한다.

경기가 끝난 뒤, 페이드는 남작에게 자신을 죽일 셈이었냐며 따지고, 목욕 중이었던 남작에게 익사시켜 버리겠다고까지 폭언을 하지만 남작은 오늘은 너가 영웅이라며 웃어넘기고 생일선물로 스파이스 생산량을 확보하지 못한 라반에게서 아라키스의 총독권을 빼앗아 주겠다고 말한다.[18][19] 페이드 로타를 축하하는 잔치가 한창인 그날 밤 레이디 마고트는 본 목적을 위해 페이드 로타에게 접근한다. 딱히 '목소리'를 쓰는 묘사는 안 나왔으나 마치 꿈 속처럼, 의식의 흐름처럼 상황이 흘러가다가 결국 페이드 로타와 마고트 단 둘이 방이 들어가게 되고 페이드는 시험을 받게 된다. 마고트는 페이드 로타에게 상자에 손을 넣으라 '목소리'로 지시한 후 페이드 로타의 목 옆에 곰 자바를 댄다.[20]

이후 다음 날 혹은 며칠 뒤 카이테인에서의 베네 게세리트 모임으로 장면전환되고, 마고트는 시험에 통과한 후 하룻밤을 보내 혈통(=임신)을 확보했다고 말한다. 모히암 대모는 페이드 로타는 잔혹한 습성에도 불구하고 곰 자바의 시험을 통과했으므로 퀴사츠 해더락의 자질이 있으며, 인격적 결함을 파고들어(소시오패스+성적 유혹에 매우 취약) 베네 게세리트가 조종할 여지도 충만하다고 이룰란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페이드 로타는 남작에게 아라키스의 총독으로서 임명받는, 남작과 서로 얼굴에 키스하는[21] 의식을 치른다.

1.5. 남부로 떠나는 폴, 퀴사츠 해더락으로의 각성

다시 사막. 아라키스에 남아 밀수업자가 된 거니 할렉은 밀무역에 쓸 스파이스를 채취하려고 하베스터를 가동한다. 그런데 당시 폴은 하코넨의 하베스터를 표적으로 게릴라 전술을 펴고 있었기 때문에 거니의 하베스터 역시 하코넨의 것인 줄 알고 프레멘 부대를 이끌고 습격한다. 그러나 얼마 안 가 거니임을 깨닫고 부대가 칼을 거두게끔 한 후 재회의 기쁨을 나눈다. 거니는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보유한 92발의 핵탄두가 있는 비밀 격납고의 위치를 폴에게 알려주고 폴, 프레멘들과 이동하던 중 퀴사츠 해더락의 예지 능력과 프레멘의 힘으로 아라키스를 전복시켜 아버지의 복수를 할 것을 종용한다. 하지만 폴은 예지 능력으로 자신이 남부로 가 프레멘을 규합할 경우 끔찍한 사건이 생길 것을 보았기 때문에 이를 극구 거부하고, 챠니가 핵탄두와 퀴사츠 해더락의 능력으로 폴이 변할 것을 걱정하자 이 힘은 챠니와 프레멘들에게 헌신하기 위한 힘이라며 안심시킨다. 한편 아라키스 남부에서 제시카는 금지된 신전에서 사제를 시켜 모래송어에게서 생명의 물을 채취한다. 그녀가 사제에게 폴에게도 생명의 물을 마실 기회를 주라고 말하자 사제는 남성은 생명의 물을 마시면 예외없이 죽기 때문에 남성이 마시는 것은 원래 금지되어 있다며 거부한다. 그러자 제시카는 '목소리'를 써서 폴에게 생명의 물을 마실 기회를 주라고 명령한다.

폴은 타브르 시치 주변에서 프레멘들과 함께 텐트를 치고 잠을 자고 있었는데, 예지몽 속에서 해가 떠 있는 아라키스의 모래언덕 위에 우뚝 서 있는 챠니에게 달려갔는데 챠니가 쓰러지고, 그녀의 얼굴이 노화되고 상처투성이가 된 모습을 보고 잠에서 깬다. 잠에서 깨 텐트에서 나와 예지몽 속에서처럼 우뚝 선 챠니에게 다가갔더니, 그녀는 아라키스 총독이 된 페이드 로타가 타브르 시치의 위치를 모종의 방법으로 알아내어 건쉽 포격으로 그곳을 초토화시키는 것을 보고 있었다. 이때 남작과 라반도 우주선에 있었는데, 페이드는 구식 미사일로 타브르 시치를 초토화시키는 모습을 보고 남작에게 칭찬을 받던 중 왜 여기 있냐며 내장을 후벼파 주겠다며 달려드는 라반을 두들겨 패서 쓰러뜨리고는, "형은 내 가문과 나를 망신시켰어."라며 비판하고 그의 목에 칼을 들이내며 강제로 자신의 발에 키스하게 하여 이걸로 둘 다 공평(둘 다 망신스러워졌다)해졌다고 말하고 자리를 뜬다. 남작은 이런 라반을 위로해주기는 커녕 "또 우리 가문을 망신시키면 그땐 죽을 줄 알아라."라며 더 질책한다.

폭격으로 인해 수많은 프레멘이 부상을 입게 되고, 그 중 하나였던 스틸가는 이에 남부로 가서 자신을 죽이고 자신의 자리를 차지해 프레멘을 이끌어 주라고 부탁하고, 폴이 거부하자 "당신이 안 믿어도 상관없소! 난 믿으니까!(I don't care what you believe, I BELIEVE!)"라는 말까지 하는 등 광신적인 태도로 폴에게 부탁한다. 뒤이어 거니 역시 폴에게 같이 남부로 가자고 설득하지만, 역시 폴은 자신을 놔두고 남부로 가 제시카를 지킬 것을 명령하며 끝까지 남부로 가면 일어날 비극을 막고자 한다. 하지만 페이드 로타는 폴과 마찬가지로 예지력을 가졌기 때문에 그의 행동으로 발생한 변수는 폴의 예지력으로는 예측할 수 없었고, 결국 폴은 북부 내에서 투쟁을 이어나갈 여지가 없게 된 데다 챠니마저 이대로 있는 한 끝나지 않을 거라며 폴을 설득하자 고민한 끝에 결국 남쪽으로 떠나기로 결심한다. 페이드 로타는 타브르 시치 내부를 살피기 위해 직접 방문 후 홀로 남은 챠니의 친구 시샤클리와 대면한다. 하코넨 병사 9명을 죽인 그녀는 입을 열지 않았지만 폴이 남쪽으로 도망갔을게 뻔하니 심문할 필요조차 없다며 근처의 병사에게 화염방사기를 뺏어 그대로 죽이고, 그 사이 폴은 챠니와 함께 남부로 떠나게 된다.

이때 마지막까지 고민하던 폴은 자미스의 환영을 보고 길을 찾기 위해서는 넓게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자미스의 말을 따라 생명의 물을 마실 결심을 한다. 폴은 금지된 신전으로 들어가 생명의 물을 마시고 자신의 동생 알리아가 성인이 되어 아라키스에 없는 바다 앞에서 자신에게 우리 가족의 진실을 알고 상처를 입게 될 거라고 하는 예지몽을 보며 가사 상태에 빠진다.

