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07:50:18

서울주교좌성당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주교좌성당}}}에 대한 내용은 [[명동성당]]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명동성당#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명동성당#|]]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서울에 위치한 정교회 한국대교구의 주교좌성당}}}에 대한 내용은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주교좌성당: }}}[[명동성당]]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명동성당#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명동성당#|]]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서울에 위치한 정교회 한국대교구의 주교좌성당: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서울대성당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성공회 주교좌 성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한국관구
파일:서울교구문장.png 서울교구 파일:대전교구문장.png 대전교구 파일:부산교구문장.png부산교구
서울대성당
성모 마리아와 성 니콜라
대전대성당
성 베네딕트
부산대성당
성 구주
※ 밑줄 친 교구와 성당은 관구장 주교의 교구와 주교좌성당을 뜻한다. }}}}}}}}}

☧ 대한민국의 성공회 성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한국관구
파일:서울교구문장.png
서울교구
파일:대전교구문장.png
대전교구
파일:부산교구문장.png
부산교구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북한선교교구
서울대성당
내동성당
강화성당
온수리성당
대학로성당
약수동성당
안양성당
넙성성당
초지성당
송산성당
냉정리성당
삼흥리성당
석포리성당
선수리성당
장화리성당
흥왕리성당
내리성당
김포성당
일산성당
계양성당
행신성당
서인천성당
인천내동성당
간석성당
서창성당
부천성당
향동성당
광명성당
영등포성당
산본성당
안산성당
수원성당
분당성당
성남성당
송파성당
강동성당
구리성당
동대문성당
도봉성당
상계동성당
진접성당
양주성당
동두천성당
연수리성당
동탄성당
용인성당
송탄성당
팽성성당
안중성당
대안리성당
이천성당
여주성당
춘천성당
강릉성당
대전대성당
음성성당
수동성당
성남동교회
유성교회
세종성당
백석포성당
둔포성당
부대동성당
봉항성당
병천성당
예산성당
온양성당
원성동성당
봉명동성당
공주성당
금산성당
당진성당
진천성당
광혜원성당
묵방성당
봉전성당
충주교현성당
대소원성당
대소성당
복계성당
초평성당
청주산남성당
금왕성당
내수성당
오창성당
태백성당
원주성당
부산대성당
대구성당
서대구성당
울산성당
마산성당
영주성당
상주성당
포항성당
경산성당
거제성당
동래성당
사하성당
기장성당
성요한성당
제주성당
서귀포성당
-
※ 볼드체는 주교좌성당이다.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장충단비
  1. 봉황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양관[1]}}}
  1. 낙성대 삼층석탑
  2. 정업원 터
  3. 용양봉저정
  4. 성제묘
  5. 사육신묘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종친부경근당과옥첩당[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우물[3]}}}
  1. 양녕대군 이제 묘역
  2. 효령대군 이보 묘역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십자각[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조별서유기비[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선농단[6]}}}
  1. 삼군부 청헌당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옥천암 마애좌상[7]}}}
  1. 수표교
  2. 경희궁 흥화문
  3. 경희궁 숭정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운현궁[8]}}}
  1. 안평대군 이용 집터
  2. 석파정 별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석불좌상[9]}}}
  1. 황학정
1.#26 석파정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글고비[10]}}}
  1. 삼층석탑
  2. 석조팔각승탑
  3. 석불입상
  4. 석 비로자나불좌상
  5. 선희궁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홍지문 및 탕춘대성[11]}}}
  1. 도선사 마애불입상
  2. 성공회 서울성당
  3. 천도교 중앙대교당
  4. 삼군부 총무당
  5. 금암기적비
  6. 약사사 삼층석탑
  7. 약사사 석불입상
  8. 화산군 이연 신도비
  9. 구영릉 석물
  10. 연령군 이훤 신도비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오층석탑[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석제태실신석[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석등(하대석)[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봉동전수덕사사리탑[A]}}}
  1.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2.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3.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1] 사적 제253호로 승격[2] 보물로 승격[3] 사적 343호로 승격[4] 사적 117호 경복궁에 포함[5] 보물 제1462호로 승격[6] 사적 436호로 승격[7] 보물 제1820호로 승격[8] 사적 제257호로 승격[9] 보물 제1977호로 승격[10] 보물 1524호로 승격[11] 사적으로 승격[A] 소재지 이전(충북 음성)[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가사승가굴관음보살상[1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중명전[17]}}}
  1. 창빈 안씨 묘역
  2. 정간공 이명 묘역
  3. 종묘 어정
  4. 우암 송시열 집터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표석[18]}}}
  1. 충헌공 김구 묘역
  2. 성안공 상진 묘역
  3.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죽정공신도비[1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제곡정공신도비[20]}}}
  1. 봉은사 선불당
  2. 화계사 대웅전
  3. 흥천사 극락보전
  4. 흥천사 명부전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원사대웅전}}}
  1. 충숙이공 영정
  2. 충숙공 이상길 묘역
  3. 옛 제일은행 본점
  4.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5. 탑골공원 팔각정
  6. 순흥안씨 양도공파 묘역
  7. 지장사 철불좌상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1. 풍산심씨문정공파묘역
  2. 신선경과 류인호 묘역
  3. 문양군 류희림 묘역
  4. 여계묘역
  5. 남지기로회도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목장지도[21]}}}
  1. 봉은사 판전 현판
  2.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시헌 익사공신록[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열조통기[B]}}}
  1. 김양보 호성공신록
  2. 상설고문진보대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타사 마애좌상[24]}}}
  1. 광주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2. 양호거사비
  3. 대성사 목불좌상
  4.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
  5. 효간공 이정영 묘역
  6. 충익공 신경진 묘역
  7. 문희공 유창 묘역
  8. 오공신회맹축
  9. 보문사 석가불도
  10. 보문사 신중도
  11. 보문사 지장시왕도

