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4:59:57

The 8 Show

더 에이트 쇼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d13637> NETFLIX 시리즈
The 8 Show (2024)
더 에이트 쇼
파일:The 8 Show 메인 포스터.jpg
장르 스릴러, 드라마, 서스펜스, 블랙 코미디, 피카레스크
공개일 2024년 5월 17일
공개 회차 8부작
러닝 타임 415분
제작사 스튜디오N, 매그넘나인[1], 롯데컬처웍스[2]
제작진 <colbgcolor=#000><colcolor=#d13637> 연출 한재림[3]
극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d13637> 제작 한재림, 권미경[4]
프로듀서
김대승, 손기선, 이범희
촬영 남동근[5], 이지훈
미술
음악 정지훈 }}} }}} }}}
원작 네이버 웹툰 - 배진수머니게임〉 & 〈파이게임
출연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이열음, 박해준, 이주영, 문정희, 배성우
촬영 기간 2022년 6월 25일 ~ 2022년 12월 23일
독점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Netflix K-Content

1. 개요
1.1. 예고편1.2. 포스터1.3. 콘텐츠1.4. 오프닝
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에피소드 목록5. 흥행6. 평가7. 원작과의 차이점8. 기타
8.1. 드라마 관련8.2. 배우 관련
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혹하지만 가혹한 쇼가 시작된다
8명의 인물이 8층으로 나뉜 비밀스런 공간에 갇혀 ‘시간이 쌓이면 돈을 버는’ 달콤하지만 위험한 쇼에 참가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이며, 원작은 웹툰 작가 배진수의〈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이다.

==# 공개 정보 #==
  • 2022년 5월, 앞서 출연을 확정지었던 배우 이지은이 스케줄로 인해 공식 하차하였고[6] 배우 천우희가 합류하게 되었다. 또한 6월 중순에 크랭크인 예정이라고 전했다. #

1.1. 예고편

▲ 공개일 발표 영상 ▲ 티저 예고편 ▲ 공식 예고편

1.2. 포스터

파일:The 8 Show 런칭 포스터.jpg 파일:The 8 Show 메인 포스터.jpg 파일:The 8 Show 스페셜 포스터.jpg
▲ 런칭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스페셜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3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8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7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4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6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2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5층.jpg 파일:The 8 Show 캐릭터 포스터 1층.jpg
▲ 캐릭터 포스터 }}}

1.3. 콘텐츠

파일:The 8 Show 로고 레드.png 콘텐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d13637> 분류 제목 출연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인사 Welcome to a secret 8-story building of mystery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예고편 리액션 2분짜리 예고편 나노 단위로 뜯어 10분 떠드는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토론회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의 공격과 평화가 공존하는 넷플릭스 토론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코멘터리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의 티격태격❤️ 비하인드 대방출 코멘터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넷컷 꽁꽁 얼어붙은 넷컷 위로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이 걸어 다닙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비하인드 장기자랑에 그 누구보다 진심이었던 배우들😂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기타 더 에이트 쇼 티셔츠 류천박 에디션👚🖌️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박정민은 진짜 유명한 코코더 장인임 | The 8 Show 홍보하러 온 건 아닌데 류준열, 박정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d13637> 매체 제목 출연 링크
파일:WWD 코리아 로고.png파일:WWD 코리아 로고 화이트.png 시간이 쌓이면 돈을 버는 'The 8 Show' 미니 인터뷰 류준열, 천우희, 박해준, 문정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1.4. 오프닝


매 화마다 처음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달라진다.[7]

오프닝에 재생되고 있는 곡은 Bobby Vinton의 Mr. Lonely라는 곡으로, 곡의 첫 벌스를 반복재생하고 있다.[8]

2. 시놉시스

8인의 남녀가 8층으로 나뉜 비밀스러운 공간에 갇힌다. 그리고 '시간이 쌓이면 돈을 버는' 쇼가 시작된다. 협력과 대립, 반목과 배신을 거듭하는 참가자들. 그들 사이에서 원초적 욕망이 격돌한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8 Show/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에피소드 목록