그러는 사이, 제시카의 강제적인 '목소리'의 명령으로 뒤늦게 도착한 챠니는 자신의 능력으로 자신이 흘리던 눈물을 생명의 물에 찍어 폴에게 먹여 깨우는 데 성공한다.[22] 둘은 잠시 서로를 마주보며 기뻐하나, 이내 챠니는 폴이 전과 다르게 정말로 예언의 존재가 되려고 멋대로 목숨을 걸어버린 일에 대해 배신감과 상실감에 빠져 폴의 뺨을 때리고 자리를 뜬다.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한 폴은 제시카에게 혈통 기억을 통해 제시카가 하코넨 남작의 딸이고 따라서 자신은 하코넨 남작의 손주라는 걸 알게 됐으며 우리는 하코넨이니 하코넨의 방식, 즉 비열하고 더러운 방법으로 살아남을 것이라 말한다.[23]
파일:KH_Dune Part 2.gif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한 폴과 지표면 위로 올라온 샤이 훌루드의 모습
[ 폴의 연설 전문 ]
>Mahdi, Mahdi. Only tribe leaders can speak.
남부 부족장: 마디, 마디. 오직 부족의 지도자들만이 발언할 수 있습니다.
If you wish to share your voice, you must take his place by defeating him and returning his water to the well.
말씀을 들려주시려면 저 자의 목숨을 결투에서 취하시고, 그의 물을 우물에 돌려주셔야 합니다.
You think I'm stupid enough to deprive myself of the best of us? Do you smash a knife before battle?
: 내가 스스로 우리들 중 최고를 내다 버릴 정도로 멍청해 보이느냐? 그대는 전투 전에 칼을 부숴버리나?!
Take my life, Usul. It is the only way.
스틸가: 내 목숨을 가져가시오, 우슬. 그것이 유일한 길이오.
I'm pointing the way!
폴: 내가 길을 가리킨다!
(회의장의 모든 프레멘들이 경악한다.)
Slow down…
제시카: 천천히…
There is no one in this room who can stand against me!
: 이 방에 있는 자들 중 감히 나에게 대적할 자 누구인가!
(분노한 프레멘들이 일제히 크리스나이프를 빼든다.)
Your mothers warned you about my coming. Fear the moment. But you think you could have a chance.
폴: 그대들의 어머니는 내가 당도하리라 경고했었다. 그때를 두려워하라고. (한 남부 프레멘을 바라보며)그럼에도 기회가 있을 것이라 여겼겠지.
But you're afraid. If I could be the one? This could be the moment you've been praying for, all your life.
하지만 두려워하는구나. 내가 만약 예지된 자라면? 지금이 바로 그대가 평생토록 기도해 왔던 그 순간일 수도 있다.
You’re praying now. To your grandmother. She died nine moons ago. She lost an eye. A rock smashed her face as she was crossing the belt. She was twelve when it happened.
그대는 지금 기도하고 있지. 그대의 조모에게. 그녀는 아홉 달 전 세상을 떴고, 한쪽 눈이 없었다. 폭풍을 건너던 중 얼굴에 돌을 맞았지. 당시 그녀의 나이, 12세였다.
At that time, this world had a Fremen name,
그때 이 행성은 프레멘 이름으로 불렸으니,
Dune.
.
Lisan al-Gaib!
남부 프레멘: 리산 알 가입!
(남부 프레멘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일제히 절한다.)
Mahdi…
스틸가: 마디…
In your nightmares, you give water to the dead and it brings joy to your heart!
폴: (남부 부족장을 가리키며) 악몽 속에서 그대는 망자를 위해 눈물을 흘리며 기쁨을 느끼지!
Muad'Dib!
남부 부족장: (감격해 절을 하며)무앗딥!
Mahdi, what do you foresee for us?
스틸가: 마디, 우리의 미래에서 무엇을 내다보십니까?
Green Paradise.
폴: 녹색의 낙원.
Lisan al gaib… Show us the way!
스틸가: 리산 알 가입… 우리에게 길을 보여주소서!
This is my father’s ducal signet.
폴: 이것은 공작이셨던 나의 아버지의 인장이다.
(아트레이데스 가문 반지를 끼우는 폴을 보며 거니가 감격한다.)
I am Paul Muad’Dib Atreides, Duke of Arrakis! The Hand of God be my witness, I am the Voice from the Outer World!
난 폴 무앗딥 아트레이데스, 아라키스의 공작이다! 신의 손이 나의 증인이요, 내가 바로 [ruby(외계의 목소리, ruby=리산 알 가입)]이니라!
I will lead you to PARADISE!
내가 그대들을 이끌 것이다, 낙원으로!
(감격해 눈물을 흘리는 스틸가와 함께 수많은 프레멘들이 환호성을 지른다.)
Lisan al-Gaib!
스틸가: 리산 알 가입!
[24]
이후 프레멘 군사 회의에서[25] 폴은 여태까지의 겸손하고 주저했던 태도와는 달리 스틸가를 결투로 죽여 발언권을 얻으라는 남부 부족장에게 우리 중 가장 뛰어난 자를 죽이라는 어리석은 짓을 하냐며, 싸우기 전에 칼을 부수냐며 호통치고, 자신조차 자신을 죽이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는 스틸가를 물리며 발언권이 없는데도 중앙에 나서서 연설을 시작한다. 프레멘 전통따위는 알 바 아니고, 자신은 길을 만드는 자이므로 마음대로 말할 것이며, 그런 자신에게 감히 대적할 자가 있느냐고 쩌렁쩌렁하게 호통치며 일갈한다.

이에 현장에 있던 수많은 프레멘이 일어나 일제히 칼을 뽑아들며 경계하지만, 폴은 조금도 당황하지 않고 혈통 기억을 통한 전지 능력[26]과 카리스마로 자신이 리산 알 가입임을 납득시켜 전사들이 스스로 무릎꿇게 만들고, 녹색의 낙원(Paradise)을 약속하며 프레멘 사회를 완전히 장악한다. 그리고 전에 빼놨던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공작을 상징하는 반지를 주머니에서 꺼내 다시 끼며 스스로를 폴 무앗딥 아트레이데스이자 아라키스의 공작, 리산 알 가입이라고 칭하며 낙원으로 인도하겠다고 선언한다.[27] 이에 스틸가와 프레멘들, 거니는 일어서며 감격하고 열광하지만, 챠니는 유일하다시피 앉은 채로 이를 좋지 않은 표정으로 일관한다.

1.6. 아트레이데스 가문과 프레멘의 반격

이후 폴은 아트레이데스 인장을 찍은 선전포고문으로 황제를 도발한다.[28] 이에 이룰란은 모히암 대모에게 아트레이데스 가문을 몰살하라고 조언한 결정 때문에 이 사단이 났다며 따지지만, 모히암 대모는 아트레이데스 가문은 궁극의 힘을 가진 데다 위험할 정도로 반항적[29]이기에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된 것이며 폴과 페이드 중 한 명은 결국 황제 자리를 빼앗을 것이며, 코리노 가문이 황제 자리를 유지하는 방법은 단 하나라며 이룰란을 설득시킨다. 한편 제시카는 예언에 반대했음에도 짐을 챙겨 북부로 가려는 챠니를 보고 왜 그러냐고 묻고, 이에 챠니는 페다이킨으로서 동료들을 위해 싸우고자 북부로 가는 거라며, 폴 때문이 아니라고 답한다.