[16] 보물 제1000호로 승격[17] 사적 제124호 덕수궁에 포함[18] 보물 제838호로 승격[19] 제61호에 통합지정[20] 제61호에 통합지정[21] 보물 제1595-1호로 승격[B] 소재지 이전(제주, 부산)[B] [24] 보물 제1828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26
  1. 조계사 대웅전
  2. 양정편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교장[26]}}}
  1. 승동교회
  2. 동아일보사옥
  3. 미국공사관
  4. 사현사 석불좌상
  5. 순명비 유강원 석물
  6. 조선 이흠례 묘지
  7.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 (지장보살)
  8. 십장생도
  9.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10. 삼국지연의도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용비어천가 권3,4[2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선대원군 이하응 영정[28]}}}
  1.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2. 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2 143-1. 석가여래좌상
143-2. 좌협시보살상
143-3. 우협시보살상}}}
  1. 진관사 소 십육나한상
    {{{-2 144-1. 빈도라바라다바자상
144-2. 가나가바차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
  1. 진관사 영산회상도
  2. 진관사 십육나한도
    {{{-2 146-1. 나한도1
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1. 진관사 칠성도
  2. 진관사 명호스님 초상
  3. 진관사 산신도
  4. 녹훈도감 선사어선 연회도

[25] 보물로 승격[26] 사적 제485호로 승격[27] 보물 제1463-2호로 승격[28] 보물 제1499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 청화백자산수인물문병
  2. 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
  3. 청화백자매화절지문필통
  4. 청화백자운룡문병
  5. 백자대병
  6. 백자양각시문병
  7. 백자장군
  8. 양온명수이도기편호
  9. 봉은사 목 사천왕상
  10. 금선사 신중도
  11. 금동보살좌상
  12. 간평의
  13. 앙부일구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조선본천하여지도[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국대전권3[30]}}}
  1. 전송림사출토청동불구일괄
  2. 금동불좌상(아미타불)
  3. 송시열상
  4. 전이한철필어해도병
  5. 성불사금동보현보살좌상
  6. 을축갑회도
  7. 경수연도
  8. 태학계첩
  9. 경현당어제어필화재첩

[29] 보물 제1601호로 승격[30] 보물 제152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 청룡사 칠성도
  2. 청룡사 현왕도
  3. 청룡사 감로도
  4. 청룡사 가사도
  5. 청룡사 신중도
  6. 청룡사 석 삼불상
  7. 목우자 수심결·법어
  8. 금동석장 머리장식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곤여전도[31]}}}
  1. 학림사 삼신불괘불도
  2. 개운사 감로도
  3. 개운사 신중도
  4. 개운사 팔상도
  5. 개운사 지장시왕도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타사 금동 보살좌상(관음보살)[32]}}}
  1. 환희사 목불좌상(아미타불)
  2. 환희사 석불입상
  3. 청동 종
  4. 청동 종
  5. 류순정 영정
  6. 성변등록
  7. 정각사 목 아미타불좌상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자치통감 사정전 훈의 권 48-52[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자치통감강목 권 54[C]}}}
1.#226
  1. 봉은사 목 삼존불상(석가불, 가섭존자, 아난존자)
  2. 봉은사 목 십육나한상
  3. 봉은사 대웅전 신중도
  4. 봉은사 판전 신중도
  5. 봉은사 괘불도
  6. 봉은사 비로자나불도
  7. 봉은사 칠성도
  8. 봉은사 삼세불도
  9. 봉은사 삼장보살도
  10. 봉은사 감로도
  11. 봉은사 영산회상도
  12. 봉은사 십육나한도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학림옥로 권9~11[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대문 권1~6[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묘법연화경 권5~7[D]}}}
  1. 수국사 아미타불도
  2. 수국사 십육나한도
  3. 수국사 극락구품도
  4. 수국사 감로도
  5. 수국사 신중도
  6. 수국사 현왕도
  7. 경국사 목 관음보살좌상
  8. 미타사 석불입상
  9. 염불사 목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일괄

[31] 소재지 이전(제주, 부산)[32] 보물 제1818호로 승격[C] 화성박물관에 매도[C] [35] 보물 제1818호로 승격[D] 원주 무릉박물관 소장[D] [D]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1.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권12
  2. 묘법연화경권2
  3. 묘법연화경권5~7
  4. 묘법연화경권3
  5. 묘법연화경권5
  6.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권1
  7.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8. 도선사 청동 종 및 일괄 유물
    {{{-2 259-1. 동종
259-2. 청동숟가락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1. 경국사 지장시왕도
  2. 경국사 감로도
  3. 경국사 팔상도
  4. 경국사 신중도
  5. 경국사 괘불도
  6. 법주사 수정암 석불좌상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수당진찬도[3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희경루방회도[40]}}}
  1. 감지은니범망경보살계및보살계의
  2. 지장암목비로자나불좌상복장전적류
    {{{-2 269-1. 화엄경소
269-2. 불명경권2,3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지장암신중도[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지장암감로도[E]}}}
  1. 백자청화칠보수복문호
  2. 백자상감연리지문병
  3. 백자청화화훼문병
  4. 백자호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
  1. 백자청화산수인물문사각병
  2. 백자청화화분문호
  3. 대한천일은행창립관련문서및회계문서일괄
  4. 상부암석불입상
  5. 도선사 석 삼존불상
    {{{-2 281-1. 본존불
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1. 기원사 독성도
  2. 지장암 지장보살도
  3. 지장암 산신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청룡사 석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43]}}}
  1. 묘법연화경 권1~7
  2. 사자암 신중도
  3. 사자암 영산회괘불도
  4. 사자암 현왕도
  5. 청련사 산신도
  6.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7. 천축사 비로자나삼신불도
  8. 천축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9. 인천해관문서
  10.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11. 수선전도
  12. 도성대지도
  13. 수선총도
  14. 망우동지
  15. 훈도방주자동지

