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래스 열람 ·
- ||<(><nopad><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b376,#0db376><tablebgcolor=#0db376,#0db376>
| 전사 계열
[[전사(마비노기 모바일)|]][[대검전사|전사]][[검술사|대검전사]]검술사| 궁수 계열
[[궁수(마비노기 모바일)|]][[석궁사수(마비노기 모바일)|궁수]][[장궁병(마비노기 모바일)|석궁사수]]장궁병| 마법사 계열
[[마법사(마비노기 모바일)|]][[화염술사(마비노기 모바일)|마법사]][[빙결술사(마비노기 모바일)|화염술사]]빙결술사| 힐러 계열
[[힐러(마비노기 모바일)|]][[사제(마비노기 모바일)|힐러]][[수도사(마비노기 모바일)|사제]]수도사| 음유시인 계열
[[음유시인(마비노기 모바일)|]][[댄서(마비노기 모바일)|음유시인]][[악사(마비노기 모바일)|댄서]]악사| 도적 계열
[[도적(마비노기 모바일)|]][[격투가(마비노기 모바일)|도적]][[듀얼블레이드(마비노기 모바일)|격투가]]듀얼블레이드
도적 계열
무기
듀얼소드
스탯
솜씨 main
행운 sub
태그
#근접
#연타
#범위
#회피
1. 개요
마비노기 모바일] 신규 클래스 계열 '도적' UPDATE |
한 쌍의 검으로 쉴 틈 없이 검격을 퍼부어 적을 압도하는 클래스.
검을 휘두를수록 거센 돌풍처럼 더욱 빠른 속도로 적을 끊임없이 베어낸다.
가벼운 갑옷을 선호하며, 누구보다 빠른 속도의 차이를 적에게 깊이 각인시킨다.
검을 휘두를수록 거센 돌풍처럼 더욱 빠른 속도로 적을 끊임없이 베어낸다.
가벼운 갑옷을 선호하며, 누구보다 빠른 속도의 차이를 적에게 깊이 각인시킨다.
마비노기 모바일에 등장하는 도적 계열 클래스 중 하나. 2025년 4월 24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되었고, 오픈 후 처음으로 추가된 클래스들 중 하나다.
2. 스킬
2.1. 액티브
2.1.1. 스플릿 슬래시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스플릿 슬래시
#연타
#보조
##
두 개의 검을 깊숙이 찔러 약점을 노리는 급소 공격.
검을 찔러 넣은 후에 날개를 펼치듯 휘둘러 피해를 준다.
일정 시간 적의 근접 방어를 일정 비율 무시하는 효과를 얻는다.
두 개의 검을 깊숙이 찔러 약점을 노리는 급소 공격.
검을 찔러 넣은 후에 날개를 펼치듯 휘둘러 피해를 준다.
일정 시간 적의 근접 방어를 일정 비율 무시하는 효과를 얻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4 방어력 무시 10% 방어력 무시 지속시간 20초 방어력 무시 중첩 1회 방어력 무시 최대 중첩 4회 재사용 대기 시간 12초 사거리 1.65m |
2.1.1.1. 스플릿 다운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스플릿 다운
#연타
#보조
##
두 개의 검을 내려 찍어 약점을 노리는 급소 공격.
도약 후, 검으로 내려 찍어 타겟에게 더욱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타겟의 근접 방어를 일정 비율 무시하는 효과를 즉시 중첩시켜 얻는다.
두 개의 검을 내려 찍어 약점을 노리는 급소 공격.
도약 후, 검으로 내려 찍어 타겟에게 더욱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타겟의 근접 방어를 일정 비율 무시하는 효과를 즉시 중첩시켜 얻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4 방어력 무시 10% 방어력 무시 지속시간 20초 방어력 무시 중첩 3회 방어력 무시 최대 중첩 4회 질풍 자원 소모 4개 사거리 1.65m |
2.1.2. 더블 크레센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더블 크레센트
#연타
#방해
##
몸을 크게 회전하여 올려 치는 회전 공격.
공격을 맞고 브레이크된 적은 높이 떠오른다.