자제력을 잃은 샤담 4세는 사다우카 군단을 이끌고 직접 아라키스에 출정한다. 그리고 아라킨에 자신이 타고 온 우주선 아래에 피라미드 모양의 행궁을 세우고 아라킨을 장악한 후 하코넨 가문을 부른다. 샤담 4세는 무앗딥의 정체를 몰랐던 하코넨 남작에게 스파이스 채취와 아트레이데스 가문 절멸에 실패한 일을 강하게 질책하고 사다우카를 시켜 그의 생명유지 장치와 반중력 장치를 박살내 버린다. 하지만 이 모든 것 역시 폴이 황위를 뺏기 위해 세운 계략의 일부였으며, 황제가 왕림하고 사다우카가 주둔한 것을 확인하자마자 폴은 아라킨을 둘러싸고 있는 산맥으로 핵폭탄을 발사하고, 스틸가는 핵폭탄이 떨어진 후 아라킨의 서쪽에서, 챠니와 페다이킨은 동쪽에서, 폴은 근본주의자들과 북쪽에서 공격하고, 거니는 남은 병력들과 아라킨 내부로 진입하여 하코넨 병력을 몰살하는 방식으로 작전을 세운다.
파일:폴 아트레이데스 (무앗딥).gif
파일:폴 핵폭탄.gif
파일:샤이 훌루드 급습.jpg
프레멘과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역습
Long Live the Fighters![30]
전사들이여 영원하라!
- 폴 아트레이데스
바로 아트레이데스 가문 & 프레멘의 공세가 이어지는데, 우선 하코넨이 강탈한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도시 아라킨 일대의 산맥을 핵폭탄으로 날려버려 폭풍이 도시의 방어막을 제거하게한[31] 뒤,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깃발을 등에 꽂은 모래벌레 여러 마리에 탑승한 스틸가가 이끄는 프레멘 군단이 순식간에 아라킨 일대로 침공을 개시한다.[32] 여기에 코리노와 하코넨의 오니솝터 수십 대도 프레멘들에게 격추되고 모래폭풍 속에서 파괴되며 사다우카는 순식간에 혼비백산 상태가 되어 버린다. 그러는 사이, 폴은 북쪽에서 근본주의자들로 이루어진 페다이킨 군단과 함께 핵폭발의 여파에서 재정비 중이던 사다우카를 기습해 물리치고 황제의 행궁에 쳐들어간다.
남작과 라반의 죽음, 복수의 성공
들어가자마자 폴은 옆에 늘어서 전투 태세를 갖춘[33] 사다우카를 완전히 무시하고 사다우카, 심지어 조카 페이드 로타마저 폴을 경계하여 지켜주지 못하는 상황에[34] 황제의 옥좌가 있는 넘어진 채 계단을 기어가던 하코넨 남작에게 성큼성큼 다가가 두건에 가려진 얼굴조차 제대로 드러내 보여주지 않은 채 "짐승처럼도 죽는군요, 할아버지."라고 나지막히 말하고는 무미건조하게 단검으로 참살한다.[35] 하코넨 남작을 처리한 폴은 차콥사어로 페이드 로타를 포함한 황실 일행을 포로로 잡고 사다우카는 다 죽일 것이며, 남작의 시체는 사막에 던져 벌레의 먹이로 주라는 명령을 내린다.

한편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깃발을 휘두르는 거니를 포함한 폴, 프레멘 일행과 하코넨 병사들의 전투가 밤이 되도 끝나지 않던 중[36] 폴과 프레멘 일행이 산맥을 폭격할 때부터 프레멘이 행궁을 장악할 것을 눈치채고 미리 도망쳐 있던 라반은 순식간에 프레멘이 완전히 행궁을 장악한 와중에도오니솝터로 도망치려 하나 하코넨 병사들을 물리치고 자신을 부르며 복수를 위해 찾아온 거니와 마주치자 "죽음에서 돌아온 자가 누구인지 봐라!"라며 도발하고는 잉크덩굴 채찍 2개를 양손에 들고 전투에 임한다[37]. 그러나 무색하게 몇 초 만에 제압당해 사망하고[38], 하코넨 병사들은 자신들이 아트레이데스 병사들에게 프롤로그에서 그랬던 것처럼 시체가 되어 불살라지며 제대로 보복당하게 된다. 남작의 시체 역시 폴의 명령에 따라 사막에 던져져 사막의 개미를 닮은 소형 곤충들에게 먹히고 만다.

1.7. 페이드 로타와의 최종 결투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Avqt_18Cz4)]
[ 샤담 4세에게 결투를 신청하는 폴 ]
>There is a massed armada in orbit. You’re facing a full invasion, Fremen.
샤담 4세: 대규모 함대가 궤도에서 대기중이다. 전면전을 치르게 될 것이다, 프레멘.
How can you be so sure the Great Houses are here for me? They may be curious to hear my side of the story, don’t you think?
: 어째서 대가문들이 나의 적이라고 확신하지? 그들도 내 입장에서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하지 않을까?
I am Paul Atreides, son of Leto Atreides, Duke of Arrakis.
난 폴 아트레이데스, 아라키스의 공작 레토 아트레이데스의 아들이다.
Gurney.
폴: 거니.
My Lord.
거니: 공작님.
Send a warning to all ships. If the Great Houses attack, our atomics will obliterate all spice fields.
폴: 모든 함대에 경고를 보내라. 만약 대가문이 공격한다면, 우리의 원자탄이 스파이스 수확지들을 모조리 초토화시켜 버릴 것이라고.
You’re out of your mind.
샤담 4세: 정신이 나갔군.
He’s bluffing.
페이드: 허세입니다.
Consider what you’re about to do, Paul Atreides.
모히암 대모: 네가 하려는 짓을 신중히 생각해보아라, 폴 아트레이데스.
SILENCE!
폴: 조용!
(모히암이 폴의 '목소리'에 압도당해 주저앉는다.)
Abomination...
모히암 대모: 흉물이로다...
Message sent, my Lord.
거니: 메세지 전달됐습니다, 공작님.
As a servant of the Imperium, you will bow at my feet.
샤담 4세: 제국의 종으로써, 내 발밑에 절하라.
Your feet? You’ll be lucky to keep your head.
폴: 당신 발?! 머리 간수할 걱정이나 하지 그래.
I’ll take the hand of your daughter. She will remain safe. And we will rule together over the Empire.
당신 딸은 내가 아내로 맞이하지. 그녀는 안전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함께 제국을 다스리겠지.
(충격을 받은 챠니가 동요한다.)
But you… You have to answer for my father.
폴: 하지만 당신... 당신은 내 아버지에게 한 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해.
Do you know why I killed him?
샤담 4세: 내가 왜 를 죽였는지 아느냐?
Because he was a man who believed in the rules of the heart. But the heart is not meant to rule.
그는 마음으로 사람을 다스릴 수 있다 믿었지만, 마음은 다스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니...
In other words… your father was a weak man.
샤담 4세: 다시 말해, 너의 아버지는 나약한 자였다.
...Stand or choose your champion.
폴: ...나와 맞서거나, 대전사를 골라라.
I am here, Atreides. I need a blade.
페이드: 내가 하겠다, 아트레이데스. 검을 다오.
Accept mine.
샤담 4세: 내 것을 받아라.