[39] 보물 제1430-2호로 승격[40] 보물 제1879호로 승격[E] 소유자 변경에 따라 시외 반출[E] [43] 보물 제182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26 선원제전집도서
  1. 지장암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2. 지장암 석조천불좌상 및 복장유물
  3. 지장암 석조가섭아난입상 및 복장유물
  4. 지장암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5. 지장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6. 지장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7. 지장암 목조관음지장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8. 지장암 자수아미타삼존괘불도 및 복장유물
  9. 지장암 자수지장보살도
  10. 학림사 석조약사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11. 심곡사 목조보살좌상
  12. 불설입무분별법문경
  13.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권9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공자행단현가도[44]}}}
  1. 보각사 목조여래좌상
  2. 연화사 아미타불괘불도
  3. 연화사 칠성도
  4. 연화사 천수관음도
  5. 연화사 신중도
  6. 연화사 지장시왕도
  7. 천축사 목조석가삼존불
  8. 연복사탑중창비
  9. 도봉사치성광여래삼존도
  10. 석굴암 천룡도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
  1. 봉국사 지장시왕도
  2. 봉국사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
  3. 봉국사 목조석가여래좌상
  4. 봉국사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5. 양헌수 병인양요 관련 문적
    {{{-2 356-1. 병인일기
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 정태제묘 출토 전적류 일괄
  2. 미타사 아미타후불도
  3. 미타사 지장시왕도
  4. 미타사 신중도
  5. 미타사 칠성도
  6. 미타사 백의관음도
  7. 봉원사 아미타괘불도
  8. 봉원사 범종
  9. 동관왕묘 소장유물 일괄
  10. 천축사 목조불단
  11. 흥천사 아미타불도
  12. 흥천사 지장시왕도
  13. 반야암 목조관음보살좌상
  14. 반야암 목조석가여래좌상
  15. 반야암 석조보살좌상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천사 바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45]}}}
  1. 양아록
  2. 육조대사법보단경(언해) 권상
  3. 묘법연화경 권1∼3
1.#376 선종영가집(언해)
  1.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1
  2. 최북필 단구승유도
  3. 흥천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판
  4. 흥천사 현왕도
  5. 백상정사 신중도
  6. 의령남씨가전화첩
  7. 도안사 은선묘아미타삼존도
  8. 백자 청화운현명만자문병
  9.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10.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11. 화계사 천수천안관음변상판
  12. 화계사 탑다라니판
  13. 화계사 아미타후불도
  14. 화계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15. 화계사 명부전 십대왕도
  16. 화계사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
  17.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18. 현수제승법수
  19. 독곡집 권상
  20. 도선사 석조관음보살좌상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제존자삼종가[E]}}}
  1. 대혜보각선사서
  2. 마하연 제석천룡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반야바라밀다경 권534[E]}}}

[45] 보물로 승격[E] 소유자 변경으로 시외반출[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1.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
  2. 성제묘 무신도
  3. 장충동 관성묘 무신도
  4. 흥천사 극락보전 극락구품도
  5. 흥천사 극락보전 도량신도
  6. 흥천사 극락보전 신중도
  7. 흥천사 천룡도
  8. 흥천사 만세루 아미타불회도
  9. 흥천사 만세루 신중도
  10. 흥천사 만세루 제석천도
  11. 흥천사 도량장엄번
  12. 흥천사 목조여래좌상
  13. 흥천사 목조보살좌상
  14.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2 415-1. 석조지장보살좌상
415-2. 석조무독귀왕상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및 복장유물[48]}}}
  1.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2. 용암사 현왕도
  3. 조문명 초상
  4. 해학반도도 병풍
  5. 김홍도 필 매해파행도
  6. 고봉화상선요
  7. 흥천사 시왕도
  8. 진위대 군안궤
  9. 봉은사 판전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E]}}}
  1. 소미타참서
  2. 지장보살본원경
  3. 배자예부운략 권1~3, 권4
  4. 비변사계회도
  5. 백자호
  6. 운가사 현수제승법수
  7.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8. 원응사 묘법연화경
  9. 몽산화상법어약록
  10. 무예제보
  11. 적조사 신중도
  12. 자수 연지화조문 방석
  13. 자수 연지봉황문 방석
  14. 자수 '상궁청신녀'명 연화봉황문 방석
  15. 자수 '아미타불'명 번
  16.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
  17. 논어언해 권3
  18. 묘법연화경
  19. 선학원 신중도
  20. 영가대사증도가 남명천선사계송(언해)
  21. 자치통감강목 권11
  22. 역정감구봉수지도
  23.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48] 보물로 승격[E] 소유자 변경으로 시외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50]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colbgcolor=#871B4D><colcolor=#fff> 성공회 서울교구의 주교좌
성모 마리아와 성 니콜라 대성당
서울大聖堂 | 서울대성당
서울主敎座聖堂 | 서울주교좌성당
Sts Mary & Nicholas' Cathedral, Seoul
종교 성공회(대한성공회)
교구 서울교구
지위 주교좌성당 (Cathedral)
주보성인 성모 마리아성 니콜라
교구장[1] 김장환 엘리야 주교
사목단 주임 박성순 야고보 신부
보좌 박종훈 요셉 신부[2]
이종민 바오 신부[3]
강하니 루시아 신부 [4]
송하경 아모스 신부[5]
오제민 다윗 신부[6]
정창진 요한 부제[7]
전도수녀 마르다 수녀[8]
협동 양권석 예레미야 신부[외국인교회]
차보람 요한 신부[10]
건축정보 건축자 아서 딕슨[11][12]
양식 네오 로마네스크 양식
착공 1922년 9월 4일
축성 1926년 5월 2일
완공 및 재축성 1996년 5월 2일[13]
위치

서울대성당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14] 파일:서울교구문장.png[15]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7]
파일: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외부 전경.jpg
외부 전경
파일: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내부.jpg
내부 전경
TBS에서 제작한 서울주교좌성당 영상
1. 개요2. 역사
2.1. 전신: 장림성당2.2. 현 성당 축성2.3. 1993년 증축
3. 감사성찬례(미사/예배)4. 새교우 영접5. 부속 건물
5.1. 사목관5.2. 카페 그레이스5.3. 경운궁 양이재
6. 신자 구역7. 성공회 서울교구8. 여담9. 대중매체에서10.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republic-of-korea-435324_960_720.jpg
서울주교좌성당 외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에 자리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주보성인성모 마리아성 니콜라.

