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어 시리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게임 | ||||||
니어 레플리칸트 (2010), | 니어 레플리칸트 ver.1.22474487139... (2021), | ||||||
,니어:오토마타 (2017), | 니어 리[인]카네이션 (2021), | ||||||
애니메이션 | |||||||
, 니어:오토마타 Ver 1.1a (2023, 2024), |
◀◀ 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 |
| |||||
게임 플레이 팁 | 등장인물 | 줄거리 | |||
도전 과제 | 스포일러 | 주제가 | |||
외전: 요르하: 어둠의 묵시록 복제된 공장 폐허 · 인형들의 군사기지 · 희망의 포대: '탑' TVA |
니어:오토마타 Ver1.1a (2023, 2024) ニーア オートマタ Ver1.1a NieR:Automata Ver1.1a | |||
<nopad> | |||
{{{#ffffff,#e5e5e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장르 | 다크 판타지, SF, 포스트 아포칼립스 | |
원작 | 「니어:오토마타」 (스퀘어 에닉스) | ||
감독 | 마스야마 료지 | ||
시리즈 구성 | 요코오 타로 마스야마 료지 | ||
캐릭터 디자인 | 나카이 준 | ||
총 작화감독 | |||
액션 감수 | 타치바나 슌(橘 駿)[1] | ||
프롭 디자인 | |||
CG 액션 감수 | 이나다 마사키(稲田正輝) | ||
Blender 감수 | 이나다 마사키 카와코시 타카히로(川越崇弘) | ||
2D 웍스 | 히라카 미에(平賀みえ) | ||
군사 고증 | 카네코 켄이치(金子賢一) | ||
미술 감수 | 카토 히로시(加藤 浩) | ||
미술 감독 | 사카가미 히로후미(坂上裕文) | ||
미술 설정 | 타카하시 타케유키(高橋武之) | ||
색채 설계 | 모기 타카히로(茂木孝浩) | ||
CG 디렉터 | 노마 유스케(野間裕介) | ||
서브 CG 디렉터 | 오오카와 타케시(大川 威) | ||
촬영 감독 | 아오시마 토시아키(青嶋俊明) | ||
편집 | 미시마 아키노리(三嶋章紀) | ||
음악 | MONACA | ||
음악 제작 | 스퀘어 에닉스 | ||
음향 감독 |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 | ||
기획 |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아베 류지(阿部隆二)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미야케 마사노리(三宅将典) 키무라 야스타카(木村康貴) | ||
제작총괄 | 시미즈 아키라(清水 暁)파트 2 카토 준(加藤 淳) | ||
프로듀서 | 마츠모토 미호(松本美穂) 후지무라 토모코(藤村智子)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후지이 쇼타(藤井翔太) | ||
애니메이션 제작 | A-1 Pictures | ||
제작 | 인류회의(人類会議)[2] | ||
방영 기간 | 2023. 01. 08. ~ 2023. 03. 19.파트 1/1~8화 2023. 07. 23.파트 1/9~12화 2024. 07. 05. ~ 2024. 09. 27.파트 2 2023. 01. 08. ~ 2023. 03. 19.파트 1/1~8화 2023. 07. 24.파트 1/9~10화 2023. 07. 31.파트 1/11~12화 2024. 07. 06. ~ 2024. 10. 01.파트 2 | ||
방송국 | 도쿄 MX (일) 00:00파트 1/1~8화 (일) 19:00파트 1/9~12화 (금) 23:30파트 2 애니플러스 (일) 02:00파트 1/1~8화 (월) 01:30파트 1/9~12화 (토) 01:30파트 2[3]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4화 (분할 2쿨)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게임의 5주년 라이브에서 공개되었다.
2. 공개 정보
AOF 2022에서 대략적인 윤곽이 공개되었다. 여기서 원작의 디렉터 요코오 타로가 직접 원작과 다른 이야기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유는 자기가 원작 시나리오를 쓸 때는 게임이라는 걸 염두에 두고 썼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애니화하면 재미가 없을 것이라 판단해서였다고 하며[4] 기본적으로 제작진들이 원작을 존중해 장면들을 만들고 있기는 하지만 혹여나 애니에서 원작과 다르다는 비판이 나온다면 다 자기 탓이라고 받아들여도 좋다고 한다.[5] 총 2쿨 분량의 파트 1과 파트 2로 나눠서 방영될 예정이며, 파트 1은 원작의 A~B 루트를, 파트 2는 원작의 C~E 루트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2.1. PV
2.1.1. 본편
2.1.1.1. 파트 1
애니화 결정 고지 트레일러 |
Promotion File 008 | Promotion File 009 |
애니플러스 PV |
Chapter.9~12 티저 예고 |
2.1.1.2. 파트 2
2쿨 제작 결정 |
1쿨 되돌아보기 영상 |
Promotion File 010 |
Promotion File 011 |
Chapter.13-18 조사 리포트 |
2.1.2. 캐릭터
Promotion File 001 : 2B | Promotion File 002 : 9S | |||
Promotion File 003 : 벙커 | Promotion File 004 : 파스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Promotion File 005 : 아담 / 이브 | Promotion File 006 : 릴리 | Promotion File 007 : A2 |
2.2. 키 비주얼
파트 1 | ||
| | |
캐릭터 비주얼 2B | 캐릭터 비주얼 9S | 캐릭터 비주얼 사령관 & 오퍼레이터 |
| | |
캐릭터 비주얼 파스칼 | 캐릭터 비주얼 아담 / 이브 | 캐릭터 비주얼 릴리 |
| | |
캐릭터 비주얼 A2 | 애니메이션 결정 | 한글 티저 비주얼 |
파트 2 | ||
| | |
비주얼 제1탄 | 비주얼 제2탄 | 비주얼 제3탄 |
| ||
제2쿨 키 비주얼[6] |
3. 줄거리
서력 5012년.