행궁을 장악한 폴은 하코넨이 황제를 몰아세우려고 부른 대가문의 함대가 거의 다 왔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거니를 시켜 인질이 된 황실 일행을 부르고는 대가문들에게 개입하면 스파이스 생산지에 핵폭격을 해 스파이스를 우주에서 없애버릴 것이라는 협박을 한다. 이에 샤담 4세와 페이드 로타는 정신 나갔냐, 허세다라는 반응을 내놓고 모히암 대모는 너가 일으킬 일에 대해 생각해 보라고 하지만 폴은 "조용(Silence)!"이라는 '목소리' 한 마디로 무력화시킨다.[39] 이어서 샤담 4세의 "제국의 종으로서 나에게 절하라"는 말에 머리 간수한 걸로 행운이라며 윽박지르고 딸 이룰란과 결혼할 거라며 샤담 4세에게 순순히 황위를 넘길 것을 종용하며, 동시에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책임을 지라고 윽박지른다. 하지만 샤담 4세가 폴을 노려보며 "제국의 종으로서 나에게 절하라", "레토는 사람을 마음으로 다스릴 수 있다고 믿었지만, 마음은 다스릴 수 없다. 즉, 너의 아버지는 나약한 자였기에 죽인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반응으로 도발하며 이를 거부하자 폴은 샤담 4세에게 자신과 직접 결투하거나 대신 싸울 챔피언을 고르라고 한다.
파일:폴 vs 페이드.jpg
May thy knife chip and shatter.
그대의 칼이 쪼개지고 부서지기를.
- 폴 아트레이데스 & 페이드 로타 하코넨
호승심이 넘치던 페이드 로타가 곧장 황제의 챔피언을 자처하고, 둘은 필사의 사투를 벌인다. 폴이 칼에 맞고 밀리는가 싶지만, 이것은 빈틈을 유도한 폴의 계략[40]으로 페이드 로타가 결국 패배하고, 페이드 로타는 전에 마지막으로 맞섰던 아트레이데스 최후의 1인에게 했던 "잘 싸웠다, 아트레이데스."를 유언으로 남긴다. 폴은 자신의 몸에 박혀 있던 칼을 빼내고 샤담 4세에게 다가가고, 이룰란은 기꺼이 당신의 신부가 될 것이며 황위는 당신의 것이라고 설득한다.
결국 황제가 폴에게 굴복하여 폴의 아트레이데스 가문 반지에 입을 맞추는 순간 뒤에서 이 모든 걸 지켜보고 있던 챠니는 교모이자 폴의 어머니 제시카, 폴의 혼인 상대인 이룰란을 제외하고 모두가 무릎 꿇은 와중에 혼자 서 있음으로써, 폴이 완전히 변해버렸다고 판단하고 실망하여 홀로 자리를 뜬다. 이내 앞서 언급한 대가문의 함대가 도착하고, 대가문이 폴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통신을 보낸다. 거니를 통해 이 소식을 들은 폴은 "그들을 낙원으로 인도하라(Lead them to paradise)"며 대가문에 선전포고를 하고, 자신이 그토록 막으려 했던 우주 전쟁을 제 손으로 시작하고 만다.[41]

이에 광기에 찬 프레멘들은 환희에 가득 차 리산 알 가입을 외치고, 스틸가를 선봉으로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깃발을 휘두르며 사다우카의 함선을 탈취해 출정한다. 이를 보며 제시카는 뱃속에 있는 알리아에게 오빠가 대가문들에게 전쟁을 선포했다고 말한다. 한편, 챠니는 사막으로 나와 이를 분노어린 눈으로 바라보며 홀로 모래언덕에 올라가 모래벌레를 부르고, 모래벌레를 탈 준비를 하는 챠니의 뒷모습과 분노와 슬픔이 섞여 있는 복잡한 표정을 하고 있는 챠니의 얼굴을 비추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2. 원작과의 차이점

전반적인 얼개는 원작 소설의 후반부와 같으나, 세부적인 진행에서 차이를 보인다.

폴이 하코넨 남작을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장면을 근거로 영화의 전개가 원작 소설에서 폴이 예지했던 미래 중의 하나인 것으로 해석하는 관점이 있다.# 특기할 점은 해당 미래가 소설에서 폴이 본 두 개의 미래 중 하나고 이 미래가 마녀들이 원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해 다른 미래를 택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영화 3부에서는 폴이 레토 아트레이데스 2세 대신 황금의 길을 가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작에서 폴과 폴의 예지몽에 나타난 엘리아의 관계는 마치 폴의 아들과 딸인 레토 아트레이데스 2세가니마 아트레이데스 사이의 끈끈한 관계와 유사하다. 폴의 예지몽에서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엘리아가 성장한 모습(안야 테일러조이)으로 폴에게 사랑해(I love you.)라는 언술은 형제끼리 충분히 가능한 말이지만, 그 언어에 묻혀있는 끈끈함은 폴의 자식들인 레토 2세와 가니마 사이의 끈끈함에 비견될 가능성도 있다. 본 작에서 폴의 연인이자 레토 2세와 가니마의 어머니인 챠니가 모래벌레와 함께 사라져버리고 엘리아가 자신의 어머니와 오빠를 조종하는 듯한 묘사는 충분히 한 세대 앞당겨진 황금의 길의 복선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내용 축약을 위해 삭제된 부분도 다수 존재하는데 특히 거니 할렉 부분이 대거 삭제되었다. 폴을 만나기 전의 밀수생활 내용이 빠져있어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절멸했는데 어떻게 살아있는지'에 의문을 갖는 관객들이 많다. 또한 원작 소설의 중반부 주요 갈등 요소중 하나로 하코넨 전쟁 당시 상황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거니가 가문 절멸의 원인을 베네 게세리트인 제시카로 오해하고 복수를 다짐하면서 제시카의 만남까지의 미묘한 위기감이 중반부 진행의 한 축이었으나 영화에서는 분량상 삭제되었다.