이 대성당의 전신은 현 대성당 위치에 있던 한옥성당인 장림성당이다. 강화도, 충청도에 있는 한옥성당 양식은 옛 장림성당에서 파생되었다.

성당의 정식 명칭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聖公會 서울主敎座聖堂)이고, 주교좌성당을 보통 대성당이라고 하기 때문에 줄여서 '성공회 서울대성당' 또는 그냥 '서울대성당'[18]으로 부르기도 한다. 교인들은 대부분 서울대성당이라고 부르고, 주보에도 그렇게 써있다. 성당의 위치가 중구 정동이기 때문에 성공회 정동교회·정동성당으로도 부르지만, 이렇게는 거의 불리지 않는다.[19] 이 표기는 《대한성공회백년사:1890-1990》(이재정 대표편저, 대한성공회출판부, 1990)에서 쓰인다.

네오 로마네스크 양식을 기본으로, 기와지붕이나 한옥 창살, 오방색 등과 같은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을 절충한 성당이다. 해당 설명에 대한 반론도 일각에서 제기되는데, 서울교구 이정구 어거스틴 은퇴사제[20]는 자신의 논고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운동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월간 건축인 Poar 2001년 5월호)에서, 아서 딕슨이 방한 이전에 설계한 버밍엄의 성 바질 성당(1911년 완공)에 기와지붕과 처마 장식처럼 보이는 부분이 이미 존재하고, 대성당에 들어있는 성물마저도 전부 영국에서 기증받고 건축가 아서 딕슨이 일일이 감수한 것이라 한국적인 요소를 찾을 수 없으며, 마크 트롤로프 주교와 아서 딕슨 사이에 있었던 논의에서도 한국적인 모티프를 넣자는 내용이 단 한 마디도 나오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하여, "서울대성당은 전혀 한국적이지 않고, 오히려 영국 선교사들이 이 대성당을 통해 자신들의 권위를 한국 땅에서 시각적으로 과시하며, 한국 성공회가 토착화될 기회를 오랜 기간 놓치게 했다."고 결론지었다.

향린교회와 함께 1987년 6월 항쟁이 시작된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성지 중 하나이다. 명동성당에 가려진 성당과 교회

1978년 성공회 서울성당(聖公會 서울聖堂)이라는 명칭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됐다. 덕분에 보수공사도 함부로 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하거나 시설을 손괴하면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형사처벌된다. 1996년에 완성된 증축도 영국의 그 당초 설계도를 가지고 당국의 허가를 어렵게 받아낸 것이라고 한다.

문화재[21]로 지정된 만큼, 방문하는 일반인들을 위해 성당이 개방되어있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개방안내 봉사자가 근무하고 있어 봉사자의 가이드 아래 대성당을 둘러볼 수 있다. 때론 담당 부제(Deacon)의 설명하에 성공회의 전반적인 것들도 들을 수 있다. 다만 월요일에는 사무실 직원이 휴무이니 성당과 관련한 행정적인 업무를 위해서는 월요일 방문을 피할 것.

시청역 3번 출구에선 도보로 3분, 광화문역 6번 출구 기점으론 걸어서 7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가급적이면 시청역 3번 출구(1호선)로 나오는 것을 권장한다.

2. 역사

2.1. 전신: 장림성당

파일:장림성당.png
장림성당 (1894)
파일:성 백다루 예배당.png
성 백다루[22] 예배당 (1894)[23]
1890년 11월, 당시 조선에 성공회 선교를 위해 영국으로부터 파송된 찰스 존 코프 주교[24]와 신자들이 현재 성당이 위치해 있는 곳의 한옥을 매입하면서부터 서울대성당의 역사가 시작된다. 첫 감사성찬례는 12월 21일에 봉헌되었고 정기적인 주일 감사성찬례는 이듬해 11월 1일[25]부터 거행되었다. 당시 성당의 이름은 “장림[26]성당(The Church of Advent)”이었다.

이후 1892년 11월 27일 같은 자리에 새 한옥을 짓고 축성식을 거행했다. 이후, 1909년 성당 주변의 땅을 매입해 부지를 확장하고, 1910년 열린 첫 교구회의에서 주교좌성당 건축을 결의하게 된다.

2.2. 현 성당 축성

"이미 남대문으로부터 경복궁까지 대로가 준공되었으매
이제 건축하고자 하는 새 성전이 미려한 위치를 점령하겠고
성내 4면이 보이기 쉽겠도다"
《조선성공회월보》69호(1914년 3월)
이후, 1911년 영국왕립건축협회 소속의 아서 딕슨에 의해 성당의 설계도 및 모형이 완성되었고, 1922년 9월 24일, 성당 건축을 시작한다.[27]
파일:external/www.laurelcottagegenealogy.com/Seoul-Anglican-Cathedral-pc1-194x300.jpg
1950년대 발행된 듯한 엽서에 인쇄된 서울주교좌성당의 모습.
현재 성당과 비교했을 때 건물의 길이가 짧다.
맨 위의 성당 전체사진 오른쪽 긴 지붕의 색깔이 짙어지는 지점이 있는데, 실제로 다른 시기에 공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지붕 색깔이 짙은 오른쪽 부분이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증축되었는데, 1926년 당시 재정 문제로 애초 설계와 달리 밝은 주황색 부분만으로 완공되었으며, 그 앞에는 작은 연못과 정원이 있었다.

