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21:38:21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유니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유니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창원 LG
세이커스
서울 SK
나이츠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수원 KT
소닉붐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원주 DB
프로미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부산 KCC
이지스
서울 삼성
썬더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001658;"
{{{-1 {{{#!folding [ 과거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 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svg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다크모드).svg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고양 데이원 점퍼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d4498,#3d4498>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반 문서
<colbgcolor=#e3e3e3,#e3e3e3><colcolor=#3d4498,#3d4498> 구단 정보 연고지 대구광역시모기업 한국가스공사
주요 인물 구단주 최연혜감독 강혁주장 정성우
선수단 선수단 명단
구단 역사 역사역대 등번호
유니폼 역대 유니폼
라이벌전 대구 더비
논란 사건·사고
기타 상대 전적
주요 시설 <colbgcolor=#3d4498,#3d4498><colcolor=#fff,#fff> 홈구장 현재 대구체육관
클럽하우스 대구체육관
시즌 현재 시즌 2025-26 시즌
시즌 상세 시범경기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5라운드6라운드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라운더선수단응원단역대 응원단장
}}}}}}}}} ||

1. 개요
1.1. 2021-2022
1.1.1. 임시 유니폼1.1.2. 서드 유니폼1.1.3. 모빌코리아
1.2. 2022-2023
1.2.1. 시티에디션1.2.2. 모빌코리아
1.3. 2023-2024
1.3.1. 크리스마스 에디션1.3.2. 시티에디션
1.4. 2024-2025
1.4.1. 퍼플 페가수스1.4.2. 시티 에디션
1.5. 2025-2026

1. 개요

역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역대 유니폼을 설명하는 문서.

2021-2022 시즌 창단 시즌부터 기재되어 있다.

1.1. 2021-2022

파일:NISI20210927_0017990974_web_20210927170959_20210927171121238.jpg
파일:image_readtop_2021_921408_16327930194797292.jpg
파일:21-22 코가스 페가수스 유니폼 홈.jpg 파일:21-22 코가스 페가수스 유니폼 어웨이.jpg
(김낙현) 원정 (두경민)

2021년 9월 27일 창단식에서 공개했다. 임시 유니폼에도 파란색이 쓰였고 이것으로 인해 모기업의 컬러를 활용해 나올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빨간색과 흰색을 선택했다. 보통 엠블럼에 들어가는 컬러가 팀의 메인 컬러이고 이 메인 컬러를 홈 유니폼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엠블럼의 컬러 또한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엠블럼에 빨간 계열이 들어가긴 하나 채도가 유니폼 컬러와 다르다.

관계자가 파란 유니폼이 이렇게 평이 좋을 줄 몰랐다고 했는데, 부천 FC 1995와 비슷한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부천은 익숙한 조합으로 쓰자는 팬들의 의견에 따라 부천 SK 시절의 빨강/검정을 사용한 것처럼 과거에 있던 대구 오리온스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오리온스의 컬러를 선택했지만 오리온에 대한 감정이 결코 좋지 않은 곳에서 오리온을 연상하게 하는 컬러를 선택한 것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1] 팬들의 반응은 대체로 디자인은 나쁘지 않으나 파란색 유니폼을 기대한 팬들은[2][3] 아쉽다는 평. 전면에는 하나은행, 후면에는 엑손모빌코리아가 스폰서로 들어간다.

1.1.1. 임시 유니폼

파일:21 코가스 홈 임시.jpg 파일:21 코가스 어웨이 임시.jpg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시즌 전 팀 컬러와 유니폼이 정식적으로 나오지 않았을때 컵대회를 참여 위해 임시로 한국가스공사의 색인 파란색과 흰색에 검은색 선으로 이루어진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킷 스폰서는 계속 조마가 후원했다. 임시유니폼임에도 잘 빠진 덕분에 팬들에게 선호도가 굉장히 높은 유니폼.

1.1.2. 서드 유니폼

파일:2122가스공사서드.jpg

구단이 "파란색 유니폼이 좋다"는 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2022년 1월 1일 출시한 얼트(즉 서드) 유니폼으로, 출시일인 고양 오리온과의 홈경기에 착용하였다.[4]

디자인은 팬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다.

이 유니폼이 나오자 빠른 속도로 팔렸다. 출시된 후 가스공사 관중석을 보면 서드 유니폼이 반 이상 보일 정도였다.

1.1.3. 모빌코리아

파일:FBE06516-0546-4AFA-8BCF-F1B78663F259.jpg

파랑-남색 그라데이션을 사용한 유니폼으로 2022년 3월 20일 창원 LG와의 홈경기에 착용했다. 결과는 81:77로 승.

1.2. 2022-2023

파일:22-23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홈.jpg 파일:22-23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어웨이.jpg
홈 (이대성) 원정 (정효근)

2022 오프시즌 중 팬들의 의견에 따라 한 시즌만에 파란색 계열로 바꿨다. # 1,500여명의 팬들을 설문조사한 결과, 무려 75%의 득표로 압도적인 우세가 나왔다. 이로써 오랜만에 팀 컬러가 대우 시대와 유사하게 파란색으로 돌아갔고, 빨간색은 서드 유니폼으로 내려갔다.

그리고 2차 팬 설문조사 끝에 9월 1일 도안을 발표하였고, 연고협약일인 9월 19일에 공개했다. 홈 유니폼은 모기업에 맞게 가스 흐름을 나타내는 무늬가 새겨졌고, 원정 유니폼은 파란색과 빨간 이중선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이날 유니폼을 입어본 선수들은 만족하다고. 신승민, 최주영 선수의 말에 의하면, 원정 유니폼은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비슷한 느낌이라고 한다.