이미 브레이크된 적을 공격 시, 큰 피해를 준다.
몸을 크게 회전하여 올려 치는 회전 공격.
공격을 맞고 브레이크된 적은 높이 떠오른다.
이미 브레이크된 적을 공격 시, 큰 피해를 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2 브레이크된 적 공격시 대미지 n x 2 브레이크 대미지 1칸 재사용 대기 시간 17초 사거리 1.65m |
2.1.2.1. 라이징 크레센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라이징 크레센트
#연타
#방해
##
몸을 크게 회전하여 올려 치는 회전 공격.
공격을 맞고 브레이크된 적은 높이 떠오른다.
이미 브레이크된 적을 공격 시, 큰 피해를 준다.
몸을 크게 회전하여 올려 치는 회전 공격.
공격을 맞고 브레이크된 적은 높이 떠오른다.
이미 브레이크된 적을 공격 시, 큰 피해를 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6 브레이크된 적 공격시 대미지 n x 6 브레이크 대미지 2칸 질풍 자원 소모 4개 사거리 1.65m |
2.1.3. 스핀 러시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스핀 러시
#연타
#이동
#방해
##
회오리바람처럼 휘돌며 베어내는 회전 공격.
순간적으로 몸을 회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주변 적들을 여러 번 베고 범위 피해를 준다.
회오리바람처럼 휘돌며 베어내는 회전 공격.
순간적으로 몸을 회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주변 적들을 여러 번 베고 범위 피해를 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7 재사용 대기 시간 12초 사거리 3.3m 범위 2m |
2.1.3.1. 스크류 러시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스크류 러시
#연타
#이동
#방해
##
회오리바람처럼 휘돌며 베어내는 회전 공격.
순간적으로 몸을 회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주변 적들을 여러 번 베고 범위 피해를 준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적에게 지속 피해: 출혈을 추가로 준다.
회오리바람처럼 휘돌며 베어내는 회전 공격.
순간적으로 몸을 회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주변 적들을 여러 번 베고 범위 피해를 준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적에게 지속 피해: 출혈을 추가로 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총합 대미지 n x 7 출혈 지속 대미지 n 질풍 자원 소모 4개 사거리 3.3m 범위 2m |
2.1.4. 하울링 게일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하울링 게일
#연타
#보조
##
거센 돌풍처럼 쉴새없이 퍼붓는 연속 공격.
제자리에서 버티고 서서 여러 번 검을 휘둘러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준다.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이동할 수 없다.
거센 돌풍처럼 쉴새없이 퍼붓는 연속 공격.
제자리에서 버티고 서서 여러 번 검을 휘둘러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준다.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이동할 수 없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연타 대미지 n x 17 마무리 대미지 n x 2 재사용 대기 시간 23초 범위 4.5m |
2.1.4.1. 하울링 템페스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하울링 템페스트
#연타
#보조
##
거센 돌풍처럼 쉴새없이 퍼붓는 연속 공격.
제자리에서 버티고 서서 여러 번 검을 휘둘러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준다.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이동할 수 없으며 일정 시간 동안 추가 타격을 주고 급소 회피 확률이 증가한다.
거센 돌풍처럼 쉴새없이 퍼붓는 연속 공격.
제자리에서 버티고 서서 여러 번 검을 휘둘러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준다.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이동할 수 없으며 일정 시간 동안 추가 타격을 주고 급소 회피 확률이 증가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연타 대미지 n x 17 마무리 대미지 n x 2 추가타 대미지 대미지의 10% 급속 회피 30% 효과 지속 시간 60초 질풍 자원 소모 4개 범위 6.5m |
2.1.5. 글라이딩 퓨리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글라이딩 퓨리
#강타
#이동
##
재빠르게 파고들어 진영을 흩트리는 기습 공격.
강력한 돌진으로 적의 틈새를 파고들어 경로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주며 단숨에 이동한다.
재빠르게 파고들어 진영을 흩트리는 기습 공격.
강력한 돌진으로 적의 틈새를 파고들어 경로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주며 단숨에 이동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2 재사용 대기 시간 18초 사거리 12m 범위 3.5m |
2.1.5.1. 라이트닝 퓨리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라이트닝 퓨리
#강타
#이동
##
재빠르게 파고들어 진영을 흩트리는 기습 공격.