2.1. 개별 캐릭터 묘사

  • 폴 아트레이데스
    퀴사츠 해더락으로의 변화에 부정적인 색채가 더해졌다.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한 이후에는 더 이상 내면 묘사가 등장하지 않으며 검은 후드를 쓴 복장을 통해 무언가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엔딩부에서 무앗딥 지하드를 스스로 개전한다.
    자미스의 장례식에 대한 묘사가 달라지면서 자미스에게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사라졌지만, 대신 자미스를 죽인 것에 대한 트라우마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폴이 자미스의 환영을 보고 퀴사츠 해더락이 될 각오를 하게 되기 때문에 극에 미치는 영향력은 좀 더 커졌다.
  • 제시카 아트레이데스
    블라디미르 하코넨의 친딸이라는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는 시점이 다르다. 원작 전개대로 했다면 원래는 듄 파트 1 영화에서 관련 내용이 나왔어야 했으나 파트 2에서 생명의 물을 마시고 알게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2] 폴 아트레이데스도 생명의 물을 마시고 각성한 뒤 제시카에게 이에 대해 말하자 제시카도 자기가 이 사실을 알게 된 건 생명의 물을 마시고 난 뒤라고 말한다. 이후 폴은 당사자를 죽일 때도 이 사실을 귓가에 속삭이면서 죽인다.
    파트 1에서 제시카가 하코넨의 스파이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공작의 측근들 사이에서 도는 서브플롯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거니와의 재회, 투피르 하와트 등의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이 생략되었다.
  • 엘리아 아트레이데스
    원작 소설에서는 말을 유창하게 할 수 있는 어린이로 나왔으나, 빌뇌브의 파트 2에서 엘리아는 태어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블라디미르 하코넨을 죽이는 장면은 폴이 죽이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아마도 아이가 어른을 죽이는 묘사를 넣으면 12세 관람가를 받기 힘든 점도 있고, 영화 전개 템포가 빨라지면서 하코넨과 황제에게 복수하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은 것처럼 묘사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처럼 뱃속 태아가 아이로 성장할 때까지 기다리다 반격한 것으로 묘사하면 그동안 5~9년은 흘렀다는 말이 돼서 어색했을 것이다.
성장한 모습(안야 테일러조이)이 예지상으로 나오긴 하나 영화 내내 뱃속 태아로 나오다 보니 카메라에 배우가 잡히진 않는다. 하지만 영화에서 보여주는 존재감은 결코 작지 않다. 엘리아가 영화가 끝날 때까지 태어나지 않아서 어린 아이가 시에치를 공격한 사다우카를 교란하거나 샤담 4세, 블라드미르 하코넨을 말빨로 벙찌게 만들었던 원작의 무게감을 보여주는건 불가능해졌지만, 오히려 영화 초반부터 목모가 된 제시카의 뱃속의 태아인 상태에서 어머니와 소통하거나 오빠의 꿈에 장성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존재감을 각인시킨다. 게다가 뱃속에서 제시카에게 무앗딥 신앙 포교 활동을 독촉하거나, '오빠가 사랑에 눈이 멀어 망설이고 있다.'며 오빠의 각성을 촉진시켜야한다고 어머니에게 자기 주장을 펴는 모습을 자주 등장한다. 특히 영화 말미에서 모든 걸 알면서 묻듯 아무렇지 않게 '어머니, 무슨 일이 일어났지요?' '오빠가 대가문에게 전쟁을 선포했단다.'라고 대화를 주고 받는 태아 엘리아와 제시카의 모습은 섬뜩하게까지 느껴진다.
이번 작에서 폴이 블라드미르 하코넨을 죽일 때 "할아버지"라고 했던 대사도 원작에서는 꼬마 엘리아의 대사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원작의 엘리아가 보여준 카리스마, 단호함, 교활함에 가까운 지혜를 이번 작에서는 폴이나 제시카가 분담한다고 볼 수 있다.
원작에서 가이우스 헬렌 모히암이 엘리아에게 흉물(abomination, 듄2 한국 극장판에서는 '변종'이라고 번역)이라고 외친 장면도, 이번 작에서는 폴에게 목소리로 압도당한 모히암이 폴을 두고 혼자 되뇌이는 말로 각색되었다. 이때의 장면은 첫 편에서 모히암이 폴에게 "조용(Silence)!"이라고 목소리를 사용한 장면과 대구된다.
  • 챠니 카인즈
    공동 주연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비중이 커졌다. 원리주의적인 남부 프레멘과 대립하는 세속적인 성향의 프레멘이라는 캐릭터성이 부여되었는데 폴에게 인간적인 호감을 가지고 연인이 되지만 리산 알 가입 신앙에는 거부감을 느끼는 등 일반 관객의 시선을 대변하는 역할이다. 원작에서는 폴의 복수가 몇 년에 걸쳐 이루어지기에 그 기간 중 폴과 아들도 낳고 또 그 아들이 죽는 등 여러 사건을 겪지만, 영화에선 폴의 복수가 열 달도 안 돼서 끝나기 때문에 전부 생략되었다. 폴이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한 후 스스로 리산 알 가입을 자처하고 황위를 얻기 위해 이룰란 공주와 (형식상이지만) 결혼하는 등 이전의 모습과 달라지는 것을 보고 홀로 모래벌레를 타고 폴을 떠나는 것으로 영화가 마무리된다. 챠니와 챠니에게 부과된 미래가 갈등의 중심이 되는 듄의 메시아의 전개를 고려했을 때 차기작 듄: 파트 3을 제작하게 된다면 추후 전개에서 가장 큰 변수가 될 수 있는 인물이다.
  • 하시미르 펜링
    원작에서 페이드 로타 하코넨을 마고트 펜링과 함께 관찰하고 있던 하시미르 펜링은 본편에서 나오기는커녕 암시도 되지 않았다.
  • 투피르 하와트
    이번 작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페이드 로타 하코넨 결투신이 변경되면서 분량이 삭제된 듯하다.
  • 거니 할렉
    1편에 비해 성격도 변하고 감정 표현이 더 다채로워졌는데, 폴을 만나자 감동이 북받쳐 올라 폴과 포옹하는 한편, 하코넨 가문, 그 중에서도 라반에 대한 복수심이 강하여 1편에서는 폴에게 진실된 충고를 해 주었던 모습과는 달리 여기서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예언을 쓰라고 부추기는 등 복수로 인해 인간성이 변질된 모습이 보인다. 후반에는 폴의 연설 중에 이 예언이 우리를 노예로 만드는 짓이라며 저항하는 챠니를 강제로 앉히고, 자신이 따랐던 레토 공작의 아들인 폴의 연설을 듣고 감격하는 등 복수심으로 인해 변질된 인간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원작과는 달리 라반을 직접 처리하여 복수를 이루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 라반 하코넨
    전편에서 보여준 잔혹한 성격에 추가로 여기서는 비열함에, 무식한 성격과 캐릭터성이 더 뚜렷해졌는데, 틀리지 않는 조언을 해 준 부하들에게 함부로 폭력을 행사하여 아까운 인재를 썩히는 짓을 하는 것은 물론, 프레멘들을 몰살하고자 하코넨 병사들을 개죽음으로 몬 데다 스파이스 수확량을 확보하지 못해 남작에게 혼나기까지 한다. 또 황제, 남작처럼 페이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무능해 보이는 묘사도 강한데, "무앗딥 어디 있나!"라고 큰소리치다 진짜 무앗딥을 만나자 자기 혼자 오니솝터에 타 탈주하다 여성 프레멘에게 죽을 뻔 한 것은 물론, 페이드 로타에게 내장을 후벼파 주겠다고 달려가다 되려 배에 발차기를 먹고 쓰러져 페이드에게 우리 가문과 나를 망신시켰다며 페이드의 발에 키스하도록 하는 굴욕을 겪는 건 물론 남작에게조차 우리 가문을 또 망신시키면 그땐 진짜로 죽는다며 또 혼나는 묘사가 나온다. 이런 묘사는 마지막까지 등장해서, 아트레이데스 가문과 프레멘이 핵무기로 폭격을 하자 자기 혼자 행궁에서 뛰어서 탈주한 건 물론, 원작에서 그냥 프레멘들과의 전투에 휘말려 죽은 것과는 달리 프레멘들이 완전히 행궁을 장악한 후에도 끝까지 도망가려다 복수를 위해 찾아온 거니를 보고 알량한 자존심을 회복하고자 잉크덩굴 채찍을 들고 3합만에 제압당해 죽는 것으로 각색되어 개그 캐릭터 수준으로 캐릭터 수준이 저하된 모습을 보인다(...).

