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9:09:16

대한민국의 혼합 정치 정당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혼합 정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정부수립 이전
민주당계
보수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중도 | 보수 | 극우 | 혼합 | 포괄 | 제3지대


1. 개요

대한민국의 혼합 정치 정당들을 분류한 문서.

2. 정당 목록

2.1. 과거의 정당

2.1.1. 민족자주연맹

2.1.2. 대한노동총연맹

2.1.3. 노농당


한국노농당 출신이자 초대 사회부장관이며 친이승만 성향의 전진한은 1951년 12월 부산의 조선방직 쟁의를 계기로 이승만과 멀어지기 시작하더니 1954년 1월 족청계 숙청을 계기로 이승만의 자유당과 완전히 결별하였다. 그리고 무소속으로 3대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55년 2월 15일 노동자·농민·소시민층을 기반으로 하여 노농당을 창당했다. 어떻게 본다면 통일노농당의 진정한 후계 정당이다. 해당 항목 참조.

전진한의 자유협동주의 이념이 당의 강령에 들어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일제강점기 당시 전진한의 노동운동적인 노선과 관계가 있는데 그는 공산당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적인 노동운동에 맞서 협동조합운동사를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적인 노동운동을 추구했다. 즉, 전진한의 자유협동주의 이념은 코포라티즘의 일종이다.

2.1.4. 민족주의민주사회당

  • 노농당이 당명을 변경한 정당.

2.1.5. 한국사회당(1960년)

  • 민족주의민주사회당의 후신 정당.

2.1.6. 국민의 힘(2012년)

2.1.7. 개혁국민신당

파일:external/s20.postimg.org/NP_partylogo1.png

2.1.8. 통합민주당(2016년)

파일:통합민주당(2016년) 로고.svg

안동옥이 창당한 민족주의, 그 중에서도 환단고기 신봉설을 기반으로 한 진보주의와 권위주의가 혼재되어있는 혼합 정치 정당.

2.1.9. 한반도미래연합

파일:external/www.fkpu.kr/90ca0fe613c6fbd66d9a5bdf0b3277a2_1451396204_1501.png

김정선이 창당한 민족주의, 친박 성향의 혼합 정치 정당.

2.1.10. 니가깃발이야

파일:니가깃발이야.png
  • 니가깃발이야 (2023)
    • 이충범이 자유당(2020년)의 당명을 변경한 당으로, 기존의 극우성향을 버리고 이충범 개인의 사상이 반영된 정당으로 탈바꿈 하였고, 주로 경제민주화연방제를 주장하였다.
    • 기존 자유당 시절의 인원이 돌아오면서 다시 자유당으로 환원.

2.2. 현재의 정당

2.2.1. 국가혁명당

파일:국가혁명당 아이콘.svg

허경영이 창당한 하늘궁 기반의 대중주의 성향 혼합 정치 정당.

2.2.2. 통일한국당

  • 이경희가 창당한 민족주의 성향의 정당.

2.2.3. 태건당

방상용이 창당한 사이비 종교 일당제 정당.

2.2.4. 한반도미래당

  • 김정선이 창당한 한반도미래연합의 후신 정당으로, 민족주의 성향의 혼합 정치 정당.

2.2.5. 홍익당

파일:홍익당 로고.svg
모든 정치적 이슈를 양심으로 풀어가가는 양심주의 성향의 정당으로, 스스로 중도우익좌파를 표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