강력한 돌진으로 적의 틈새를 파고들어 경로의 모든 적에게 더 큰 피해를 주며 단숨에 이동한다.
재빠르게 파고들어 진영을 흩트리는 기습 공격.
강력한 돌진으로 적의 틈새를 파고들어 경로의 모든 적에게 더 큰 피해를 주며 단숨에 이동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대미지 n x 2 질풍 자원 소모 4개 사거리 12m 범위 3.5m |
2.1.6. 파이널 히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1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
파이널 히트
#강타
#연타
#이동
##
빛과 같은 기세로 연격을 쏟아내는 극한의 검술.
한계를 초월한 육체로 빛처럼 쇄도하여 공격을 퍼부어 타겟에게 큰 피해를 준다.
타겟이 사라지면 주변의 가장 가까운 타겟을 찾아 공격을 잇는다.
-『무수한 검의 궤적은 결코 떨쳐낼 수 없다.』
빛과 같은 기세로 연격을 쏟아내는 극한의 검술.
한계를 초월한 육체로 빛처럼 쇄도하여 공격을 퍼부어 타겟에게 큰 피해를 준다.
타겟이 사라지면 주변의 가장 가까운 타겟을 찾아 공격을 잇는다.
-『무수한 검의 궤적은 결코 떨쳐낼 수 없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folding [ 상세 수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434f57,#434f57> ## 연타 대미지 n x 16 마무리 대미지 n x 2 궁극기 비용 300 사거리 14m |
2.2. 패시브
2.2.1. 피어오르는 열망
||<table width=100%><width=8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더 빠르게, 더 강하게 몰아치고자 하는 투지.
궁극기를 제외한 듀얼블레이드의 스킬은 사용 시 질풍의 기운을 획득하고, 질풍의 기운이 4개가 되면 기운을 모두 소모해 강화 스킬을 사용한다.
또한 스킬 사용 시 일정 확률로 질풍의 기운을 추가로 생성한다.
추가 질풍 자원 생성 1칸
발동 확률 25% ||
피어오르는 열망
더 빠르게, 더 강하게 몰아치고자 하는 투지.
궁극기를 제외한 듀얼블레이드의 스킬은 사용 시 질풍의 기운을 획득하고, 질풍의 기운이 4개가 되면 기운을 모두 소모해 강화 스킬을 사용한다.
또한 스킬 사용 시 일정 확률로 질풍의 기운을 추가로 생성한다.
추가 질풍 자원 생성 1칸
발동 확률 25% ||
2.2.2. 재충전
||<table width=100%><width=8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숙련된 검술로 스킬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기술.
기본 공격 마다 무작위로 스킬 하나의 남은 재사용 대기 시간이 감소한다.
기본 공격의 위력에 따라 효과가 강화된다.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0.5 - 1.5초 ||
재충전
숙련된 검술로 스킬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기술.
기본 공격 마다 무작위로 스킬 하나의 남은 재사용 대기 시간이 감소한다.
기본 공격의 위력에 따라 효과가 강화된다.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0.5 - 1.5초 ||
2.2.3. 전투 숙련: 파멸
||<table width=100%><width=8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근거리에서 공격을 수행하는 숙련된 전투 기법.
기본 공격에 받는 피해가 감소하고, 적에게 주는 무방비 피해가 증가한다.
받는 기본 공격 대미지 감소 10%
무방비 대미지 증가 5% ||
전투 숙련: 파멸
근거리에서 공격을 수행하는 숙련된 전투 기법.
기본 공격에 받는 피해가 감소하고, 적에게 주는 무방비 피해가 증가한다.
받는 기본 공격 대미지 감소 10%
무방비 대미지 증가 5% ||
2.2.4. 활기
||<table width=100%><width=8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연이은 공세 속에서 힘을 끌어올리는 신체 능력.
연타 시, 다음 강타 피해가 증가한다.
연타 시 강타 대미지 증가 20%
재사용 대기 시간 5초 ||
활기
연이은 공세 속에서 힘을 끌어올리는 신체 능력.