홈 원정 세트로 디자인 된 후보 5가지 중에서 팬투표를 한 것인데, 홈과 원정 각각 독립적인 투표가 가능해서 홈과 원정 유니폼의 최다득표가 각각 다른 후보끼리 뽑혔다. 흔히 같은 디자인에 색만 변경하는 케이스와 다르게 기본 디자인 자체가 홈/원정 다르게 뽑혔다.

1.2.1. 시티에디션

직전 시즌 메인 컬러인 빨간색을 사용하며, 파워풀 대구 슬로건을 전면에 내건다.
유니폼 관련 기사

1.2.2. 모빌코리아

연습복 컬러인 검은색을 사용하며 빨간색 워드마크와 흰색 날개가 전면에 있다.유니폼 관련 기사1유니폼 관련 기사2

1.3. 2023-2024

파일:23-24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홈.jpg 파일:23-24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어웨이.jpg
홈 (김낙현) 원정 (이대헌)

로고 교체와 함께 2023-24 유니폼도 팬 투표로 결정되었는데, 24년 만에 파란 줄무늬 유니폼을 사용한다. 대우 시절처럼 뚜렷한 건 아니고 각도에 따라 보이는 섀도우 스트라이프 타입. 그런데 이게 TV 화면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을 수준이라 팬들에겐 사실상 스트라이프가 거의 없는 취급을 당하면서 스트라이프 디자인을 믿고 뽑았던 팬들의 어안이 벙벙해졌다. 지난시즌과 다르게 홈/원정 통합으로 투표를 받으면서 홈/원정 각각 디자인 자체가 다르게 뽑히는 케이스는 일어나지 않았다.

유니폼 상의 전면에서 팀 로고가 완전히 빠지는 대신 뒷면에 음각으로 새겨지고, 오른쪽 가슴에 연고지명인 DAEGU가 붙는다.

1.3.1. 크리스마스 에디션

연말 유니폼으로 검은색에 흰색 줄무늬를 줬고, 가슴에는 Pegasus Christmas와 마스코트를 새겼다. 올랜도 매직이나 1997 시즌 인천 대우증권 유니폼과 매우 닮았다. 유니폼 관련기사 1997 시즌 대우증권 시절의 유니폼과 비교해 보자

1.3.2. 시티에디션

직전 해 모빌코리아와 시티에디션을 합친 유니폼으로 직전 해 모빌코리아 컬러를 사용하며, 전면에 빨간 페가수스 로고가 들어간다. 바탕은 검은색이지만 날개를 쓴 모빌코리아 대신 대구광역시 야경을 사용한다. 선수용은 지역 캐릭터 도달수가 새겨지며, 이 유니폼은 대구광역시 캐릭터가 민간 상업 제품에 쓸 수 없다는 문제로 인해 판매하지 않는다. 판매용은 구단 마스코트 캐릭터로 대체.
유니폼 관련기사

1.4. 2024-2025

파일:24-25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홈 1.jpg 파일:24-25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어웨이 1.jpg
컵대회 홈 (벨란겔) 컵대회 원정 (벨란겔)
파일:24-25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홈 2.jpg 파일:24-25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유니폼 어웨이 2.jpg
정규시즌 홈 (김낙현) 정규시즌 원정 (정성우)

기본적인 디자인은 2023-2024와 큰 차이가 없으나 끝 부분 선이 삼색선으로 바뀌고, 스트라이프가 더 선명해졌고, 전면에 워드 로고가 크게 부착되어 있다. 등번호는 상의는 제 3자 시점 기준 우측, 착용자 시점 기준 좌측으로 이동했으며, 하의는 측면으로 이동했다.

컵대회에서는 어깨에 한국가스공사 국문로고가 들어갔으나 정식 시즌에서는 DAEGU로 변경되었고, 모기업은 워드로고 바로 위에 부착되었다.

3월 7일과 9일 경기에서는 왼쪽 어깨에 DAEGU 대신 으뜸병원 로고가 들어갔다.

1.4.1. 퍼플 페가수스

연말 유니폼. 이름과 달리[5] 보라색을 사용했다. 로고는 PGS를 사용.

1.4.2. 시티 에디션

낮 전경을 기반으로 한 밝은 파란색 유니폼.

이 유니폼을 입고 6강 복귀에 성공했다.

1.5. 2025-2026

파일:20251025 닉 퍼킨스.jpg 파일:20251102 정성우.jpg
홈 (퍼킨스) 원정 (정성우)


[1] FC 안양이 부천과 정반대의 예이다. 안양 LG 치타스의 상징색이던 빨간색이 증오의 상징으로 잡히면서 새 구단은 빨간색을 배제하였고 보라색을 새 상징색으로 결정했다.[2] 오리온스 시절을 제외하면 대구 연고 스포츠팀은 파란색 계열을 사용한다. 삼성 라이온즈는 원년 빨강/파랑을 왔다갔다했다 1983년부터 파란 유니폼으로 자리잡았고, 대구 FC도 하늘색이지만 넓게 보면 파란 계열을 사용한다.[3] 거기다 빨간색 유니폼은 KBL에서 매우 흔하다. SK, KGC, LG, 오리온, 현대모비스 등 절반이 빨간색이다.[4] 이것으로 서드 유니폼을 활용한 팀은 kt, 삼성, DB, LG 이후 5번째이다.[5] 퍼플은 자주색으로 대전 하나 시티즌을 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