3. 장면 탐구

  • 라스건은 미래에 화약무기를 도태시킨 주력무기였지만 라스건 광선이 닿으면 무작위로 대폭발이 일어나는 홀츠만 방어막이 일반화된 후에는 다들 사용을 꺼리게 되었다. 주요 전투가 샤이 훌루드는 접근하지 않는 아라킨 내에서 벌어진 파트 1에서는 방어막을 켜고 냉병기로 싸우는 묘사가 주류였다면, 파트 2는 라스건 등 첨단 무기의 사용 빈도가 크게 늘었다. 파트 2의 주요 무대는 방어막을 감지하면 쫓아와서 미쳐 날뛰는 샤이 훌루드의 활동 지대라 지상군이 방어막을 쓸 수 없기 때문이다.[43] 파트 2에서는 보병이 방어막을 거의 쓰지 않는다. 초반 하코넨 부대 기습 장면에서 아군이 기습 저격을 당하는 모습에 한 병사가 당황하며 방어막을 입에 담자 옆에 다른 병사가 다급하게 제지하며 (총에 맞는 한이 있더라도) 방어막은 안 된다고 외칠 정도. 프레멘은 은엄폐를 중시하며 기습과 저격을 하는 현대적 게릴라전을[44] 벌이는데, 하코넨 보병 라스건과 오니솝터 도어건으로 달린 산탄라스건, 전작에서도 나왔던 하코넨 건쉽의 재래식 유도탄, 프레멘의 라스건과 초소형 탄약을 쏘는 지대공 로켓 발사기, 비장의 수로 등장하는 아트레이데스의 핵무기 등 익숙한 듯 이질적인 미래 무기들이 훨씬 더 주목받는다. 고작 보병 단위에서 다루는 라스건 몇 정이 고층건물만한 하베스터를 종잇장처럼 찢어가르며 불살라 버리는 무시무시한 위력이 묘사되어 화약무기의 도태를 납득할 수 있다. 표절작을 생각하면 오산이다.
  • 원작에서 다룬 그대로 초인 메시아와 종교에 대한 경외보다 경계를 강조한 연출이 돋보인다. 스틸가와 예언파 무리는 폴이 마흐디라는 확신에 빠져 믿음직한 동료에서 점점 눈먼 추종자로 전락하고, 토착 종교 역시 그들이 증오하는 제국의 실세 베네 게세리트에서 바로 그들같은 이를 조종하기 위해 전략무기처럼 토착 종교에 침투시키고 퍼뜨리는 소재들에 의해 깊이 오염된 것으로 묘사된다. 바로 리산 알 가입 예언이 이런 베네 게세리트 물밑작업의 대표적 사례인데, 배타적인 프레멘이 외계에서 온 퀴사츠 해더락을 지도자이자 메시아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철저히 설계해 두었다. 일이 그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풀리기는 했으나 결국 제국주의자들의 수법에 놀아나 프레멘 전체가 병기로 쓰인 거나 다름없다. 마침내 폴이 남부 프레멘 군사회의에 난입해 각성한 초능력을 십분 발휘하며 프레멘 모두를 휘어잡을 때, 이성은 챠니의 목소리를 빌려 현장의 프레멘들에게 예언을 좇아 폴에게 조아리는 것은 스스로를 노예로 만드는 꼴이라고 울부짖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다. 폴은 각성 전까지 끊임없이 초인 "구세주"가 되어 수많은 이를 죽이게 될[45] 자신의 운명을 저주하고 거부하며 친구들이 추종자로 변모하는 모습에 괴로워하고 고뇌하는 인간성을 드러내는데, 폴이 초인으로 각성하는 시점에서 그가 실제로 어떤 생각을 하는지 관객은 더 이상 알 수 없게 되고, 겉으로 보이는 그는 너무나 초연해져서 보란 듯이 자신의 힘을 발휘해 프레멘들의 심리를 조종하고 극의 흐름을 완전 장악하기 시작해 인간성을 잃어버린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 영화가 2편 내, 그리고 1편에서 이어서 반복되는 장면을 통해 테마를 강조하는 대구 형식을 취한다. 대표적으로 극초반에 하코넨이 아트레이데스 가를 말살하고 증거물과 시체를 태우는 장면이 있는데, 이는 폴이 결말부에서 아라킨을 장악한 뒤 사다우카와 하코넨 병사의 시체를 태우는 장면으로 입장만 바꾸어 반복된다. 이는 표면적으로 폴과 하코넨의 전세가 완전히 역전되었음을 보여주지만, 초반에 급습한 하코넨 병사와 자미스의 시신에서 물을 꼬박꼬박 챙기고 중요시하던 프레멘의 태도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폴의 선동과 카리스마가 프레멘의 사고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단적으로 드러내며 또한 폴과 프레멘 역시 이제는 자신들에게 피해를 준 하코넨 가와 다를 게 없는 것처럼 묘사된다. 전작에서 모히암 대모의 목소리에 휘둘렸지만 이번에는 역으로 고함을 치며 모히암 대모를 같잖다는 듯 물리치는 장면 역시 마찬가지. 이 외에도 1편에서 폴이 자미스와의 전투에서 이겼던 방식대로 페이드 로타에게 이기는 묘사, 아트레이데스 병사들이 하코넨 병사들을 경계할 때처럼 계단 위에서 사다우카 병사들이 창칼을 겨누고 폴을 경계하는 묘사, 던칸이 죽을 때의 테마를 2편에서는 폴이 남작을 죽이며 복수에 성공하는 순간에 활용하는 등의 묘사가 있다.
  • 기에디 프라임에서의 실외 장면은 완전한 흑백으로 표현된다. 단순히 미감을 위해 흑백 필터를 씌운 것이 아니라 인공 조명이 있는 실내에서는 유채색, 자연광을 받는 실외에서는 흑백이라는 뚜렷한 기준이 있다. 이는 검은 태양의 영향으로 해당 행성의 환경이 이질적임을 시각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기에디 프라임 장면은 촬영감독 그렉 프레이저의 아이디어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되었다. #
  • 이 생명의 물을 마시고 빈사상태가 된 뒤 미래의 환영을 보는데, 사막 끝에 이르러 아라키스에 존재할 리 없는 바다가 나온다. 그리고 바닷가엔 장성한 모습의 여동생 엘리아가 프레맨 복장을 입고 나타나 폴을 바라보며 "사랑해, 오빠"라고 말한다. 파트 1에서 챠니가 나왔던 예지몽과 유사한 장면으로 원작에선 엘리아가 "자신의 능력으로 오빠에게 전할 메세지를 미래 속에 심었으며, 그것은 폴조차도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지나가는 언급으로만 있는 장면이다.