파일:The 8 Show 로고 레드.png 에피소드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13637> 회차 내용 러닝 타임
1화 <colbgcolor=#f5f5f5,#2d2f34>빚더미에 허덕이던 남자가 의문의 쇼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받는다. 의심하고 주저하면서도 결국 엄청난 상금에 넘어간 남자. 지금부터 다른 참가자 7인과 함께 이 쇼의 복잡한 룰을 파악해야 한다. 52분
2화 보상을 얻을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8인. 효율적으로 시간을 벌고자 팀을 나누고 계획을 정비하지만, 전략이 효력을 잃으면서 내분과 혼란이 싹트기 시작한다. 50분
3화 누군가가 3층에게 접근해 다음 활동의 선택 방향을 교묘히 조종하자고 제안한다. 변해가는 상황 속에서 변해가는 각자의 위치. 참가자들은 투표를 통해 새로운 화장실을 정하기로 한다. 51분
4화 다른 이들보다 우위에 있는 한 사람이 힘을 과시하면서 나머지 참가자들은 절박한 처지로 내몰린다. 그런 가운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은 참가자들. 판이 거듭될수록 야만적인 싸움이 이어진다. 55분
5화 몇몇 참가자가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자 전략적으로 손을 잡는다. 폭력과 굴욕을 견디며 고된 나날을 보내는 피해자들. 여기에서 벗어날 방법은 혁명을 일으키는 것뿐이다. 47분
6화 판세가 뒤집히고 한때 열세였던 사람들은 쇼를 끝낼 희망에 부푼다. 하지만 누군가 남몰래 잔혹한 짓을 계속하고, 시간은 멈추는 대신 늘어나기만 한다. 46분
7화 한 사람의 선의가 역효과를 부른다. 몇몇 참가자가 위험에 빠진 가운데 예상치 못한 충격을 안기는 돌발 행동. 다시 한번 판이 뒤집히고 모든 것이 뒤바뀐다. 46분
8화 누군가 전세를 역전할 방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짐작도 하지 못한 함정을 맞닥뜨리는 참가자들.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휘몰아치면서 쇼는 방향 모를 안개 속으로 빠져든다. 68분
}}} }}} }}} ||

5. 흥행

넷플릭스 공식 순위
<rowcolor=#d13637> 날짜 전체 순위 비영어 순위 시청 시간 시청수
2024-05-13(월) ~ 2024-05-19(일) 16위 7위 11,900,000시간 1,700,000회
2024-05-20(월) ~ 2024-05-26(일) 5위 1위 33,200,000시간 4,800,000회
누적 시청 시간 45,100,000시간
누적 시청수 6,500,000회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넷플릭스 주요 국가 일간 최고 순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최고 순위 달성 날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5위 2024년 5월 22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9위 2024년 5월 22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위 2024년 5월 23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위 2024년 5월 20일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5위 2024년 5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9위 2024년 5월 20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위 2024년 5월 22일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6위 2024년 5월 20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6위 2024년 5월 2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위 2024년 5월 19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5위 2024년 5월 22일
}}}}}}}}} ||
플릭스패트롤 월드 순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날짜 순위 점수 1위 국가수
2024-05-18(토) - 1일 차 17위 56점 0개국
2024-05-19(일) - 2일 차 5위 292점 1개국
2024-05-20(월) - 3일 차 4위 436점 3개국
2024-05-21(화) - 4일 차 4위 501점 4개국
2024-05-22(수) - 5일 차 2위 537점 3개국
2024-05-23(목) - 6일 차 2위 527점 4개국
2024-05-24(금) - 7일 차 2위 505점 5개국
2024-05-25(토) - 8일 차 3위 429점 5개국
2024-05-26(일) - 9일 차 3위 419점 5개국
2024-05-27(월) - 10일 차 3위 401점 5개국
2024-05-28(화) - 11일 차 4위 392점 2개국
2024-05-29(수) - 12일 차 - - -
2024-05-30(목) - 13일 차 - - -
2024-05-31(금) - 14일 차 - - -
2024-06-01(토) - 15일 차 - - -
2024-06-02(일) - 16일 차 - - -
2024-06-03(월) - 17일 차 - - -
2024-06-04(화) - 18일 차 - - -
2024-06-05(수) - 19일 차 - - -
2024-06-06(목) - 20일 차 - - -
2024-06-07(금) - 21일 차 - - -
2024-06-08(토) - 22일 차 - - -
2024-06-09(일) - 23일 차 - - -
2024-06-10(월) - 24일 차 - - -
2024-06-11(화) - 25일 차 - - -
2024-06-12(수) - 26일 차 - - -
2024-06-13(목) - 27일 차 - - -
2024-06-14(금) - 28일 차 - - -
출처: FlixPatrol
}}}}}}}}} ||

