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25%; display: inline-block; word-break:keep-all"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 |||||||||
퍼스트 어벤져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
스파이더맨 5(가제) | 스파이더맨 6(가제) | |||||||||
블랙 팬서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 블랙 팬서 3 | ||||||||
기타 영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25%; display: inline-block; word-break:keep-all" {{{#!folding [ 디즈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54553,#054553><colcolor=#fff> | |||||||||
드라마 | 시즌 1 · 2 | |||||||||
시즌 1 · 2 | ||||||||||
애니메이션 | 시즌 1 · 2 · 3 | 시즌 1 · 2 | 시즌 1 · 2 | |||||||
시즌 1 · 2 | ||||||||||
스페셜 프리젠테이션 | ||||||||||
다큐멘터리 | ||||||||||
미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25%; display: inline-block; word-break:keep-all"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시즌 1 · 2 · 3 · 4 · 5 · 6 · 7 | 시즌 1 · 2 | |||||||
시즌 1 · 2 · 3 | 시즌 1 · 2 · 3 | 시즌 1 · 2 | ||||||||
시즌 1 · 2 | 디펜더스 | 퍼니셔 시즌 1 · 2 | ||||||||
시즌 1 · 2 · 3 | ||||||||||
클록 & 대거 시즌 1 · 2 | ||||||||||
<colbgcolor=#696969><colcolor=#fff> 단편 영상 | 마블 원샷 컨설턴트 · 토르의 망치로 가던 길의 기묘한 사건 · 아이템 47 카터 요원 · 왕을 경배하라 · 팀 토르 · 팀 토르 2 · 팀 대릴 | 피터의 투 두 리스트 | ||||||||
웹 시리즈 | WHiH 뉴스프런트 시즌 1 · 2 | 에이전트 오브 쉴드: 슬링샷 | ||||||||
코믹스 | 타이인 코믹스 아이언맨: 아이 엠 아이언맨! · 아이언맨 2: 퍼블릭 아이덴티티 · 아이언맨 2: 에이전트 오브 쉴드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벤저스 · 어벤져스 프렐류드: 퓨리의 대 주간 · 어벤져스: 블랙 위도우의 공격 · 아이언맨 2 어댑테이션 · 아이언맨 3 프렐류드 · 토르: 천둥의 신 어댑테이션 · 토르: 다크 월드 프렐류드 · 퍼스트 어벤져 어댑테이션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프렐류드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리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렐류드 · 어벤져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프렐류드: 셉터드 아일 · 앤트맨 서곡 · 앤트맨 - 스콧 랭: 삼류 사기꾼 · 제시카 존스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홈커밍 프렐류드 · 토르: 라그나로크 프렐류드 · 블랙 팬서 프렐류드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프렐류드 · 앤트맨과 와스프 프렐류드 · 캡틴 마블 프렐류드 · 어벤져스: 엔드게임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프렐류드 · 블랙 위도우 프렐류드ㆍ이터널스: 500년 전쟁 | |||||||||
상호작용 | ||||||||||
테마파크 | }}}}}}}}} |
1. 개요
닥터 스트레인지의 실사영화 시리즈.1편인 〈닥터 스트레인지〉는 2016년 10월 25일에, 후속편인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는 2022년 5월 4일에 개봉했다.[1]
2. 특징
다른 솔로영화들과 가장 차별화되는 이 시리즈만의 특징은 마법이라는 소재, 전반적으로 짙은 호러 색채 및 화려한 시각효과이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처음으로 나온 마법에 관한 작품이다. 마법을 다루는 히어로이니 만큼 마법 연출 등에서 화려한 시각효과를 자랑하며 CG 면에서 몇 차례 지적을 받은 2편 조차도 전반적인 영상미는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된다. 물리적인 액션씬보다는 마법을 다루는 히어로 답게 마법 묘사와 전투씬 연출 역시 호불호는 갈릴지언정 참신하고 다른 시리즈들과 색다른 느낌을 주는 것들이 많다. 카마르 타지 자체가 기존 어벤져스와는 다른 결로 지구를 방어하는 수호집단이니 만큼 페이즈 3 기준으로 등장한 뉴 히어로들[2] 가운데에서도 상당히 특이한 느낌을 준다. 마법 vs 과학이라는 테마를 자주 차용하는 MCU 작품들 중 거의 유일하게 마법을 주제로 하는 시리즈이니 만큼 과학을 대표하는 하이테크 기술이나 장비들도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 역시 특징이다.