  • 폴의 거울상이자 대척자로서의 페이드 로타를 암시하는 장면이 지속적으로 연출된다. 폴이 차니의 꿈을 꾸었던 것처럼 페이드는 마고트 펜링의 꿈을 꾸며 똑같이 곰 자바의 시험을 통과해 퀴사츠 해더락의 가능성을 보인다. 한편 폴은 페이드 로타의 타브르 시에치 공습을 예견하지 못했다고 자책하는데, 이는 페이드 로타가 어느 정도의 예지력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영화에서는 내막이 설명되지 않아 관객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시퀀스지만, 원작에선 예지 능력자들은 각자 예지력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미래의 예지 속에서 다른 예지 능력자를 인지할 수 없어 일반인 대 일반인과 다를 바 없는 관계가 된다. 이 특징은 원작 3부작의 종반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듄: 파트 2의 시작을 알리는 사다우카 언어 내레이션. 파트 1과 마찬가지로 제작사 및 배급사 로고보다 먼저 나오는데, 전작의 ‘꿈은 심연의 메시지다’와 이어지는 요소로 볼 수 있다.[2] 이때 잘 보면 하코넨 남작에게 두 개의 기계 장치가 붙어있는데, 파트 1에서 레토 공작에게 독가스 공격을 당하고 건강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는 암시이다.[3] 한국에서는 '시에치'로 번역되었다.[4] 이때 등장하는 하코넨 병사들의 무중력 등반씬이 굉장히 인상적이다.[5] 이때 스틸가의 언급에 따르면, 이들의 체액은 화학 물질로 가득찬 더러운 물이지만, 냉각용으로는 충분하다고.[6] 예언에 따르면 리산 알 가입의 어머니가 교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시카가 교모가 되지 못하면 폴도 리산 알 가입이 아니란 뜻이 되기 때문에 프레멘들에겐 죽여서 물이나 빼내면 더 볼일이 없게 된다.[7] 방금 전까지만 해도 폴에게 레토 공작은 복수를 믿지 않았다며 폴의 프레멘들을 이끄는 리산 알 가입이 되려는 야심을 좋지 않게 보던 제시카였지만 이 시점부터 두 사람의 생각이 서로 바뀌게 된다.[8] 의식에서 태아의 파란 눈이 번쩍 떠진다.[9] 참고로 폴이 챠니와 시샤클리에게 안 믿냐고 묻자 챠니는 프레멘을 믿는다라고 답하고, 시샤클리는 아멘(...)으로 답한다.[10] 프레멘의 미신적인 면모를 보여주기 위한 설정이자, 곧바로 챠니가 나타나는 가벼운 개그신을 위한 밑밥이지만, 후반부에서 폴이 허깨비나 다름없는 자미스의 기억을 불러내 퀴사츠 해더락이 될 결심을 한다는 점에서 복선으로 작용하기도 한다.[11] 사막 기후에 적응한 캥거루쥐. 폴이 스파이스를 수확하러 온 하코넨 부하들로부터 챠니를 구하는 장면 초반에 잠시 귀엽게 등장했던 쥐가 무앗딥이다.[12] 문 뒤에서 시녀들이 살해당하는 비명소리가 들려오고 남작이 '라반'이라며 나지막히 이름을 부르는데 두려움에 떠는 바티스타의 연기가 일품이다.[13] 파트1의 첫 장면에서 나오듯이 폴이 합류하기 이전에도 프레멘들은 하코넨의 하베스터를 표적으로 게릴라전을 수행했었다. 이는 폴의 대사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수십년간 이어져 온 일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코넨은 스파이스를 잘만 채취해서 큰 부를 이루었다. 그런데 처음 프레멘들 사이에서 이방인으로 조롱받으며 같이 싸우게만 해달라던 폴이 무앗딥이란 이름을 얻고 본격적으로 작전에 합류하자 하코넨의 스파이스 채취는 심각한 타격을 입는다. 이로 볼 때 폴의 전술적 기량이 월등하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지를 얻어 나중에는 프레멘 저항군의 지도자로서 이름이 알려지고 심지어 그가 남부로 가지 않으면 다른 프레멘들도 가지 않는다는 소리까지 들을 정도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14] 아바타 시리즈의 주인공 제이크 설리그레이트 레오놉테릭스를 길들여 나비(아바타 시리즈)의 우두머리인 토루크 막토로 거듭난 장면과 유사하다.[15] 교모라는 이유로 모래벌레를 타고 이동할 때 나름대로의 모래폭풍을 막아주는 구조물 속에 들어가 있는다.[16] 여기서 남작과 베네 게세리트들이 건물 내부에서 바깥으로 나가며 화면이 컬러에서 흑백으로 전환되는 연출을 볼 수 있다.[17] 참고로 이 약을 쓰지 않은 동양계 아트레이데스 사람은 랑빌로, 1편에서 근위대장으로 나왔던 인물이다.[18] 라반을 대할 때와는 태도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한데, 앞에서 페이드가 경기 시작 전에 인사를 할 때도 웃음을 지으며 받아줬고, 화나서 일방적으로 분노하는 페이드를 상대할 때도 "너무 화내지 말거라 아가야."라며 애정이 담긴 말투를 사용한다. 물론 본편에서 라반이 지속적으로 실책을 저지르며 남작을 실망시켰다는 점도 한 몫하겠지만, 원작 소설과 마찬가지로 검투 진행위원에게 나-바론(na-baron. 남작 후계자)이라고 불리는 점이나 "너를 차기 황제의 자리에 앉힐 생각이란다."라는 남작의 대사로 미루어보아 실책과는 별개로 편애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난다.[19] 물론 아트레이데스 근위대장의 실력이 페이드조차 만만히 볼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났기 때문에 정말로 죽었을 가능성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남작이 그만큼 페이드의 실력에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는 반증이기도 한데, 당시에 하코넨 가문의 유일한 후계자였던 페이드가 죽으면 곤란해지는 건 남작 또한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또한 베네 게세리트 안에서는 퀴사츠 해더락 후보이자 차기 황제로 여겨지는 중요인물이기도 했다.[20] 1편에서 모히암 교모가 폴에게 했던 것과 같다.[21] 1편에서 레토 공작을 벗겨놓은 것처럼 남자를 밝히는 남작의 게이 성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장면이다.[22] 폴과 북부로 갈 준비를 하던 중에 챠니가 챠니의 프레멘식 이름인 시하야는 '봄의 샘물'이고 이 이름을 안 좋아하는 이유는 예언에서 따서 만든 이름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는데, 봄의 샘물은 정말 예언에 적힌 그대로 무앗딥을 살리게 된다. 예언을 믿지 않던 챠니 자신조차 예언의 일부임이 명확해진 장면이다.[23] 또 이때 수많은 미래 중 자신이 승리하는 좁은 길을 보았다고 하는데, 후반부의 페이드로타와의 결투에서 어떻게 승리하는지도 미리 보게된다.[24] 기울임체는 차콥사어.[25] 폴이 회의장으로 들어가면서 프레멘들 사이로 행차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장면의 OST가 상당히 험악하다.