연타 시, 다음 강타 피해가 증가한다.
연타 시 강타 대미지 증가 20%
재사용 대기 시간 5초 ||
2.2.5. 바람 칼날
||<table width=100%><width=80><tablebgcolor=#434f57,#434f57><table bordercolor=#434f57,#434f57><(>
||<(>
날쌔게 검을 휘둘러 바람같이 공격하는 검술.
일정 확률로 적을 한 번 더 베어 추가 피해를 주고 질풍의 기운을 추가로 생성한다.
기본 공격의 위력에 따라 효과가 강화된다.
기본 공격 추가 대미지 50%
추가 질풍 자원 생성 1칸
발동 확률 20% ||
바람 칼날
날쌔게 검을 휘둘러 바람같이 공격하는 검술.
일정 확률로 적을 한 번 더 베어 추가 피해를 주고 질풍의 기운을 추가로 생성한다.
기본 공격의 위력에 따라 효과가 강화된다.
기본 공격 추가 대미지 50%
추가 질풍 자원 생성 1칸
발동 확률 20% ||
3. 룬
<colbgcolor=#eee,#2c2d2f> 룬 | 등급 | 설명 |
열상 | <nopad> 엘리트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스플릿 슬래시, 스플릿 다운 스킬에 변화를 준다. 공격할 때 검기를 날려 전방에 범위 피해를 준다. 스킬 재사용 대기 시간이 감소한다. |
보름달 | 엘리트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더블 크레센트, 라이징 크레센트 스킬에 변화를 준다. 브레이크된 적에게 사용 시 더블 크레센트 재사용 대기 시간이 완전히 감소한다.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효과는 일정 시간마다 한 번만 발동한다. |
속행 | 엘리트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하울링 게일, 하울링 템페스트 스킬에 변화를 준다. 스킬 사용 중에 궁극기를 제외한 액티브 스킬들의 재사용 대기 시간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
강화 | 엘리트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하울링 게일 스킬에 변화를 준다. 강화 스킬 사용 시 하울링 게일, 하울링 템페스트 스킬 피해량이 증가한다. |
회오리 | 에픽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스크류 러시 스킬을 3960 허리케인으로 교체한다. |
질주 | 에픽 전설 | 듀얼블레이드의 글라이딩 퓨리, 라이트닝 퓨리 스킬에 변화를 준다. 라이트닝 퓨리 사용 시 글라이딩 퓨리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초기화하며, 일정 확률로 질풍 자원을 1개 추가로 획득한다. |
- 추천 룬: 질주, 열상
출시 첫 버전 기준으로 듀얼 블레이드의 룬은 대부분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하며 명확한 장단점이 존재하기에 정답은 존재하지 않는다.
- 질주: 강화 스킬 '라이트닝 퓨리'를 사용시 일반 스킬 '글라이딩 퓨리'의 쿨타임을 초기화시켜주고, 확률적으로 질풍 스택을 얻을 수 있는 룬.
- 장점 : 시전 속도가 빠르고 계수가 높은 퓨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빠른 딜링이 가능하다.
- 단점 : 글라이딩 퓨리 및 라이트닝 퓨리는 강제 이동을 동반하기 때문에 연속 사용시 생존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해지며, 글라이딩 퓨리의 남은 쿨타임이 짧을 때 라이트닝 퓨리를 사용할 경우 룬 효과 낭비가 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운영 난이도가 높아진다. 또한 퓨리는 듀얼블레이드 스킬 중 유일한 강타 태그 스킬이기에 보석 세공 시 연타 위주인 다른 스킬과 동시 강화가 힘들어 고점이 낮다는 것도 단점.[1]
- 열상: 스플릿 슬래시에 검기를 추가하고 쿨타임을 2초 감소시켜주며, 강화 스킬 스플릿 다운에 검기와 충격파를 추가해주는 룬. 방어 무시 버프 4중첩 용도인 스킬 특성상 쿨타임 감소는 소소하게 좋고, 툴팁만 읽으면 눈치채기 힘들지만 검기와 충격파는 단순 범위 증가가 아닌 추가 계수 개념이기 때문에 딜상승률이 높은 편이다. 듀얼블레이드는 어시스트 모드를 킬 경우 강화 스킬로 집요하게 스플릿 다운을 사용하려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저점이 높다.[2] 클래스 레벨 35레벨 달성 업적으로 엘리트 룬을 쉽게 얻을 수 있어 접근성이 높은 것도 장점.
