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24:18

다이하츠 하이젯

다이하츠 아트레이에서 넘어옴
파일:daihatsu-cars-logo.png
파일:2022 다이하츠 하이젯.jpg
HIJET
파일:2022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jpg
HIJET CARGO

1. 개요2. 상세
2.1. 1세대 (L35/L36, 1960~1966)2.2. 2세대 (S35/S36, 1964~1968)2.3. 3세대 (S37, 1968~1972)2.4. 4세대 (S38/S40, 1971~1981)2.5. 5세대 (S60, 1977~1981)2.6. 6세대 (S65/S70, 1981~1986)
2.6.1. 톈진 화리 다파 (TJ110, 1984~2002)
2.7. 7세대 (S80/S82, 1986~1994)2.8. 8세대 (S100/S110/S120/S130, 1993~1999)2.9. 9세대 (S200/S210, 1999~현재)2.10. 10세대
2.10.1. 카고/아트레이 (S320V/S321V/S330V/S331V, 2004~2021)2.10.2. 하이젯 트럭 (S500P/S510P, 2014~현재)
2.11. 11세대 (S700V/S700W/S710V/S710W, 2021~현재)
3. 모형화4. 미디어5. 둘러보기


Daihatsu Hijet / Atrai / Extol / Gran Max / Hi-Max / Luxio / Zebra
ダイハツ・ハイゼット
Subaru Dias Wagon / Sambar
Toyota Sparky / Pixis / LiteAce / TownAce

1. 개요

일본다이하츠에서 1960년부터 생산해 판매하고 있는 트럭 및 경형 밴이다. 경쟁 차량은 혼다 액티, 스바루 삼바, 스즈키 캐리, 닛산 클리퍼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기아 타우너의 원판 모델로 알려져 있다.

2. 상세

2.1. 1세대 (L35/L36, 1960~1966)

파일:1세대 하이젯.png
1960년 11월에 나온 경형 트럭과 1961년에 등장한 경형 밴 차량이었다. 차량은 프론트 엔진 방식을 취하면서, 후륜구동 형식의 차량이었다. 외관 치수와 엔진 배기량 등은 당시 일본에 존재하던 경차 관련 규정을 준수했다고 한다. 이 차량에서 파생된 차량이 다이하츠 뉴라인으로 1963년에 출시되었다. 하지만 당시 일본의 경차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못하면서, 1966년까지 소량 판매되다가 단종되었다. 변속기는 3단 수동변속기가 사용되었다.

2.2. 2세대 (S35/S36, 1964~1968)

파일:2세대 하이젯.png
캡오버 방식을 사용했으며, 당시 경차 관련 기준을 준수하였다. 판매 당시에는 세대 차량과 캡오버 방식의 2세대 차량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판매되었다. 다이하츠 뉴라인의 경우, S50과 S50T 차량이 등장하면서 L50 차량을 대체하였다. 다이하츠 콤파노와 엔진을 공유했으며, 뉴라인 차량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생산되었다. 또한, 하이젯 차량에 사용된 캡오버 방식은 포드 에코노라인,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닷지 A100 등에서도 나타났었다.

2.3. 3세대 (S37, 1968~1972)

파일:3세대 하이젯.png
2세대 차량에서 소폭 변경되었다. 후륜구동 형식의 차량이었으며 4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

2.4. 4세대 (S38/S40, 1971~1981)

파일:4세대 하이젯.png
356cc ZM 2기통 스트로크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후측 서스펜션은 리프 스프링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1974년형의 경우, 노란색 번호판 때문에 사소한 변화가 진행되었다. 1976년에는 하이젯 550이 등장했으며, 550cc AB20 엔진은 당시 경차 기준을 준수하였다. 새 엔진을 장착한 차량은 코드명이 S40이었다. 1977년에는 와이드 55 차량이라는 5세대 차량이 등장했음에도 1979년에 4월에 550 차량은 그릴의 형태가 바뀌는 등의 페이스리프트가 있었으며, 550 차량은 1981년 4월에 생산이 중단되었고, 하이젯 차량은 8월까지 생산되었으나, 6세대 차량이 판매되던 시기에 저가 버전으로 다시 판매되기도 했다.

2.5. 5세대 (S60, 1977~1981)

파일:5세대 하이젯.png
1977년 와이드 55라는 이름이 추가된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또한 하이젯 역사상 최초로 해외 수출이 진행되었다. 547cc AB20 엔진이 적용되었으며, 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트럭 버전이 출시된 지 3개월 후에 밴 버전[1]이 출시되었다. 1978년 9월에 마이너체인지가 진행되었다. 1979년 3월에는 '커스텀 EX' 버전이 추가되었고, 9월에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후 1980년에는 총 200만번째 하이젯이 생산되었다. 1981년에 6세대 하이젯이 등장하면서 단종되었다.