[26] 한 번도 만난 적 없던 남부 프레멘의 죽은 지 오래인 친지의 신상정보와 유언, 무작위 프레멘에게 있었던 여러 사건을 낱낱이 정확하게 읊어 보임에 따라 전사들이 경악하며 이쪽저쪽에서 무기를 거두고 조아린다. 1부에서 리에트 카인즈를 대상으로 보여준 베네 게세리트의 프로파일링 기술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 경우는 혈통 기억으로 각성한 완전한 예지 능력을 사용해 해당 상황에서 상대방을 가장 확실하게 설득할 수 있는 말을 골라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27] 이때부터 극에서 폴을 다루는 방식이 달라진다. 전반부에서는 폴의 프레멘 사회 적응기를 다루면서 폴의 불안한 심리, 내면 상태, 환상 등을 폴의 시점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많았으나, 이 장면을 기점으로 폴의 시점에서 보여주는 장면이 완전히 사라지고 관객의 입장에서 폴은 무시무시한 확신에 찬 이질적인 존재가 된다.[28] 일부 구절이 나온 장면을 해석한 결과 원작과 문장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설에 나온 선전포고문 내용은 이렇다. "대가문의 공작이며 황제의 친척인 나는 최고대표자회의에 의거하여 맹세한다. 만약 황제와 황제의 사람들이 무기를 내려놓고 나를 만나러 이곳에 온다면, 내 목숨을 걸고 그들의 생명을 지킬 것이다." 이 내용을 보자마자 최악의 치부가 살아남았다는 것을 눈치챈 샤담 4세는 선전포고문을 힘없이 떨어뜨린 뒤 휘청거리며 걸을 정도로 충격을 금치 못한다.[29] 정확히는 권력과 명예, 돈을 추구하는 하코넨 및 코리노 황실 등 다른 대부분의 가문들은 욕망에 취약해 베네 게세이트가 통제할 수 있지만, 아트레이데스 가문은 그렇지 않으므로 반항적이라는 뜻이다.[30] 차콥사어 원문: Addaam reshii a-zaanta![31] 샤담 4세는 아라킨을 향해 거대한 모래폭풍이 다가오고 있어 방어막이 약해지고 있다는 보고를 받아 이를 알고 있었으나 어차피 아라킨 뒷편의 산맥이 폭풍의 대부분을 상쇄해줄 거라는 블라디미르 남작의 장담에 별다른 대비를 해두지 않았다. 그러고선 남작의 생명유지 장치와 반중력 장치를 부순 것도 포인트. 그러나 폴은 이 폭풍이 평소보다 훨씬 큰 폭풍일 것이라는 것도 이미 알고 있었고, 이 폭풍이 오는 시점에 황제가 사다우카를 이끌고 아라키스에 도착할 것도 다 알고 있었다.[32] 이때 연출이 가관인데, 모래벌레가 먼지 속에서 입을 드러내며 노이즈만이 울려 퍼지고, 사다우카 병사들이 도주하는 것을 보여주더니 스틸가가 함성을 지르며 모래벌레 군단이 바닥을 찍어누르는 연출이 등장한다.[33] 1편에서 하코넨 병사들이 아라킨에 있던 아트레이데스 가문에 침입했을 때 아트레이데스 군인들이 계단 위에서 창칼을 들고 경계하는 자세를 취했던 것처럼 여기서도 사다우카가 계단 근처에서 폴을 창칼로 경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4] 게다가 황제에게 질책을 받아 지켜주어야 한다는 의식이 없다시피 한 상황인 점 역시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200kg의 체중이라 옮기지 못한다 해도 후에 사막에 던져진 걸 보면 여러 명이 옮기는 것 자체는 쉬울 테니, 전자가 더 설득력이 있다.[35] 폴이 자신의 손자임을 깨닫고 경악하는 남작의 마지막 표정을 보여주면서 1편에서 던칸 아이다호가 희생할 때에 쓰인 멜로디를 활용하여 인상깊은 느낌을 준다.[36] 여기서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멸족하고 하코넨 가문이 장악한 아라킨이 다시 프레멘 &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침공으로 쑥대밭이 되는 장면을 프레멘 병력을 몰살하기 위해 하코넨의 오니솝터가 움직이는 모습을 중심으로 비추는데, 1편에서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멸족하는 장면을 오니솝터를 중심으로 보여준 구도의 오마주[37] 이 채찍은 기에디 프라임에서 자라는 잉크덩굴로 만들었으며, 이것을 맞으면 거니 머리의 흉터처럼 영원히 남는 흉터가 생긴다. 라반은 이 채찍을 노예 시절의 거니에게 휘둘렀던 적이 있다.[38] 단 3합만에 제압당하는데, 동생인 페이드가 이후 폴과 비등하게 겨룬 것을 생각해보면 안습한 수준이다.[39] 이 때 '목소리'에 어마어마한 저음을 깔아 위압감을 묘사했다. 또한 1편에서 모히암이 시험을 받으며 고통스러워하는 폴에게 'Silence'로 윽박한 장면과 매치가 된다.[40] 이 장면 역시 1편에서 폴이 자미스의 목숨을 빼앗고 승리하는 장면의 오마주이다.[41] 갑자기 폴이 황제에게 무릎 꿇고 반지에 입을 맞추라느니, 그토록 죽을 때까지 유일하게 사랑하겠다던 챠니를 버리고 황제의 딸과 결혼을 하겠다느니 하면서 확 달라져버린 폴에 대해 놀라는 관객이 좀 있는데, 폴은 생명의 물을 마시고 나서 과거와 미래를 완벽하게 볼 수 있는 능력이 생겼고, 결국 자신이 황제가 되어 성전을 벌여 많은 인간이 죽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인류자체가 궁극적으로 절멸한다는 것을 예지했기에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였다고 봐야한다.[42] 참고로 가이우스 헬렌 모히암이 어머니라는 설정은 브라이언 허버트가 덧붙인 설정이며 이번 영화에서는 일단 그런 내용은 나오지 않는다.[43] 방어막-라스건 관계는 영화 내에서 묘사는커녕 언급조차 안 되었기 때문에 애매하지만, 작중의 전투 양상을 좌지우지하는 핵심 설정이므로 그대로일 것이다.[44] 하베스터를 기습하려고 호흡장치만 지상으로 내민 채 모래에 파묻혀 있다가 밟히기 직전 튀어나와 호위 부대를 순식간에 몰살하는가 하면, 프레멘 부대가 하코넨 오니솝터를 격추시키기 위해 로켓발사기를 쓰는데, 오니솝터가 도어건을 발사할 때만 방어막을 해제한다는 것을 간파하고 양동작전으로 도어건 발사를 유도하고 그 틈에 로켓을 먹이는 전술도 선보인다. 특히 이런 전술행동은 귀족 자제로서 전쟁술에 능통한 폴의 합류 이후에 더 고도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45] 그가 끊임없이 보며 고통스러워한, 광신 전사들이 자신의 이름을 드높여 부르짖으며 대성전을 벌이고 수많은 이들이 굶어 죽는 미래. 이제 그가 초인의 길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실현될 이 미래에서는 그에 의해 최소 610억 명의 사람이 죽고 90개 행성이 불모지로 변하며 500개 행성이 무릎꿇고 40개 종교가 말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