6.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IMDb=tt30423279, IMDb_user=7.3,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the_8_show,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59,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5975,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3.3,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4838825, 키노포이스크_user=7.5,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14804/20138, Filmarks_user=3.6,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712803, 도우반_user=6.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R2eZMB, 왓챠_user=3.0,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03071, 키노라이츠_light=83.9, 키노라이츠_star=3.5,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156484-the-8-show, TMDB_user=68,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the-8-show, 무비파일럿_user=6.1,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07575-money-game, MyDramaList_user=7.7,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JustWatch=deo-eiteu-syo, JustWatch_user=57, ## JustWatch_highlight=display,
NME=the-8-show-review-netflix-squid-game-3757717, NME_user=3, ## NME_highlight=display,
필름어피니티=film931971, 필름어피니티_user=6.3, ## 필름어피니티_highlight=display,
레트로하고 클래식한 느낌을 주는 색다른 연출과 촬영이 신선하다. 가짜로 그려진 유니폼이나 가짜로 비쳐지는 수영장 등의 미술적 측면도 사회적 은유와 함께 흥미로운 요소로 있고, 배우들의 연기 또한 호평받고 있다.

그러나 이야기나 캐릭터에 도식적인 측면이 많고 극중 인물에 감정이입이 잘 되는 편이 아니라서, 시청자는 인물들의 캐릭터 쇼와 도식적인 갈등을 극중의 더 에이트 쇼 시청자와 마찬가지로 거리를 두고 지켜보는 정도다. 그렇다고 블랙코미디로서 풍자나 유머 감각이 뛰어난 편도 아니다.

다만 전체 극의 흐름상 어떤 인물에게도 감정이입을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시나리오와 연출에서 소격효과를 사용한 느낌도 있다. 이야기 시작이 3층의 과거과 현재를 보여주긴 하지만 다분히 의도적으로 그 인물에 감정이입 하기 힘든 영상연출을 사용하였고, 이후 에피소드에서 다른 인물들의 과거가 나올 때도 마찬가지로 3층과 유사한 영상연출을 이용해 단편적이고 최소화 된 '정보'만 던져줄 뿐, 그들의 사연에 시청자들이 깊이 감정이입 할 순간이나 장면은 보여주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보면 감독은 마지막 에피소드까지 의도적으로 시청자들이 등장인물들에게 감정이입 되지 않고 CCTV를 통해 이들을 관찰하는, 극중 '존재' 하지만 '등장'하지 않는 쇼의 호스트&관객들과 같은 시점으로 드라마를 보도록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들이 극중에서 돈을 벌기 위해 하는 행동들이 어찌보면 밖에선 '범죄'에 가까운 행동들도 존재하는 만큼 평범한 이가 범죄자가 되는 작품인 브레이킹 배드의 작가/연출자가 그들에게 시청자가 감정이입 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소격효과를 쓴 것처럼 한재림 감독 또한 같은 같은 목적으로 극본을 쓰고 연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외에도 개연성 또한 조금씩 무너지는 게 흠이다. 아래층들의 1차 혁명 후, 게임을 끝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끝내지 않은 것[9][10], 특히나 시간이 늘어났으면 없애서 끝내면 될것을 범인찾기한답시고 시간을 끌고, 변수를 만들며 내부분열한 것(!), 5번의 정신상태라는 변수를 편리한 도구로 만들어 버린 것, 수면고문[11][12] 후 상태가 생각보다 괜찮은 것 등이 그 예이다. 특히 첫 번째와 두 번째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기에 개연성이 약하게 되면 몰입이 힘들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독특한 연출과 미장센[13]그리고 주제가 가져다 주는 흥미로움은 초반과 중반까지 잘먹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위에 언급했던 플롯에 대한 호불호, 개연성을 중점적으로 보는 시청자들은 안좋은 평가를 내렸다. 반대로 호평하는 쪽은 드라마가 전하고자 하는 주제의식을 잘 전달했고 마냥 평면적이지 않은 인물들의 설정이나 참신한 각색등을 더욱 중점에 두었기에 호평을 내렸다.

7.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8 Show/원작과의 차이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 제목인 "더 에이트 쇼"는 사실 에이트(eight)가 모음 소리로 시작하기에 " 에이트 쇼"가 바른 표기다. 넷플릭스 코리아는 러브 아일랜드에서 Matthew를 고집스럽게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어 매튜가 아닌 '매슈'로 표기하였는데, 이와 대치되는 행보이다.