- 보름달: 브레이크된 적에게 더블 크레센트, 강화 스킬 라이징 크레센트를 사용할 경우 더블 크레센트의 쿨타임을 초기화시켜주는 룬.
- 장점 : 더블 크레센트와 라이징 크레센트는 기본적으로 브레이크된 적에게 사용할 경우 듀얼블레이드의 스킬 중 가장 계수가 높으며, 모션도 짧고 간결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강한 폭딜을 넣을 수 있다.
- 단점 : 하위 컨텐츠에서는 효과를 쉽게 활용할 수 있지만, 어비스나 레이드 같은 상위 컨텐츠에선 전투 시간 대비 브레이크 지속 시간이 매우 짧게 제한되기 때문에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어 선호도가 낮다.
- 회오리: 스핀 러시의 강화 스킬인 스크류 러시를 긴 지속 시간 동안 광역 회오리 공격을 하는 '3960 허리케인'으로 변경시켜주는 룬.
- 장점 : 총합 계수가 높으며 출혈 지속 피해를 중첩시킬 수 있고, 보석 세공 태그가 연타, 이동, 방해로 총 3종류이기에 집중적인 강화를 받을 수 있어 딜고점이 높다. 또한 몹몰이, 슈퍼아머와 넉백 면역 기능이 있어 유틸리티까지 강화할 수 있다. 슈퍼 아머가 없는 적을 띄우며 경직을 계속 주기 때문에 듀얼블레이드의 최대 단점인 잡몹전 시 낮은 생존력을 보완해준다. 이동을 적게 하기 때문에 보스 주변에 지속 딜링 장판이 있어 퓨리를 활용하기 힘든 환경에서 사용하기 편하다.
- 단점 : 사용 중 스킬 취소가 불가능하고 이동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보스전에서는 원래 낮은 듀얼블레이드의 생존력을 더욱 감소시킨다.
- 강화: 다른 강화 스킬을 사용한 후 하울링 게일과 강화 스킬 하울링 템페스트의 계수를 1.7배로 강화시켜주는 룬.
- 장점 : 강화 스킬 하울링 템페스트는 듀얼 블레이드에게 추가타, 급소 회피 버프를 60초간 제공하기 때문에 60초에 한 번은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스킬이지만, 버프기인 만큼 태생적으로 계수가 낮다는 결점이 있다. 그런 결점을 메워 준수한 딜링 스킬로 바꿔주는 룬이기에 선호도가 높다.
- 단점 : 속행 룬과 중첩이 불가능하며, 룬의 효과는 좋지만 스킬 자체의 기본 구조가 좋지 않은 점이 발목을 잡는다. 생존력이 낮은 듀얼블레이드가 긴 시간 동안 채널링하여 마지막 타격을 명중시켜야 버프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 구조 때문에 하울링 템페스트를 적극 활용할 경우 생존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 속행: 하울링 게일과 강화 스킬 하울링 템페스트 사용 중 쿨타임이 남아있는 다른 모든 스킬의 쿨타임 감소 속도를 2배로 늘려주는 룬.
- 장점 : 일반 스킬 하울링 게일은 낮은 계수와 긴 모션, 아무 용도가 없는 구조 때문에 질풍 스택을 얻기 위해 사용 후 바로 캔슬하는 일이 잦은 스킬이지만 이 룬을 채용할 경우 쿨타임 감소 스킬로 활용이 가능해진다.