2.6. 6세대 (S65/S70, 1981~1986)

파일:6세대 하이젯.png
다이하츠 하이젯
1981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휠베이스가 길어졌으나, 엔진은 AB20을 사용하였다. 1982년에는 4륜구동 차량[2]이 출시되었다. 수출 버전은 843cc 3기통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다이하츠 850캡으로 판매되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도 판매되었는데, 당시 인도네시아의 차량 법규에 의하면 경형 차량은 1.0L 엔진을 사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어서 1.0L 차량으로 판매되었다. 1983년에 인도네시아 경형 차량 시장의 1/8 정도가 판매되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이 해에 하이젯 점보 차량이 출시되었다. 1981년에는 S65는 하이젯 아트레이 밴으로 판매되었으며, 1983년에 다이하츠 아트레이로 분리되어 판매되기 시작했다. S65V 차량도 있었는데 이는 장애인용 차량이었다. 1984년 2월에는 터보 차지 버전이 출시되었다.

2.6.1. 톈진 화리 다파 (TJ110, 1984~2002)

파일:Huali_Dafa_IMG001.jpg
天津 华利 大发 TJ110
FAW사에서 1984년부터 라이선스로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톈진 화리 다파(天津 华利 大发)[3]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코드명은 TJ110. 843cc의 3기통 CD엔진이 적용되었다. 1980~90년대 중국에서 특히 택시로 많이 사용되었다.

2.7. 7세대 (S80/S82, 1986~1994)

파일:7세대 하이젯.png파일:unZRjsI.jpg
다이하츠 하이젯 아시아 타우너(한국 시장 한정)
기아 타우너의 원판 모델로 알려져 있는 차량이며, 배기량이 550cc 이하로 줄어들었으며 3기통 EB 엔진이 사용되었다. 칠레, 몰타 등 특정 시장에서만 판매되었고, 인노첸티피아지오에서 포터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하였다. 현대 포터와 헷갈리지 말자[4] 현재도 생산되고 있으며, 하이젯에 존재하지 않던 디젤 옵션이 존재하기도 한다. 수출시장에서는 993cc 3기통 엔진이 사용되었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철저한 경차 규정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엔진이 사용되었다. 1990년에 새로운 경차 규정을 맞추어 변경된 차량이 출시되었고, 1994년까지 생산되었다. 1987년 5월에는 슈퍼 차저 버전이 출시되었고, 1990년 660cc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등장 전까지 판매되었다. 1992년에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1986년부터 다이하츠 지브라로 판매되었다.

2.7.1. 기아 타우너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이며 외환위기 당시 기아자동차에서 아시아자동차를 흡수합병하면서 기아 타우너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8. 8세대 (S100/S110/S120/S130, 1993~1999)

파일:다이하츠 아트레이.png
다이하츠 아트레이
1993년 도쿄 모터쇼에서 첫 공개가 되었고, 1994년 1월부터 판매되었다. 후륜구동 차량은 S100, 4륜구동 차량은 S110 코드명이 사용되었다. 아트레이의 경우에 S120,S130 코드명이 사용되었다. 아트레이는 멀티링크 서스펜션[5]을 사용했다. EV 버전도 등장했는데 이 차량은 7세대하이젯 EV 차량을 대체하였다. 1996년에는 트윈캠 카뷰레터를 사용하는 EF-GS 엔진을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었다. 1997년 10월에는 하이젯 is가 등장했는데 'idol'과 'stylish'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2.9. 9세대 (S200/S210, 1999~현재)

파일:10세대 하이젯.png파일:토요타 픽시스 트럭.png
다이하츠 하이젯 토요타 픽시스 트럭

2004년에 출시된 10세대 차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병행생산되고 있다.
파일:토요타 스파키.png
토요타 스파키

1.3L 7인승 버전은 다이하츠 아트레이 7로 판매되었으며, 범퍼의 크기 때문에 경형 차량으로 인정받지 않고 있다. 토요타와의 OEM 방식으로 인해 '토요타 스파키'라는 이름으로도 판매되었다.