8.1. 드라마 관련

  • 웹툰 〈머니게임〉은 호평이 압도적이었던 반면, 〈파이게임〉은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두 작품을 합쳐서 어떻게 더 큰 완성도와 재미를 확보할 것인가에 주목이 쏠리고 있다.
  • 매편 엔딩 크레딧이 각각 다르다. 엔딩 크레딧에서 출연진의 이름이 한 명씩 나타는데, 이게 매화 나오는 순서가 다르다. 1화에서는 천우희부터 차례대로 나온 다음 마지막에 류준열이 나오고, 2화에서는 박정민이 먼저 나오고 마지막에 천우희가 나타나는 방식이다.
  • 매편 오프닝 크레딧도 엔딩 크레딧과 비슷한 방식으로 각각 다르다. 해당 편의 주역의 사진 및 이름을 먼저 표시하고 다음을 순서대로 주연 배우들의 이름이 나온다. 그러나 1화의 엔딩 크레딧에 천우희부터 나온 것에 반해 1화의 오프닝은 류준열부터 차례대로 나온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스타일리쉬하고 독특한 이 오프닝 시퀀스는 국내 최고로 알려진 언디자인드 뮤지엄에서 디자인하였다.
  • 매편의 마지막에 타이틀 'The 8 Show'가 나오는데, 빨간색으로 된 8이 시계 방향으로 시계 소리를 내며 돌아간다. 돌아가는 횟수는 6번이며, 180°(6시 방향까지) 돌아간다.
  • 전반적인 설정들이 원작에서 많이 변경됐고 특히 중반부 이후의 스토리가 많이 변경됐는데 원작 파이게임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여러 트릭, 능력, 두뇌싸움 등으로 판도가 계속 바뀌지만[14] 드라마에서는 감독이 '약자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강자를 이길 수 없는 사회적 구조'라는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허무함의 극에 달하도록 이야기가 크게 변경되었다. 이것이 가장 드러나는 차이가 아래층의 반란 성공 이후 8층 무리가 다시 판을 지배한 것과 아래층 참가자들이 자신의 층을 바꾸지만 드라마판에서는 그리하지 못하는 것이다.[원작스포]