2.3. 1993년 증축

대성당 측은 1991년에 본 성당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원안대로 증축을 하기 위해, 건축가 김원을 총감독으로 선임하여 논의를 진행했다.[28] 원 설계도를 찾을 수 없어서 김원이 현대적인 스타일의 증축설계안을 내놓았는데, 문화재 당국은 물론이고 대성당 측도 당연히 반대하며 논의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1993년, 영국에서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던 원 설계도가 영국의 한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설계자였던 아서 딕슨이 사망하기 직전 자신의 설계도면과 유품을 도서관에 기증했는데, 그것이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 덕분에 문화재의 가치를 살리면서도 성당의 기능도 확장하는 증축을 할 수 있었다. 김원이 직접 해당 도서관까지 가서 딕슨의 원 설계도를 복사해 국내로 들여왔고, 그 설계도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직접 보완설계하여, 딕슨이 의도했던 바를 거의 완벽하게 구현해내는 데 성공했다. 증축 시공은 대우건설이 맡았다.[29] 기왓장은 전통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원 건물은 강화도산 화강암을 썼으나 증축 당시에는 사정상 어쩔 수 없이 강화도산과 제일 비슷한 중국 칭다오산 화강암을 수입해서 써야했다.

2015년 이전에는 서울지방국세청 남대문별관이 세종대로와 성당 사이에 있었으나 2015년 5월에 철거되었다. 이에 따라, 세종대로(서울시청)에서 바로 성당이 보이게 되었다.(오마이뉴스 기사) 이후 잇따라 관공서 건물이 낮은 저층 건물로 대체되어 이제는 대로변에서도 성당의 전경이 거의 다 보인다. 이전에도 정동의 명소 중 하나였으나 인지도가 더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성공회의 '어머니 성당'[30]으로 인식되고는 하지만 꽤 좁은 부지에 지어졌다. 사실 처음엔 많이 좁진 않았지만, 성공회 빌딩도 들어서고 성당을 원설계대로 증축하면서 더 좁아진 것이다. 주차장 규모도 협소하여, 성당에서 감사성찬례가 끝나고 광고할 때면 항상 ‘대중교통을 이용해달라’고 광고할 정도로 부지가 좁다. 부활절이나 성탄절 같은 대축일 때에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신자들이 모이기 때문에 조그마한 주차장에 빼곡히 차가 들어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3. 감사성찬례(미사/예배)

감사성찬례(Eucharist)는 월요일-목요일과 토요일은 오전 7시에, 금요일은 정오에, 주일에는 오전 8, 10시 및 오후 12, 3, 6시에 있다. 간혹 일부 대축일 또는 교회 행사로 인하여 성찬례 시간이 변경되거나 오후 3시 성찬례를 드리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사전에 성당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어린이와 청소년 감사성찬례는 매 주일 정오 12시에 드리는데, 어린이는 지하 어린이예배실에서, 청소년은 성 세례자 요한 성당에서 드린다. 또한 토요일 저녁 5시에는 노래로 저녁기도(만도)를 드린다.

이 중에서 소위 교중미사라고 볼 수 있는 것은 주일 10시와 12시 감사성찬례로[31], 전례곡에 맞춰 노래로 드리는 것[32]이 특징이다. 서울교구장 주교[33]가 머물러 있는 경우, 오전 10시 감사성찬례는 집전과 설교 둘 다, 정오 12시 감사성찬례는 집전만 한다. 다만 서울교구장 주교는 연중 내내 서울교구 내 교회들을 순방하기 때문에 서울대성당 주일 성찬례를 집전하는 것은 1달에 1번 꼴이다. 따라서 주교가 집전하는 경우보다 주임사제가 집전하는 경우가 더 많다. 10시 감사성찬례는 대부분의 사제들이 참석하며,복음 선포하는 사제를 별도로 존재한다.[34] 그러나 주요축일, 대축일에는 교구장이 주교좌성당에서 성찬례를 집전하니 타 본당 신자들보다 대성당 신자들이 주교를 볼 기회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세례자 요한 성당(소성당, 지하성당)에서도 감사성찬례를 드린다. 특히 9시 30분에는 주한 영어권 신자들을 중심으로 드린다. 영어 성찬례 형식은 10시에 비해서는 간소화된 편이라 향을 피우진 않는다. 이 영어 성찬례의 형식은 10시 한국어 성찬례에 비하면 고교회파보다는 광교회파쪽에 가깝다. 15시, 18시 성찬례도 마찬가지.

성탄절, 부활대축일 감사성찬례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대성당에서 치른다. 이 때에는 영성체 참여자 수가 900명을 넘어서기도 한다.

2006년부터 매년 성령강림대축일을 기념해 1번씩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인 경동교회와 교환예배를 한다.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사제, 부제, 복사, 성가대는 경동교회로 가서 성공회 식의 성찬례를 집전하고, 장로교 경동교회의 목사, 예배위원, 성가대는 서울주교좌성당으로 가서 장로교 식의 예배를 집전하는 식이다. 서울주교좌성당에 출석하는 성공회 신자 중 장로교 출신인 교인은 교환예배 때 잠시 신앙적 옛 고향에 온 기분이 들 것이다(…). 사실 그러기에는 경동교회의 주일예배 스타일도 보통 한국의 장로교회와는 많이 다르게 상당히 말씀 전례 - 성찬의 전례로 이뤄지는 전례적인 형식을 띈다. 이는 경동교회가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예배 전통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2020년에는 코로나로 인하여, 6월이 아닌 12월에, 그것도 예배가 아닌 설교만 서로 바꾸어 비대면 온라인 예배로 진행되었다.