- 단점 : 강화 룬과 중첩이 불가능하며, 룬의 효과는 좋지만 스킬 자체의 기본 구조가 좋지 않은 점이 발목을 잡는다. 60초에 한 번 강화 스킬 하울링 템페스트를 사용하는 것도 생존에 리스크가 있는 상태인데, 쿨타임 감소를 위해 일반 스킬 하울링 게일을 자주 활용하게 될 경우 생존력이 더욱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스킬을 지속하는 동안만 다른 스킬의 쿨타임 감소 속도가 상승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빠른 스킬' 스탯을 챙겨서 사용 속도가 빨라지면 그만큼 쿨타임 감소 효과를 짧게 받으며, 스킬 사용을 취소할 경우 쿨타임 감소를 받을 수 없다.
4. 평가
장점- 쉬지않고 몰아칠 수 있는 빠른 딜링 능력
듀얼블레이드는 강화 스킬에 쿨타임이 존재하지 않고, 평타 및 속행 룬으로 스킬 쿨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질주 룬으로 주력기인 퓨리 쿨타임을 초기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스킬 쿨타임이 길게 책정되어 있음에도 쉬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딜링이 가능하다.
-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강화 스킬들과 유동적인 딜사이클
듀얼블레이드는 스킬을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질풍 스택으로 스킬을 강화할 수 있으며, 강화기의 역할 구분이 명확히 되어있다. 주력 딜링기인 라이트닝 퓨리, 버프기인 하울링 템페스트와 스플릿 다운, 출혈 디버프를 걸며 제한적 이동이 가능한 스크류 러시, 브레이크용 라이징 크레센트 등 상황에 따라 필요한 유틸리티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질풍 스택만 쌓으면 주력기인 퓨리를 계속 쓸 수 있기에 쿨타임 감소 룬을 추가 채용할 경우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스킬은 과감히 버려도 큰 손해가 없다는 점도 장점. 또한 기본 패시브와 질주룬의 효과로 확률적인 추가 질풍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형화된 사이클이 없이 매번 다른 플레이를 하게 되므로 쉽게 질리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 다양한 유효 스탯으로 인한 세팅 편의성
듀얼블레이드는 각 스킬들의 개성이 강한 만큼 다른 클래스들은 일부만 활용할 수 있는 연타, 강타, 빠른 공격, 빠른 스킬, 추가타, 콤보 강화, 쿨타임 감소 등의 스탯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채용할 수 있는 전설 룬의 범위가 넓으며, 룬이나 보석 부옵션 재설정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사용하더라도 딜상승을 누릴 수 있다.[3]
단점
- 낮은 생존력
듀얼블레이드는 근접 딜러답게 생존력이 낮고 불안정한 급소 회피 스탯에 의존한다. 또한 간파라도 있는 검술사와 달리 생존력을 보완하는 액티브 스킬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강제 이동이 달려 장판에 취약한 퓨리, 채널링 스킬임에도 막타에 버프가 달려 생존력을 저하시키는 하울링 템페스트, 룬을 사용하여 강화하면 생존력이 더 떨어지는 3960 허리케인 등 각종 족쇄까지 달려있다. MMORPG인 마비노기 모바일 클래스임에도 마비노기 영웅전 같은 액션 게임처럼 순간적인 상황판단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집중력이 저하되거나 컨트롤 실력이 부족하면 원본 캐릭터인 창시타의 구 버전처럼[4] 순식간에 바닥에 누워 피닉스의 깃털 사용 요청창을 띄우는 것을 볼 수 있다. 패턴은 피하면 그만이지만 MMORPG 특성상 평타는 회피 불가능하기에 컨트롤만으로 극복할 수 없어 파티에 의존해야하며, 포션 낭비가 심해진다는 태생적인 한계도 존재한다.
- 랜덤성 강한 딜사이클
듀얼블레이드는 평타 및 스킬 사용시, 질주룬 채용 후 글라이딩 퓨리 사용 시 확률적으로 추가 질풍을 얻을 수 있으며 쿨타임 감소나 초기화 요소가 많기 때문에 정형화된 사이클이 없다. 이는 플레이의 재미나 파고들기에 있어서는 장점이지만, 반대로 높은 숙련도와 빠른 반응 속도를 요구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언제 운으로 추가 질풍을 얻어 쿨타임이 없는 강화 스킬이 발동될지 모르기 때문에 스킬 강화 타이밍을 잘 지켜보고 있어야하며, 생각없이 스킬을 연타할 경우 원하지 않는 강화 스킬이 발동되어 생존에 지장이 생기거나 질풍 스택만 허공에 날리게 될 수도 있다.