8.2. 배우 관련

  • 배우 천우희이주영은 단편영화 〈걸스온탑〉 이후로 두 번째 호흡을 맞춘다.
  • 배우 이주영배성우는 드라마 〈라이브〉 이후로 두 번째 호흡을 맞춘다.
  • 감독 한재림은 음주운전으로 인해 자숙하고 있던 배성우를 캐스팅 한 것에 대해 "배성우가 이 역할에 굉장히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감독으로서 판단이다"라고 인터뷰했다. #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좋아하면 울리는 김소현, 정가람, 송강
시즌2
Ep.06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이제훈, 탕준상, 홍승희
시즌1
Ep.10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박세완, 신현승, 최영재, 민니, 한현민
시즌1
Ep.12
킹덤 전지현
아신전
Ep.01
D.P.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
시즌1
Ep.06
오징어 게임 이정재, 박해수, 오영수, 위하준, 정호연, 허성태, 아누팜 트리파티, 김주령
시즌1
Ep.09
마이 네임 한소희, 박희순, 안보현, 김상호, 이학주, 장률
시즌1
Ep.08
지옥 유아인, 박정민, 김현주, 원진아, 양익준
시즌1
Ep.06
고요의 바다 배두나, 공유, 이준, 김선영, 이무생
시즌1
Ep.0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지금 우리 학교는 박지후, 윤찬영, 조이현, 로몬, 유인수, 이유미, 임재혁
시즌1
Ep.12
소년심판 김혜수, 김무열, 이성민, 이정은
시즌1
Ep.10
안나라수마나라 지창욱, 최성은, 황인엽
시즌1
Ep.06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유지태, 김윤진, 박해수, 전종서
파트1
Ep.06
파트2
Ep.06
블랙의 신부 김희선, 이현욱, 정유진, 박훈, 차지연
시즌1
Ep.08
모범가족 정우, 박희순, 윤진서, 박지연
시즌1
Ep.10
수리남 하정우, 황정민, 박해수, 조우진, 유연석
시즌1
Ep.06
글리치 전여빈, 나나
시즌1
Ep.10
썸바디 김영광, 강해림, 김용지, 김수연
시즌1
Ep.08
더 패뷸러스 채수빈, 최민호, 이상운, 박희정
시즌1
Ep.08
더 글로리 송혜교, 이도현, 임지연, 염혜란, 박성훈, 정성일
파트1
Ep.0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연애대전 김옥빈, 유태오, 김지훈, 고원희
시즌1
Ep.10
더 글로리 송혜교, 이도현, 임지연, 염혜란, 박성훈, 정성일
파트2
Ep.08
퀸메이커 김희애, 문소리
시즌1
Ep.11
택배기사 김우빈, 송승헌, 강유석, 이솜
시즌1
Ep.06
사냥개들 우도환, 이상이, 허준호, 박성웅
시즌1
Ep.08
셀러브리티 박규영, 강민혁, 이청아, 이동건, 전효성
시즌1
Ep.12
D.P. 정해인, 구교환, 김성균, 손석구
시즌2
Ep.06
마스크걸 고현정, 안재홍, 염혜란, 나나, 이한별
시즌1
Ep.07
너의 시간 속으로 안효섭, 전여빈, 강훈
시즌1
Ep.12
도적: 칼의 소리 김남길, 서현, 유재명, 이현욱, 이호정
시즌1
Ep.09
이두나! 수지, 양세종
시즌1
Ep.09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
시즌1
Ep.12
스위트홈 송강, 이진욱, 이시영, 고민시, 박규영, 진영, 유오성, 오정세, 김무열
시즌2
Ep.08
경성크리처 박서준, 한소희, 수현, 김해숙, 조한철, 위하준
시즌1
Ep.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선산 김현주, 박희순, 박병은, 류경수
시즌1
Ep.06
살인자ㅇ난감 최우식, 손석구, 이희준
시즌1
Ep.08
닭강정 류승룡, 안재홍, 김유정
시즌1
Ep.10
기생수: 더 그레이 전소니, 구교환, 이정현
시즌1
Ep.06
종말의 바보 안은진, 유아인, 전성우, 김윤혜
시즌1
Ep.12
The 8 Show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 이열음, 박해준, 이주영, 문정희, 배성우
시즌1
Ep.08
하이라키 노정의, 이채민, 김재원, 지혜원, 이원정
시즌1
Ep.07
돌풍 설경구, 김희애
시즌1
Ep.12
스위트홈 송강, 이진욱, 이시영, 이도현, 고민시, 진영, 유오성, 오정세, 김무열
시즌3
미정
경성크리처 박서준, 한소희, 이무생, 배현성
시즌2
미정
지옥 김현주, 김성철, 김신록, 홍의준, 임성재, 이동희, 양익준, 이레, 조동인, 문근영
시즌2
미정
오징어 게임 이정재, 이병헌, 공유, 위하준, 임시완, 강하늘, 박성훈, 양동근
시즌2
미정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 김윤석, 윤계상, 고민시, 이정은
시즌1
Ep.08
트렁크 서현진, 공유
시즌1
Ep.08
Mr. 플랑크톤 우도환, 이유미, 오정세, 김해숙
시즌1
Ep.10
}}}}}}}}}||
{{{#!wiki style="color: #db202c;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공개일 미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공개 예정 일람
<rowcolor=#ffffff> 제목 주연 회차
<colbgcolor=#f5f5f5,#2d2f34> 광장 소지섭, 허준호, 안길강, 이범수, 공명, 추영우, 조한철, 차승원, 이준혁
시즌1
미정
멜로무비 최우식, 박보영, 이준영, 전소니
시즌1
미정
애마 이하늬, 방효린, 진선규, 조현철
시즌1
Ep.06
악연 박해수, 신민아, 이희준, 이광수, 김성균, 공승연
시즌1
Ep.06
약한영웅 Class 2 박지훈, 려운, 최민영, 이민재, 유수빈, 배나라, 이준영
시즌2
미정
은중과 상연 김고은, 박지현, 김건우
시즌1
미정
지금 우리 학교는 박지후, 윤찬영, 조이현, 로몬
시즌2
미정
중증외상센터 주지훈, 추영우, 윤경호, 하영, 정재광
시즌1
미정
탄금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 김재욱
시즌1
Ep.12
트리거 김남길, 김영광
시즌1
미정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박보검, 문소리, 박해준
시즌1
미정
캐셔로 이준호, 김혜준, 김병철, 김향기
시즌1
미정
다 이루어질지니 김우빈, 수지, 안은진, 노상현, 고규필, 이주영
시즌1
미정
}}} }}} }}}||
둘러보기