2021년도 2020년처럼 설교만 바꾸어서 예배가 진행되었다가 2022년부터 정상적인 교환예배가 재개되었다.
파일:에큐메니컬 교환예배 1.jpg 파일:에큐메니컬 교환예배 2.jpg
경동교회에서 드리는 성공회 감사성찬례 [35] 서울주교좌성당에서 드리는 경동교회 예배 [36]

4. 새교우 영접

서울주교좌성당에서 제작한 새교우 안내 영상[37]
성공회에 입교 혹은 체험할 생각이 있다면, 가급적이면 주일 오전 10시 감사성찬례에 참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새교우를 위한 자리가 따로 마련되어 있고, 당일 안내 봉사자들과 새교우환대위원회 봉사자들이 새교우를 이곳으로 안내해 준다. 영성체하는 방법[38]과 십자성호 긋는 법 등 성공회 전례 참여에 대하여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친절하게 알려준다. 또한 새교우를 위한 인쇄물이 비치되어 있어서, 성공회 전례에 익숙하지 않은 새교우들이 감사성찬례를 제대로 따라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감사성찬례가 끝난 후 성당 건물 2층 오르간 오른편 방에서 새교우/타교파 신자를 위한 안내 및 신앙상담이 열리며, 세례 및 타교파 전입을 위한 절차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의외로 다른 개신교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 성공회로 오는 신자들이 적지 않다.

천주교, 장로회, 감리회 등 타 교파에서 세례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신자 영접식을 진행한다. 통상 1년에 3~4회 진행하며, 시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새교우 등록을 하면 바로 영접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10주 동안 신앙교육을 받은 뒤, 7주 이상 출석하고 교육을 받은 타교파 신자에게 담당 사제 또는 새교우환대위원회 담당자가 연락하여 신자 영접식을 할 지 안 할지 물어본다. 이 때 영접식에 참여하겠다고 하는 신자들만 신자 영접식에 참여해 교적을 둔다. 이것은 신자 개인의 신앙생활을 틀에 맞춰 강요하지 않는 성공회 특유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개신교 혹은 천주교 신자(해당 종파의 나이롱 신자, 냉담자 포함)로서 성공회 신자로 등록하고 싶으면 참조하자.

5. 부속 건물

5.1. 사목관

파일:external/scontent.cdninstagram.com/18512951_698602840311790_892023763455967232_n.jpg
사목관
말 그대로 서울대성당에서 사목하는 사제들의 주 업무공간이다. 이전에는 사제들이 숙식하는 공간이었는데, 상당수의 성공회 사제들이 가정을 이루고 살면서 생활공간이 필요 없어졌다. 단층 한옥으로 건물의 양 끝이 성당을 향해 꺾여 있어 흡사 괄호를 생각하게 하는 모양새를 가지고 있다. 사목관 옆에는 1987년 6월 항쟁이 이 성당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기념비가 서 있다. 서울대성당이 아닌 서울교구청 소속의 사제들은 대성당 남쪽의 성공회 빌딩에서 근무한다.

5.2. 카페 그레이스

파일:external/www.newsingm.co.kr/art_1426485587.jpg
카페 그레이스
성당 주차장 출입구(세실극장 옆 출입구)에서 성당방향으로 조금만 들어가면 부지 한 켠에 조그맣게 있는 카페다. 겉으로만 보면 그저 흔한 카페처럼 보일 수 있으나, 2010년 3월 '사단법인 GFS우물가'에서 설립한 카페로,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바리스타로 고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자립을 돕는 의미있는 카페이다. 매년 성탄절 즈음에는 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와 신부가 직접 일일 바리스타로 일하는 이벤트도 진행하고, 당일 모금된 금액은 어려운 곳에 후원하고 있다.

서울대성당 신자들이 모임 목적으로 주로 이용하는[39] 모 호텔 건물 내 모 카페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5.3. 경운궁 양이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운궁 양이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운궁 양이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운궁 양이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seoultimes.net/20818_16089_4524.jpg 파일:경운궁 양이재.jpg
경운궁 양이재

6. 신자 구역

서울주교좌성당에 출석하는 신자들의 거주지의 대부분이 아래 목록에 나와있는 곳이다. 하나 같이 다 서울 도심 통근권이다 굵은 글씨 처리한 지역은 해당 성공회 지역교회 또한 존재하는 곳.

아래는 2025년 기준 (시기에 따라 조금씩 변동됨)
(서울권: 1~11지역, 경기권: 12~18지역)
이들 지/구역에는 지/구역장이 있으며 주로 평일에 지/구역 소속 교우들이 모여 구역 기도 및 친교 활동을 한다. 또한 추수감사주일 등 교회 행사가 있을 때에 각 지역별 장기자랑을 하기도 한다.

성공회가톨릭 교회만큼 속지주의가 아주 엄격한 것은 아니지만, 이 서울대성당은 서울교구의 모교회로, 관할 구역이 매우 넓어 서울광역권의 사실상 속인적 성당 역할을 하고 있다. 천주교의 주교좌 명동성당은 명동성당 신규 영세자 및 명동 부근 거주자만 교적 전입을 허락하고 있지만, 서울주교좌성당과 서울교구 내 다른 지역 성당 간 교적 전출입이 비교적 자유롭다. 교적 전입을 하기 위해 명동 근처 거주를 요구하는 명동성당과 다르게, 서울대성당은 정동ㆍ서울시청 근처 거주를 요구하지 않는다.[40] 일례로, 인천, 수원, 남양주 등지에서 출석하러 오는 신자들이 있다. 사실 이게, 한국에서 성공회 교세가 워낙 약하다보니 이렇게라도 신자를 유치하려는 의도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만일 대한성공회 교인 수가 100만 명 정도였어도 천주교마냥 속지주의가 엄격히 적용되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7. 성공회 서울교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공회 서울교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공회 서울교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공회 서울교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강원도(영동고속도로 이북)[41]의 성공회 교회들이 대한성공회 서울교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이 서울교구의 모든 교회들을 대표하고 있다.