잔인하고 호러스러운 연출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특징인데, 1편부터 대놓고 참수씬이 나오며 캐릭터들의 사망 장면이나 전투씬의 수위가 솔로영화 시리즈 가운데 전반적으로 굉장히 높은 편이다.[3] 2편은 아예 장르부터 호러물로 제작되었으며 스칼렛 위치의 학살 장면의 수위가 디즈니 사의 영상물이 맞나 싶을 정도로 잔인하고 그로테스크하며 여러 호러 영화를 오마주한 연출이 드러난다.
작중의 배경은 카마르타지, 뉴욕이 주 배경이고 런던과 홍콩도 출연한다.
앤트맨 실사영화 시리즈처럼 멀티버스와 관련이 있다. 실제로 스콧이 갔던 멀티버스처럼 닥터 스트레인지도 에인션트 원에 의해서 비슷한 공간으로 보내졌다. 다만 기술적으로 다뤄지는 앤트맨 시리즈와는 달리 환상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른 영화들이랑 연계되는 것이 많다. 1편은 토르 라그나로크 및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랑 연계되며 2편도 완다비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과 연계된다.
닥터 스트레인지가 매우 강한 히어로인 것에 걸맞게 빌런이 상상을 초월하게 강하다. 1편의 빌런인 도르마무는 MCU 최강의 최종 보스라는 의견이 나올 정도이고, 2편의 스칼렛 위치도 MCU의 모든 빌런들을 통틀어서 손에 꼽을 정도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메인 빌런이 너무 강대해서 그런지 다른 히어로들처럼 적을 힘으로 제압하기보다 적이 스스로 물러나게끔 만드는 스트레인지의 지혜가 돋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솔로영화 치고는 스케일이 큰 것 역시 특징으로 도르마무 등의 우주적인 존재와 겨루는 것은 물론 인피니티 사가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타임 스톤을 물려받거나 세계관 최강의 마녀인 스칼렛 위치를 상대하고 3편에서는 멀티버스 사가의 인커전을 주제로 다룰 것이 암시되는 등 솔로 영화치고는 스케일이 매우 큰 편이며 인피니티 사가, 멀티버스 사가의 핵심 소재와 관련이 많은 시리즈이다.
또한 주인공이 사정상 어둠의 힘에 손을 댄다는 것[4]이 시리즈 내내 클리셰처럼 반복된다. 보통의 클리셰와는 다르게 이것이 타락으로 묘사되거나 어둠의 힘을 조절하지 못해 대가를 치르기 보다는 어둠의 힘을 빌렸다고 비난을 받으면서도 이를 잘 통솔하여 상황을 해결해낸다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3. 작품 목록
정규 시리즈 | ||||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2016 | 닥터 스트레인지 Doctor Strange | | 스콧 데릭슨 | 1편 |
2022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Doctor Strange in the Multiverse of Madness | | 샘 레이미 | 2편 |
크로스오버 | ||||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2018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Avengers: Infinity War | | 루소 형제 | 크로스오버 |
2019 | 어벤져스: 엔드게임 Avengers: Endgame | | ||
2021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Spider-Man: No Way Home | | 존 왓츠 |
4. 등장인물
4.1. 공통
4.2. 닥터 스트레인지
4.3.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 완다 막시모프 / 스칼렛 위치
- 아메리카 차베즈
- 일루미나티
- 크리스틴 팔머(지구-838)
- 완다 막시모프(지구-838)
- 울트론(지구-838)
- 슈프림 스트레인지
- 디펜더 스트레인지
- 시니스터 스트레인지
- 가르간토스
- 린트라
- 토미 막시모프
- 빌리 막시모프
- 클레아