- 집중 강화가 힘든 캐릭터 설계
듀얼블레이드는 질풍 스택을 쌓아 상황에 맞는 한 가지 강화 스킬을 선택하는 것을 반복하는 클래스이며, 다른 스킬 사용을 보조하는 버프 스킬이 많다. 이런 특성상 태생적으로 한 가지 스킬에 대한 집중 강화를 하면 이득을 보기 쉬운 구조이다. 문제는 듀얼블레이드에는 강화를 집중해도 손해가 없을 만큼 무결점인 주력 스킬이 없다는 것이다.
기본 주력기인 퓨리는 시전 시간이 빠르며 계수도 높은 좋은 스킬이나, 보석 세공 태그상 다른 스킬은 전부 연타 스킬인 반면 퓨리만 강타 스킬이라는 단점이 있다. 종결 세팅으로 가게 되면 보석의 태그 강화는 필수적인데, 듀얼블레이드는 강타를 강화하면 퓨리만 강해지고 연타를 강화하면 다른 모든 보조기가 강해지는 대신 퓨리가 혜택을 받지 못한다. 다른 연타기들의 비중도 낮지는 않은 편이기에, 다른 딜러들이 보석 세공시 대부분 여러 개의 주력기 혹은 주력기와 보조기들이 공유하는 태그를 강화하여 전체적으로 스킬을 성장시킬 수 있는 걸 감안하면 퓨리 세팅은 태생적으로 집중적인 강화가 힘들다는 약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회오리 룬을 채용한 3960 허리케인은 높은 계수에 출혈을 중첩시킬 수 있으며 몹몰이에 슈퍼아머, 넉백 방지까지 있어 주력기로 채용 가능하다. 보석 세공 태그도 연타, 이동, 방해로 3종류이기에 다른 스킬과 같이 강화가 가능하다. 문제는 시전 시간이 굉장히 긴데도 스킬을 취소할 수 없어, 이 스킬을 주력으로 채용할 경우 안그래도 낮은 생존력에 더욱 하자가 생긴다는 것이다.
- 방어무시 버프에 의존하는 딜링 능력
듀얼블레이드는 스플릿 슬래시와 스플릿 다운 스킬으로 최대 4중첩 40% 방어무시 버프를 얻을 수 있다. 강화 스킬 스플릿 다운으로 한 번에 3중첩을 쌓을 수 있으며, 12초 쿨타임의 스플릿 슬래시를 20초의 지속 시간내에 명중만 시켜도 지속 시간이 갱신되어 쉽게 무한 유지가 가능하므로 편의성도 나쁘지 않은 준수한 버프이다. 문제는 방어 무시라는 특성상 딜링 포텐셜이 캐릭터 본체만이 아닌 적의 영향도 받는다는 것이다. 클래스의 스킬 계수와 레벨업 패시브 효율이 낮아 방어 무시 버프로 이득을 보는 것을 전제로 성능이 설계된 것으로 보이며, 적의 방어력이 높은 레이드 컨텐츠에서는 다른 강력한 딜러들과 비교해도 크게 밀리지 않는 딜링을 넣을 수 있는 반면 적의 방어력이 낮은 하위던전에서는 생존력 리스크를 지닌 근접 딜러치고는 부족한 딜링 능력을 보인다. 적의 스펙에 따라 딜포텐셜이 널뛰기 하는데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육성 단계에선 필연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이고 있어 클래스 성능의 인식 저하에 일조하고 있다.
총평
제작사 데브캣의 전작인 마비노기 영웅전 리시타의 컨셉과 플레이 스타일을 채용한 클래스이며, 리시타를 MMORPG라는 틀 내에서 제대로 구현해냈기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적의 공격을 피하며 빠르게 몰아치는 컨셉에 매력을 느끼거나 마비노기 영웅전에 대한 추억이 있다면 재밌게 즐길 수 있다.