8. 여담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10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대한성공회]]}}}{{{#!if external != "o"
[[대한성공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uuid=e4da2775-97ed-4992-a937-ffac0d3f4bdc|r14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uuid=e4da2775-97ed-4992-a937-ffac0d3f4bd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한성공회?from=140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10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대한성공회]]}}}{{{#!if external != "o"
[[대한성공회]]}}}}}}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uuid=e4da2775-97ed-4992-a937-ffac0d3f4bdc|r14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성공회?uuid=e4da2775-97ed-4992-a937-ffac0d3f4bd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한성공회?from=140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 대성당에는 성막[43]이 없고 지하 성당에는 성막이 있다.
  • 성 세례자 요한 성당[44] 바닥에는 마크 트롤로프, 이천환, 김재헌, 세 주교의 유해와 여러 사제들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이 독신을 유지하며 대한성공회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대성당에는 2개의 부속 채플이 있다. 북쪽 수랑의 '성모 마리아 채플'과 남쪽 수랑의 '성 십자가 채플'이 그것이다. 대성당 남측 수랑의 성 십자가 채플에 있는 십자고상은 원래 가운데 위치에 매달려 있었으나, 원래 설계도에 따라 완공된 후 성 십자가 제대 위로 이동했다.
  • 대성당 대제대 앞 오른쪽에 태극기가 놓여져있다.[45] 이는 천주교에 비해 교회의 지방자치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 명동성당과 더불어 서울 도심에서 성당 종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 중에 하나다. 특히 점심시간이나 퇴근시간 무렵 광화문서울시청 일대를 지나치면서 종소리를 들었다면 바로 이 곳이다. 평일에는 정오와 오후 6시에[46] 18번씩[47] 울리며, 주일에는 10시와 정오 감사성찬례 시작 15분 전에 예비종을, 성찬례가 시작되는 10시와 정오에 감사성찬례 시작종을 타종하고 저녁 6시에 삼종기도 시간을 알리는 타종을한다.[이] 10시 및 정오 감사성찬례의 경우 33번 울리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33년 간의 삶을 상징한다. 장례성찬례에서는 나이만큼 종을 친다. 직접 종을 치는[49] 사람의 말로는 몇 십번을 쳐도 좋으니 20번도 안 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 6월 항쟁 당시 이 성당에서 울린 종소리는 본격적인 시민 참여 시위의 신호탄 역할을 했다. 1987년 6월 10일 오후 6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위원이던 유시춘[50] 지선 스님이 이 성당 종루에 올라 42번의 종을 쳤다고 한다. 이 종소리가 울려 퍼지자 시민들은 경적 시위와 손수건 흔들기로 전두환 정부의 독재를 타도하자는 메시지를 전했고 이후 전국적으로 시위가 퍼지는 계기가 된다. 참고로 타종 횟수로 42번이 결정된 것은 1945년 분단 이후 42년이 흐른 만큼 남북 분단의 역사를 종식하고 통일의 새 시대로 가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 파이프오르간이 총 3대 있다. 한대는 영국산, 나머지 2대는 대한민국의 오르간 마이스터인 홍성훈이 제작한 오르간이다. 그중 가장 큰 오르간은 영국의 저명한 오르간 제작사인, Harrison & Harrisons 사에서 1985년 파이프오르간을 들여왔다. 2단의 손건반, 1단의 발건반으로 이루어진 오르간이며, 총 20스탑이고, 4개의 커플러가 있다. 크기는 작지만, 파이프 소리가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해리슨사의 오르간은 원래 제대 왼쪽 익랑에 위치 했었으나, 이후에 뒤쪽으로 옮겼다. 현재 제대 왼쪽 익랑에는 홍성훈이 처음으로 만든 포지티브 오르간(5스탑 짜리)이 위치해있다.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방송 감사성찬례때 해당 오르간이 대부분의 성가반주를 맡았고, 2021년 사순절 특별 '성가로 하는 성무일도'때도 해당 악기로 대부분의 반주가 이루어졌다.
  • 2007년부터 지역주민과 성당 근처 직장인들을 위한 '성공회 정오음악회' 및 '성공회 퇴근길음악회' 행사를 개최하고 있는데, 정오음악회에서는 솔로, 듀오 등 소규모 연주회가 진행되고, 퇴근길음악회에서는 서울시향 등의 오케스트라가 초청되어 유명한 클래식 곡들을 연주하고, 진행자가 각 곡에 대한 해설을 해준다. 대성당 사이트에서 음악회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 2021년 말부터 2022년 4월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중 오미크론이 국내에 상륙하고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위증증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함으로 인해 코로나 백신 2차접종까지 한 교우들만 감사성찬례에 참여하고, 성가대만 성가를 부르게 하는 등, 감염우려가 있는 활동을 자제시키는 방향으로 갔다. 현재는 대면활동을 재개한 상태이다. 2022년 성탄절 예배가 대축일로서는 처음으로 인원제한 없는 대면활동이 재개된 것이다.
  • 대성당 뒤편에 바로 주한영국대사관이 있어 주한영국대사관 주최로 진행되는 영국과 관련된 예배들이 종종 진행되곤 한다[51]. 그리고 덕수궁과도 매우 가깝다.