2019~20202021~2025

파일:스튜디오N 로고.svg파일:스튜디오N 로고 화이트.svg 제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e46b"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방송사 제목 공동제작
파일:JTBC 로고.svg <colbgcolor=#f5f5f5,#2d2f34> 알고있지만, JTBC 스튜디오, 비욘드제이
파일:TVING 로고.svg
파일:tvN 로고.svg
유미의 세포들 시즌1 스튜디오드래곤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그 해 우리는 슈퍼문픽쳐스
파일:TVING 로고.svg 백수세끼 플레이리스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e46b"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방송사 제목 공동제작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f5f5f5,#2d2f34> 내일 슈퍼문픽쳐스
파일:TVING 로고.svg 유미의 세포들 시즌 2 스튜디오드래곤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오늘의 웹툰 빈지웍스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금수저 삼화네트웍스
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사장님을 잠금해제 하이지음스튜디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e46b"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방송사 제목 공동제작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colbgcolor=#f5f5f5,#2d2f34> 사냥개들 -
파일:tvN 로고.svg 이번 생도 잘 부탁해 스튜디오 화인컷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이두나! 스튜디오드래곤, 쇼러너스
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비질란테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스위트홈 시즌 2 스튜디오드래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e46b"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방송사 제목 공동제작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colbgcolor=#f5f5f5,#2d2f34> 닭강정 플러스미디어엔터테인먼트
The 8 Show 매그넘나인, 롯데컬처웍스
스위트홈 시즌 3 스튜디오드래곤
파일:tvN 로고.svg 정년이 앤피오엔터테인먼트, 매니지먼트엠엠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공개일 미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방송사 제목 공동제작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colbgcolor=#f5f5f5,#2d2f34> 중증외상센터 메이스엔터테인먼트
}}} }}} }}} }}}||
둘러보기

2019~20202021~2025



[1] 한재림이 대표인 제작사. 영화 〈더 킹〉, 〈비상선언〉 등을 제작했다.[2] 메인 투자사이자 공동 제작사이다.[3] 이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드라마를 연출한다.[4] 공동제작: 최병환, 정경재[5] 영화 〈조작된 도시〉, 〈안시성〉, 드라마 〈타인은 지옥이다〉 등의 촬영감독이다.[6] 드라마의 촬영 스케줄이 콘서트 〈The Golden Hour : 오렌지 태양 아래〉와 겹치면서 하차한 것으로 추측된다.[7] 3층-8층-7층-4층-6층-2층-5층-1층 순[8] 반복이 지속되면서 노래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리버스 효과가 들어가거나, 지지직거리는 소리가 추가되는 식으로 점점 더 기괴해지다가 마지막엔 지지직거리는 소리밖에 들리지 않는다.[9] 광장의 시간을 다 써 버리면 되는데 굳이 자고 일어난다.[10] 단, 이는 그 조금의 시간으로라도 돈을 벌어가려는 일말의 욕심이라 보는 사람들도 있다. 실제로 1, 2층은 벌어놓은 돈이 너무 적은 데다 2층이 1층의 돈을 메꿔주기로 약속까지 했기에 8시간으로라도 돈을 더 벌어가려는 마음이 생기는 건 전혀 이상하지 않다.[11] 고문 방법 중 최악의 고문 중 하나이다. 심지어 드라마에서도 수면고문의 위험성에 대해 언급한다.[12] 여러 커뮤니티를 보면 재미의 호불호를 떠나 이 에피소드부터 보기가 힘들어졌다는 평이 있다. 이유는 전체적으로는 등장인물을 관찰하듯 연출하였는데, 이상하게도 수면고문 시퀀스 만큼은 관찰자의 입장이 아닌 고문을 당하는 참가자의 시점을 보여주는 식으로 연출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13] 액자식 구성, 매회 다른 오프닝, 미술등등[14] 파이게임뿐만 아니라 머니게임 시리즈 3부작의 공통요소로 판을 지배하는 강자와 약자가 계속 뒤집힌다.[원작스포] 원작 파이게임에서는 1층 남성이 카드키를 이용한 속임수로 나머지 참가자들을 속여 층수를 바꾸는 것에 성공한다. 인생역전 혹은 언더도그마 등을 상징하던 층 변경 시스템이 드라마에서는 되레 약자와 강자의 바꿀 수 없는 차이를 강조하는 시스템이 된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