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05구 Wahlkreis 105: Düsseldorf I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24,440명 (2025) | |||||
상위 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하위 행정구역 |
| |||||
연방의원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토마스 야르촘베크 |
1. 개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2021년 20대 선거까지는 선거구 번호 106번이었으나, 2025년 21대부터 105번으로 변경되었다.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주도 뒤셀도르프의 중심부 지역구로서 대표성을 갖는 곳이다. 고소득층이 몰려있고 보수적인 뒤셀도르프 표심이 항상 강하게 반영되는 곳으로서, 1949년 첫 선거 이후 지금까지 2번[2]을 제외하고 전부 기민련 후보가 당선되었다. 또한 전통적으로 자민당의 표가 비교적 많이 나오는 곳이기도 하다.[3]
반면 사민당, 녹색당, 좌파당은 주변 다른 도시들에 비해 침체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구 의원은 기민련의 토마스 야르촘베크다. 비례대표 정당득표율 1위 역시 기민련이 차지했다.
2. 역대 의원
- 미하엘 뮐러(Michael Müller) (사민당): 1998년 제14대부터 2002년 제15대까지 2선.
- 힐데가르트 뮐러(Hildegard Müller) (기민련): 2005년 제16대 1선.
- 토마스 야르촘베크 (기민련): 2009년 제17대부터 2025년 제21대까지 연속으로 5선을 했다.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5년 7월 31일 의원직 사퇴, 리자 슈베르트가 의원직 승계
<rowcolor=#000> 뒤셀도르프 1구 뒤셀도르프 중북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토마스 야르촘베크 | 67,108 | 36.1% | 1위 | 56,461 | 30.3% | 1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찬다 마르텐스 | 39,356 | 21.2% | 2위 | 32,067 | 17.2% | 3위 |
| |||||||
| 아나스 알-쿠란 | 32,269 | 17.4% | 3위 | 34,053 | 18.3% | 2위 |
| |||||||
| 마르코 포크트 | 18,277 | 9.8% | 4위 | 18,536 | 9.9% | 4위 |
| |||||||
| 율리아 마어물라 | 13,321 | 7.2% | 5위 | 17,731 | 9.5% | 5위 |
| |||||||
| 모리츠 크라흐트 | 9,883 | 5.3% | 6위 | 14,546 | 7.8%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다비트 케싱 | 3,344 | 1.8% | 7위 | 1,839 | 1.0% | 8위 | |
''' Volt ''' | |||||||
부르크하르트 하르팅 | 1,026 | 0.6% | 8위 | 469 | 0.3% | 11위 | |
| |||||||
알렉산더 기아나키스 | 839 | 0.5% | 9위 | 249 | 0.1% | 14위 | |
''' 독일 연합 ''' | |||||||
파울 슈트라이프 | 292 | 0.2% | 10위 | 92 | 0.0% | 17위 | |
''' MLPD ''' | |||||||
- | - | - | - | 6,791 | 3.6% | 7위 | |
| |||||||
- | - | - | - | 1,561 | 0.8% | 9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817 | 0.4% | 10위 | |
| |||||||
- | - | - | - | 324 | 0.2% | 11위 | |
''' PdF ''' | |||||||
- | - | - | - | 274 | 0.1% | 12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270 | 0.1% | 13위 | |
''' dieBasis ''' | |||||||
- | - | - | - | 108 | 0.1% | 15위 | |
''' MERA25 ''' | |||||||
- | - | - | - | 106 | 0.1% | 16위 | |
''' Werte Union ''' | |||||||
계 | 유효표 | 185,665 | 186,294 | ||||
무효표 | 1,392 | 763 | |||||
총 투표수 | 187,057 | 187,057 | |||||
투표율 | 83.3% | 83.3% | |||||
결과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뒤셀도르프 1구 뒤셀도르프 중북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토마스 야르촘베크 | 54,158 | 31.1% | 1위 | 44,892 | 25.8% | 1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찬다 마르텐스 | 38,955 | 22.4% | 2위 | 38,195 | 21.9% | 3위 |
| 비례 당선 | ||||||
| 프레데릭 하르트만 | 36,926 | 21.2% | 3위 | 39,452 | 22.6% | 2위 |
| |||||||
| 마리-아그네스 슈트라크-침머만 | 24,242 | 13.9% | 4위 | 27,743 | 15.9% | 4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비례 당선 | ||||||
| 안드레아 크랄리치 | 7,002 | 4.0% | 5위 | 7,495 | 4.3% | 5위 |
| |||||||
| 헬무트 보른 | 5,094 | 2.9% | 6위 | 6,741 | 3.9% | 6위 |
| |||||||
얀 크니칼라 | 2,531 | 1.5% | 7위 | 1,561 | 0.9% | 8위 | |
| |||||||
주자네 바흐만 | 1,802 | 1.0% | 8위 | 1,535 | 0.9% | 9위 | |
''' dieBasis ''' | |||||||
제니퍼 샤르펜베르크 | 1,546 | 0.9% | 9위 | 1,108 | 0.6% | 11위 | |
''' Volt ''' | |||||||
부르크하르트 하르팅 | 1,089 | 0.6% | 10위 | 851 | 0.5% | 12위 | |
| |||||||
라라 바흐만스 | 423 | 0.2% | 11위 | - | - | - | |
| |||||||
파울 슈트라이프 | 104 | 0.1% | 12위 | 49 | 0.0% | 23위 | |
''' MLPD ''' | |||||||
나딘 린더만 | 76 | 0.0% | 13위 | 42 | 0.0% | 25위 | |
''' LKR ''' | |||||||
- | - | - | - | 1,635 | 0.9% | 7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1,315 | 0.8% | 10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516 | 0.3% | 13위 | |
| |||||||
- | - | - | - | 165 | 0.1% | 14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147 | 0.1% | 15위 | |
''' LfK ''' | |||||||
- | - | - | - | 145 | 0.1% | 16위 | |
''' V-Partei ''' | |||||||
- | - | - | - | 143 | 0.1% | 17위 | |
''' Gesundheitsforschung ''' | |||||||
- | - | - | - | 139 | 0.1% | 18위 | |
''' LIEBE ''' | |||||||
- | - | - | - | 110 | 0.1% | 19위 | |
''' ÖDP ''' | |||||||
- | - | - | - | 89 | 0.1% | 20위 | |
''' du. ''' | |||||||
- | - | - | - | 84 | 0.0% | 21위 | |
''' NPD ''' | |||||||
- | - | - | - | 52 | 0.0% | 22위 | |
''' PdF ''' | |||||||
- | - | - | - | 45 | 0.0% | 24위 | |
''' DKP ''' | |||||||
- | - | - | - | 42 | 0.0% | 25위 | |
''' Bündnis C ''' | |||||||
- | - | - | - | 12 | 0.0% | 27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73,948 | 174,303 | ||||
무효표 | 1,162 | 807 | |||||
총 투표수 | 175,110 | 175,110 | |||||
투표율 | 79.3% | 79.3% | |||||
결과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
[1.1] 도시구 1,2,4,5,6,7을 담당, 특히 1구는 알트슈타트(Altstadt), 슈타트미테(Stadtmitte) 등 대부분의 시내 중심부를 전부 포함한다.[2] 1998년 제14대, 2002년 제15대. 두번 모두 사민당 미하엘 뮐러(Michael Müller) 당선[3] 물론 제21대에서 자민당이 원외정당으로 밀려나면서 의미 없어졌다.[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