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의 알파이자 오메가라 할 수 있는 이론. 가장 기본적인 이론이면서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이론.
주가지수와 추세라는 개념은 다우이론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고, 찰스 다우가 처음으로 창안
1. 6가지 기본원칙
1) 평균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2) 시장에는 동시에 세 가지의 변화추세가 존재한다. (단기, 중기, 장기)
3) 가격추세에는 3가지 국면이 있다.(강세, 약세, 보합)
4) 평균들은 상호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5) 거래량은 시장가격추세변동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6) 일단 형성되어 있는 가격추세는 전환될 때까지 계속된다.
2) 시장에는 동시에 세 가지의 변화추세가 존재한다. (단기, 중기, 장기)
3) 가격추세에는 3가지 국면이 있다.(강세, 약세, 보합)
4) 평균들은 상호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5) 거래량은 시장가격추세변동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6) 일단 형성되어 있는 가격추세는 전환될 때까지 계속된다.
2. 생성배경
다우이론(Dow Theory)의 원형은 Dow Jones & Co. 의 설립자인 Charles H. Dow(1850-1902)가 월스트리트 저널(Wall Street Journal)에 게재한 연재물에서 발견된다. 찰스 다우(Dow)는 금융서비스업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간행물 중 하나인 월스트리트 저널지의 창설자 중 한사람이며 수 십 년간 주식과 관련한 여러 논문을 집필했으며 이러한 논문들은 1930년대까지 많은 그의 후계자들이 연구 분석하여 체계화되고 정리되어 오늘날 정립된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다우이론 정립에 공헌한 사람들로는 "주식투자의 ABC" 를 저술하여 다우이론을 통일적으로 정립한 "Samuel A. Nelson", 1929년 대공황을 미리 예측한 "William P. Hamilton" , "Dow Theory"이란 책을 저술했으며 실제 주식 투자로도 많은 재산을 모은 "Robert Rhea"가 있다. 이 다우이론은 그 자신이 지은 것이 아니라 그의 동료인 S. A. Nelson이 붙인 이름이었다.
다우이론은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긴 하지만 그 대상을 개별 주식이 아닌 다수의 주식을 지수화 함으로써 전체 주식시장의 추세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오늘날 많은 구미 선진국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각종 기술적 분석 기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모든 기본과 원류는 다우이론에서 찾을 수 있으며 모든 차트 분석은 추세 추종적(Trend following)인 것으로 주요 추세를 인식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는 측면에서 앞으로도 계속 다우이론의 중요성은 간과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다우이론이 당초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분석의 대상을 개별주식이 아니라 다수의 주식 가격을 반영하는 지수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주식시장 뿐 만이 아닌 선물시장, 외환시장에서도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즉, 다우이론은 개별 주식의 가격은 전체의 동향에 따라 결정된다는 가정 하에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임.
또한 다우이론이 당초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분석의 대상을 개별주식이 아니라 다수의 주식 가격을 반영하는 지수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주식시장 뿐 만이 아닌 선물시장, 외환시장에서도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즉, 다우이론은 개별 주식의 가격은 전체의 동향에 따라 결정된다는 가정 하에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임.
3. 다우이론에 대한 비판과 보완
다우이론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 자체의 성격으로 말미암아 몇 가지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전술했듯이 다우 이론은 어디까지나 현재 진행 중인 추세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우 이론은 앞으로의 시장동향에 대한 예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는 못하며 또한 진행 중인 가격추세가 얼마나 진행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현대에는 오실레이터나 과매수/과매도 등 보조 지표들을 병행해서 사용한다. 단, 다양한 보조 지표의 실용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고 있고, 그냥 다우이론과 이평선만 사용해도 충분하다는 견해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