다만 태생적으로 낮은 생존력을 컨트롤 하나만으로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실력이나 숙련도가 필요하며, 높은 조작 난이도에 비해 대미지 면에서 얻는 리턴은 없다. 생존력이 낮지만 딜도 최상위권은 아니라는 점이나, 원래 낮은 생존력을 더 낮춰야만 딜이 강화된다는 특징이 지금 목숨이 중요하냐! 크리가 터졌는데라는 명언으로 밈이 된 창시타의 출시 초기 때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점도 단점도 모두 원본 캐릭터를 고증한 클래스인 셈.
5. 삽화
듀얼블레이드 남성 | 듀얼블레이드 여성 |
6. 여담
- 듀얼블레이드의 스킬은 기본적으로는 검시타 기반이지만, 스플릿 슬래시는 사용 후 버프 적용시 검이 빛난다는 점이 창시타의 스킬 리버레이트와 유사하며, 장신구 룬에 따라 창시타의 3960 허리케인도 사용할 수 있는 등 창시타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물론 모든 스킬이 리시타와 같은 건 아니고, 비기 스킬로 마비노기 본가의 파이널 히트를 사용하기도 하고[6] 몇몇 스킬은 이름이 살짝 바뀌기도 했으며 원작에 없던 스킬이 추가되기도 했다.
- 클래스 이름인 '듀얼블레이드'는 리시타의 고향인 마비노기 영웅전에서는 벨라가 사용하는 무기로 쌍검과는 전혀 다른 사슬낫에 가까운 무기의 명칭이며, 쌍검은 '듀얼소드'라는 명칭으로 분류된다. 마비노기 모바일에서는 NPC 리시타와 대화할 경우 쌍검을 듀얼블레이드라고 지칭하며 클래스 명칭 역시 이를 차용했다. 하지만 정작 인게임 장비 분류는 마비노기 영웅전과 같이 듀얼소드라고 분류되는 등 용어가 통일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다.
- 마비노기 영웅전에서 퓨리 스킬은 글라이딩 퓨리 - 라이트닝 퓨리 순서로 사용하지만 마비노기 모바일에서는 강화스킬을 언제 쓰느냐에 따라 라이트닝 퓨리 - 글라이딩 퓨리 순서로도 사용할 수 있다.
7. 둘러보기
[1] 또한 툴팁에는 전혀 적혀 있지 않지만 질주 사용시 퓨리의 계수가 약 30% 감소되는 현상이 확인되고 있다. 버그라면 수정을 기다려야할 것이지만, 만약 툴팁 누락이라고 가정한다면 생각만큼 딜상승률이 높지는 않다는 의견도 많다.[2] 어시스트 모드 때 스플릿 다운만 계속 사용하는 게 답답하거나, 열상 룬을 채용하지 않아서 딜이 낮을 경우 옵션에서 1스킬 자동 사용을 꺼버리면 강화 스킬을 라이트닝 퓨리 위주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차피 어시스트 모드를 사용할 만큼 난이도가 낮은 하위 던전에서 방어 무시 버프는 큰 의미가 없다.[3] 마비노기 모바일의 스탯들은 지나치게 높을 경우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탯을 골고루 올리는 것이 전체적인 딜상승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4] 아이러니하게도 과거에는 창시타가 부실한 생존력과 강력한 딜을 가진 유리대포의 대표격이었지만, 각종 밸런스 패치 끝에 25년 현재의 창시타는 과거와는 정반대로 다양한 생존기로 안정성을 챙긴 대신 딜이 상대적으로 약한 생존왕이다.[5] 비슷한 입장인 카이의 경우 마비노기 영웅전의 크로스건 카이와 기본적인 컨셉은 동일하나 스킬들이 마비노기 모바일에 맞추어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디테일의 차이가 꽤 크다.[6] 리시타의 필살기 중 하나인 코멧 대시(통칭 별퓨리)는 NPC 리시타는 전용 패턴으로 사용하나, 플레이어블 듀얼블레이드 클래스는 사용할 수 없다. 대신 도적 클래스의 비기 스킬 블리츠 러시로 구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