5. 평가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솔로영화 시리즈이다. 훌륭한 영상미와 마법이라는 독특한 소재에서 오는 신비감과 참신함, 작품마다 주제의식이 확실한 점은 호평을 받았다. 마법이라는 소재 자체의 참신함으로 인해 물리적인 전투를 통해 빌런을 격파한다는 다른 시리즈들과는 차별화되는 플롯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의 MCU 작품들에선 없었던 호러스러운 연출이 많다는 점에서 참신하다는 평가가 많다. 주인공 닥터 스트레인지의 캐릭터성을 잘 어필하고 있으며 솔로 무비임에도 타임 스톤, 우주적인 스케일의 빌런, 인커전과 멀티버스 등 중요한 소재를 많이 다루며 닥터 스트레인지가 전체 MCU에서 중요한 위치의 히어로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그러나 단점 역시도 명확한 시리즈로 주인공이 마법사임에도 마법 연출에 있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이러니하게도 주인공 닥터 스트레인지의 마법 연출과 전투씬이 가장 호평을 받았던 작품은 그 자신이 주인공인 솔로영화 시리즈가 아니라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였다. 특히 솔로영화 2편에서는 빌런 스칼렛 위치에게 작품 비중에서도 밀려 버림은 물론 무기력하게 도망만 다니거나 음표대전 등의 형편없는 전투씬 연출로 인해 솔로영화임에도 주인공을 제대로 부각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큰 오점을 남겼다. 특히 닥터 스트레인지는 1편에서 뉴 히어로들 중 최초로 우주적인 존재와 맞서 싸웠고, 인피니티 워에서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략을 짜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등 향후 멀티버스 사가에서 메인 히어로 역할을 할 인물로 사실상 낙점된 상황이었기에[5] 본격적인 멀티버스 설정이 도입된 2편에서 스트레인지의 캐릭터성을 잃게 만든 것은 엄청난 혹평을 불러왔다.[6]
[1] 본래 2021년 5월 7일이었으나, 1년 늦춰졌다.[2] 솔로영화 시리즈가 개봉한 히어로 기준 앤트맨, 스파이더맨, 블랙팬서, 닥터 스트레인지.[3] 이례적으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3이 고어 연출의 수위가 상당히 높았다고 평가 받지만 그외 영화의 색채 자체는 가볍고 발랄하다.[4] 1편에서는 다크 디멘션의 힘을 쓰고 2편에서는 드림 워킹을 한다.[5] 이는 작중 스트레인지의 위치가 인피니티 사가의 주인공인 토니 스타크와 비슷했기 때문이다. 타임 스톤, 멀티버스 설정 등 사가에서 중요한 설정들과 관련이 있는 히어로이기도 하고, 엔드 게임에서도 타노스를 실질적으로 없앤 것은 토니 스타크의 희생이었지만 그렇게 되도록 판을 짠 것은 닥터 스트레인지의 계책이라는 플롯의 흐름 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었다. 토니 스타크와 방향성은 다르지만 성격과 지능이 뛰어난 캐릭터라는 위치 상 닮은 점도 많고, 다른 히어로의 작품들에 우정출연한 적이 많다는 것 역시 토니 스타크의 행보와 매우 유사하다.[6] 이는 앤트맨 시리즈의 행보와도 유사한데 앤트맨은 닥터 스트레인지와는 정반대로 스톤의 존재조차 엔드게임에 들어서서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등 다른 히어로들에 비해서도 마이너한 취급을 당하는 히어로였지만, 멀티버스 사가에 들어서서는 양자역학과 가장 관련이 깊은 히어로라는 점과 실질적으로 사가의 주인공을 맡을 히어로들이 거의 남지 않은 덕분에 비중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3편에서 사가 전체의 메인 빌런인 캉이 등장한다는 것이 예견되어 위상의 수직 상승을 예고했지만 3편에서 빌런을 띄워주려다 시리즈 전체의 색깔을 잃어버렸다는 혹평을 받았고 심지어 빌런인 캉까지 큰 혹평을 받고 이후 배우가 하차하면서 크나큰 오점을 남겼다. 그래도 닥터 스트레인지는 아직 3편이 남아있으며 호불호가 갈린 2편 역시 닥터를 제대로 부각시키지 못하긴 했지만 완다는 매력적인 빌런으로 연출되었다는 점에서 사정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