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중앙 연방관구 | 모스크바 · |
| 북서 연방관구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볼가 연방관구 | 니즈니 노브고로드 · 사마라 · 카잔 · | |
| 남부 연방관구 | 볼고그라드 · | |
| 우랄 연방관구 | 예카테린부르크 · 첼랴빈스크* | |
| 시베리아 연방관구 | 노보시비르스크 · | |
| 북캅카스 연방관구 | 없음 | |
| 극동 연방관구 | 없음 | |
| * 첼랴빈스크 지하철: 메트로트램으로 변경 가능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E588E><tablebgcolor=#ffffff,#1c1d1f>
}}}}}} ||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width=40%> ||<width=1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압토자보츠카야 | 소르몹스코-메셰르스카야 | ||||
|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Нижегород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 ||
| | ||
| 개통년도 | 1985년 11월 20일 | |
| 소유자 | 니즈니노브고로드 | |
| 운영자 |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 |
| 영업거리 | 21.6km | |
| 노선수 | 2 | |
| 일일 승객 수 | 약 10만 명 | |
| 정거장수 | 15 | |
| 궤간 | 1,520mm | |
| 운행최고속도 | 80km/h | |
| 급전방식 | 제3궤조 직류 825V | |
1. 개요
일부 역사와 열차의 모습.
러시아 제5의 도시인 니즈니노브고로드 시에 있는 도시철도. 니즈니노브고로드 시의 과거 명칭이 고리키였으므로 고리키 지하철이라고 불렸다.[1] 압토자보츠카야 선(Автозаводская)(붉은색)과 소르몹스카야 선(Сормовская)(푸른색), 이렇게 총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13개의 얕은 지하역, 1개의 지상역이 있다. 길이는 총 18.8km이다.
1노선은 고리콥스카야 역(Горьковская)에서 파르크 쿨투리 역(Парк культуры)[2]까지를, 2노선은 부레베스트니크 역(Буревестник)에서 모스콥스카야 역(Московская)까지를 왕복한다.
연간 37,240,000명의 사람이 이용하며, 하루에 140,000명쯤이 이용하는데, 니즈니노브고로드 시의 인구가 2012년 기준으로 125만 7천명이므로 대략 시 인구의 12퍼센트 정도가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1989년 구 소련 붕괴 직전에는 147만 명의 인구가 있었고, 배후 지역에 (2014년 기준) 328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자면 나름 수요가 나올 구석이 꽤 있는 도시.
지하철 표로는 금속 토큰이 이용되고 있다. 토큰 가격은 28루블이고[3], 이것은 현재 환율로 490원 정도이다. 성인을 위한 1000루블짜리, 대학생을 위한 600루블짜리,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를 위한 360루블짜리가 있다.
(현지 사용 토큰)
2014년부터 카드도 출시되었다. 2015년 3월부터 일정량 충전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모든 교통수단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2015년 10월부터 여행자를 위해, 90루블로 24시간 이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도 출시되었다.
2호선은 러시아 지하철 중 유일하게 좌측통행이다. 이는 모스콥스카야 역의서의 환승 편의를 위해 지었기 때문이다. 해당 역의 환승은 금정역급 개념환승이다. 홍콩 MTR의 타이와이역에서의 튄마선-동철선 간의 환승 편의를 위해 마온산선 건설 당시부터 우측통행으로 지은 것과 비슷하다[4].
2. 연혁
| 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개통 역사 |
3. 노선 목록
|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 노선 목록 | ||||||
| 노선색 | 호선 | 명칭 | 영업 구간 | 개통 | 역수 | 길이(㎞) |
| 빨간색 | 1호선 | 압토자보츠카야선 Автозаводская | 고르콥스카야역 ↔ 파르크 쿨투리 | 1985년 11월 20일 | 11 | 15.1 |
| 파란색 | 2호선 | 소르몹스코-메셰르스카야선 Сормовско-Мещерская | 스트렐카역 ↔ 부레베스트니크 | 1993년 12월 20일 | 4 | 4.0 |
4. 사건·사고
1984년 7월 13일 모스콥스카야 역에서 건설 도중 벽이 무너져 일하던 학생 2명이 사망했다. 이후 터널과 지하철역에 유령이 출몰한다는 도시전설이 떠돈다.[1] 참고로, 이 과거 명칭인 고리키는 이 도시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작가 막심 고리키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2] 직역하면 문화의 공원[3] 2017년 8월부로 모든 대중교통 비용이 28루블로 상승했다[4] 물론 이쪽은 원래 좌측통행으로 지어야 할 것을 우측통행으로 지은 것. 나중에 지어진 연장구간은 꽈배기굴을 지어 기존의 좌측통행 구간과 연결했다.[5] 다만 이 지하철이 개통된 1985년 당시까지는 소련이었고, 소련 전체로 보면 키예프 지하철, 하르키우 지하철 타슈켄트 지하철 등이 더 먼저 지어져서 니즈니노브고로드 지하철은 10번째이다.사족으로 노면전차를 지하로 집어넣은 메트로트램도 지하철로 치면 1984년 개통된 볼고그라드 메트로트램이 러시아 3번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