9. 대중매체에서

10. 관련 문서


[1] 주교좌성당의 관할사제는 해당 교구 교구장이 명목상 겸임한다. 단, 교구장의 주교좌성당 관할사제 업무는 주임사제가 대리한다.[2] 전례, 돌봄, 선교 담당[3] 환대, 정착, 양육 담당[4] 환대, 정착, 양육 담당[5] 청년, 교회학교 담당[6] 청년, 교회학교 담당[7] 종신부제[8] 전례, 돌봄, 선교 담당[외국인교회] 외국인교회 담당[10] 영국에서 신학을 전공한 신부로, 전 캔터베리 대주교 로완 윌리엄스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11] Arthur Stansfield Dixon, 1856~1929. 영국 버밍엄 출신의 금속공예가이자 건축가. 그 역시 성공회 신자여서 영국의 몇몇 성공회 성당을 설계했고, 로마네스크 양식을 다루는 데 능했다고 알려져 있다.[12] 일각에서는 증축과정을 총감독한 건축가 김원과 '건축연구소 광장'을 공동건축자로 보기도 한다. 그 근거는 "역사" 문단에 서술되어 있다.[13] 후술하겠지만, 74년간 지은 것이 아니라 중간에 좌ㆍ우측 익랑이 잘리고 신랑과 측랑이 잘린 일부만 완성했다가, 1994년부터 성전완성을 위해 증축했다.[14] 관구[15] 교구[16] 성당 홈페이지[17] 성당 공식 유튜브 채널[18] 천주교 성당 중에는 서울대성당이라고 불릴 만한 성당이 명동성당이나, 천주교인들은 명동성당을 명동대성당이라고 부를지언정 서울대성당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19] 정동성당이라고 검색하면 전동성당이 나온다. 아이러니하게도 둘 다 로마네스크 양식이거나 로마네스크 양식이 섞여있고, 현재 주교좌성당이거나 과거에 주교좌성당이었다.[20]성공회대학교 총장[21]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22] 伯多樓, 베드로[23] 장림성당 동쪽 끝 뒤에 있었다. 수도회 여성들이 사용하는 예배당이었다.[24] 조선에서 사용한 이름은 '고요한'이었다.[25] 서울주교좌성당은 이날을 교회설립 기념일로 지킨다.[26] 대림의 옛말[27] 1911년 설계도 완성부터 1922년 건축 시작까지 무려 11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는데, 대한성공회와 서울주교좌대성당 홈페이지에는 성당건축과 관련하여 별다른 소개가 없다.[28] 김원이 바로 3년 전인 1988년에 성가수도회 본원의 재건축 설계를 맡아, 그 인연으로 대성당 측이 섭외해왔다.[29] 오너 일가대한성공회 신자라는 이유로 시공사가 덕산토건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우건설이 맞다.[30] 어머니 성당이라기 보다는 그냥 상징적인 성당이다. 한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은 인천의 내동성당이다.[31] 코로나19 이전 주일에는 오전 9시와 11시 감사성찬례를 대성당에서 드렸으나, 현재는 오전 10시와 정오 12시로 시간이 변경됐다.[32] 창미사라고 하며, 영어로는 Sung Eucharist라고 한다.[33] 2024년 9월 현재 김장환 엘리야 주교[34] 이와 다르게 12시 감사성찬례의 경우 복음을 선포하는 사제와 집전사제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집전 사제가 그냥 복음도 선포한다.[35] 집전하는 이는 2023년 기준 온수리성당 관할사제이자 강화교무구 총사제인 주성식 모세 신부.[36] 집전하는 목사는 2022년 기준으로 은퇴한, 당시 경동교회 담임목사였던 채수일 목사.[37] 2021년 9월 9일 서울주교좌성당 유튜브 채널에 새로 업로드된 새교우 안내 영상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성찬례가 계속되고 있어 성당 홈페이지에서 새교우 교육을 신청할 수 있는 방법을 간단히 안내하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이는 차보람 요한 보좌신부로, 당시 서울주교좌성당에서 새교우 사목을 담당하고 있었다.[38] 천주교와 다르게 성공회는 타 교파의 세례를 받은 적 있다면 단순 참석자 내지 예비신자 신분으로도 영성체할 수 있다.[39] 카페 그레이스는 좁아서 모임하기에는 좋은 편은 아니다.[40] 이에 대해 대한성공회 내부 일각에서는 ‘지역교회를 더 폐쇄적인 공동체로 만들어 교세 증진에 역효과를 초래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41] 영동고속도로 이남의 강원도 소재 교회들은 대전교구 소속이다.[42] 국가등록문화재 제 676호[43] 감실이라고도 부른다. 병환 등에 의하여 성찬례에 함께 하지 못 한 신자들을 위하여 축성된 성체를 보관해 놓는 곳이다.[44] 지하성당, 소성전[45] 그러나 코로나 시국 이후로는 치워진 것으로 보인다.[46] 삼종기도 시간을 알리는 타종을 한다. 명동성당에서도 같은 시간에 종소리가 나지만, 실제로 종을 치는 건 아니고 과거에 녹음해 둔 명동성당 종소리를 방송하고 있다. 명동성당은 종의 수명 보전을 위해 부활대축일 등 특별할 때만 친다. 참고로 첫 번째 삼종기도 시간인 새벽 6시에는 종을 치지 않는다. 성당 바로 맞은 편에 롯데호텔 서울, 플라자호텔, 프레지던트호텔 등 특급 호텔이 있는 만큼 투숙객들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47] 3번, 3번, 3번, 9번에 나누어 친다.[이] 시간에도 감사성찬례가 있으나 삼종기도에 해당하는 18회를 타종한 후 감사성찬례를 시작한다.[49] 예복실에 긴 밧줄이 하나 있는데 그걸 직접 잡아 당긴다.[50]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작가 유시민의 친누나다.[51] 매년 리멤버런스 선데이 추모 예배가 진행되며, 엘리자베스 2세여왕의 추모 예배 또한 2022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