2.10. 10세대

2.10.1. 카고/아트레이 (S320V/S321V/S330V/S331V, 2004~2021)

파일:2005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디럭스.jpg파일:하이젯 카고 2006.jpg
디럭스 하이브리드 660 하이 루프 (LE-S320V, 2005~2007)
2005년형 하이젯 카고 2006년형 하이젯 카고

2004년 12월에 카고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7년 12월에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다.

2011년부터 토요타에서 픽시스 밴으로 판매되었으며 KF엔진이 적용되었다.

승용 버전은 다이하츠 아트레이로 판매되며, 2005년 5월에 출시되었다.
파일:2018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크루즈 터보.jpg파일:2018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스페셜 SA III.jpg
크루즈 터보 스페셜 SA III
2018년형 하이젯 카고

2017년 11월에 페이스리프트 되었다.
파일:2020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디럭스 SA III_(1).jpg파일:2020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디럭스 SA III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다이하츠 하이젯 카고 디럭스 SA III_(3).jpg
디럭스 SA III
2020년형 하이젯 카고

2019년 11월에 연식변경 모델이 출시되었다.

2021년경 이후, CVT를 카코 및 트럭 모델 불문하고 선택 가능하다.

하이젯 카고, 아트레이는 2021년 11월에 생산을 중단해 재고 차량 형태로 판매되다가 12월에 단종됐다.

2.10.2. 하이젯 트럭 (S500P/S510P, 2014~현재)

파일:2015 다이하츠 하이젯 트럭 엑스트라.jpg파일:2015 다이하츠 하이젯 트럭 점보.jpg
엑스트라 점보
2015년형 하이젯 트럭

2014년 9월에 트럭 모델이 출시되었다. 전 세대 모델과 마찬가지로 토요타에서 픽시스 트럭으로 판매중이다.

2021년 12월에 페이스리프트 되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2016년부터 다이하츠 하이-맥스(Hi-Ma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2020년 판매 부진으로 인해 그란 맥스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됐다.

2.11. 11세대 (S700V/S700W/S710V/S710W, 2021~현재)

파일:2022 다이하츠 아트라이.jpg
2022년형 아트레이.

2021년 12월에 하이젯 카고, 아트레이의 풀체인지 모델이 출시됐다. DNGA(다이하츠 뉴 글로벌 아키텍처) 플랫폼이 적용됐다.

3. 모형화

4. 미디어

5. 둘러보기

파일:다이하츠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0000> 분류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미라 e:S · 무브 · 아일라 펠로우 · 쿠오레 · 리자 · 옵티 · 네이키드 ·
에쎄 · 소니카 · 맥스 · 미라 ·
미라 지노 · 미라 코코아 · 미라 토코트
소형차 아일라 · 시리온 콘소르테 · 샤레이드 · 스토리아 · · 분 · 시리온
준중형차 - 샤르망 · 어플로즈 · 메비우스
중형차 - 알티스
스포츠카 코펜 -
경형 SUV 태프트 테리오스 키드 · 테리오스 루치아 · 캐스트
소형 SUV 테리오스 · 록키 태프트 · 러거 · 비고
경형 MPV 탄토 · 탄토 커스텀 · 무브 캔버스 아트레이 7 · 웨이크
소형 MPV 제니아 · 시그라 · 토르 파이자 · YRV · 분 루미너스
경상용차 아트레이 · 하이젯 미젯 · 하이젯 그란카고
LCV 그란 맥스 D3 · D5
레이스카 - P-3 · P-5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히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18901><tablealign=center>
파일:코롤라점.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퍼블리카 · 터셀 · 셀리카 캠리 · 윈덤 · 셉터 · 코롤라 세레스 · 오리진 · 코롤라 · 벨타
왜건/해치백 코롤라 필더 · 코롤라 스포트 · 아쿠아 · 루미 · 팟소 프리우스 알파 · 스페이드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
SUV 라브4 · C-HR · 라이즈 -
MPV 노아 · 시엔타 에스티마/에스티마 HEV
상용차 프로박스 밴 · 타운 에이스 -
다이하츠의 차량[a] 미라이스 · 미라 토코트 · 무브/무브 커스텀/무브 캔버스 · 탄토/탄토 커스텀 · 웨이크 · 코펜 · 아트레이 · 하이젯 카고/하이젯 트럭 · 하이젯 캐디 캐스트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일부 코롤라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1] 다만 이 차량은 수출되지 않았다고 한다.[2] 코드명은 S66이었다.[3] 다파는 다이하츠의 중국식 발음이다.[4] 수출 시장에서 현대차가 포터의 이름을 H100으로 사용하는 이유가 피아지오의 포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5] 정확히는 쓰리링크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