갑자기 지구로 날아온 '외계인'과 그들이 만들어 낸 '기계 생명체'의 침략으로
인류는 괴멸의 위기에 빠졌다.
달로 도망간 얼마 안 되는 인류는 지구를 탈환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병사를 이용해 반격 작전을 개시했다.
하지만 무한히 증식하는 '기계 생명체' 앞에서 싸움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에 인류는 최종병기로 신형 안드로이드 '요르하 부대'를 지구에 파견했고,
새롭게 지구에 파견된 '2B'는 한발 앞서 지구에 와 있는 조사원 '9S'와 합류해 임무에 임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그들은 수많은 불가사의한 현상과 조우했고...
이건 인류를 위해 계속 싸워 나가는, 생명이 없는 '안드로이드'의 이야기.
애니플러스
갑자기 지구로 날아온 '외계인'과 그들이 만들어 낸 '기계 생명체'의 침략으로
인류는 괴멸의 위기에 빠졌다.
달로 도망간 얼마 안 되는 인류는 지구를 탈환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병사를 이용해 반격 작전을 개시했다.
하지만 무한히 증식하는 '기계 생명체' 앞에서 싸움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에 인류는 최종병기로 신형 안드로이드 '요르하 부대'를 지구에 파견했고,
새롭게 지구에 파견된 '2B'는 한발 앞서 지구에 와 있는 조사원 '9S'와 합류해 임무에 임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그들은 수많은 불가사의한 현상과 조우했고...
이건 인류를 위해 계속 싸워 나가는, 생명이 없는 '안드로이드'의 이야기.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어:오토마타/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어:오토마타/등장인물#|]][[니어:오토마타/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ffffff,#ffffff> 등장인물 | 성우 |
2B | |
9S | |
A2 | |
포드 042 | |
포드 153 | |
아담 | |
이브 | |
파스칼 | |
사령관 | |
오퍼레이터 6O | |
오퍼레이터 21O | |
릴리 | |
데볼 & 포폴 | |
===# 진주만 강하작전(6화, 17화) #===
연극 '음악극 요르하'에서 해당 배역을 담당했던 배우가 성우로서 다시 참여한 경우가 많다.
- ※: '음악극 요르하'에서 동일 배역을 담당했거나, 같은 역이 아니어도 연극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 연기자.
- 요르하 부대 강하작전팀
- 레지스탕스: 로즈와 가베라를 제외한 배역의 CV는 '소녀 요르하'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 연기자들이 담당했다.
- 요르하 부대 사령부
- 후타바 - CV: 이시카와 린카(石川凛果)※
- 요츠바 - CV: 스즈키 모모코(鈴木桃子)※[8]
5.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어:오토마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니어:오토마타#설정|설정]][[니어:오토마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음악
6.1. 주제가
6.1.1. 파트 1
6.1.1.1. OP
파트 1 OP escalate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Aimer | ||
작사 | aimerrhythm | ||
작곡 | 하루오 요시다(春尾ヨシダ) | ||
편곡 | 타마이 켄지(玉井健二) 오오니시 쇼고(大西省吾)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 호리우치 타카시(堀内 隆) | |
연출 | 코노 아야코 | ||
작화감독 | 나카이 준 | ||
원화 | 츠지 마사토시, 아라이 노부히로, 나가하라 케이타 등 |
6.1.1.2. ED
파트 1 ED アンチノミー 안티노미 Antinomy | |||
TV ver. | |||
| |||
6화 TV ver. | |||
A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amazarashi | ||
작사 | 아키타 히로무(秋田ひろむ)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마스야마 료지 | |
연출 | |||
작화감독 | 나카이 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마스야마 료지 | |
연출 | 이시이 토시마사 | ||
작화감독 | 나카이 준 |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 |
(ED 원어 발음) | ||
(ED 한국어 가사) | ||
(풀버전 원어 가사) | ||
(풀 버전 원어 발음) | ||
(풀 버전 한국어 가사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DcesijGqk8s) 감정은 갖지 말아 주세요 그것이 있어서는 이 앞은 분명 고통스러울거에요 사람을 사랑하지 말아주세요 지켜야 할 것이 약점이 되고 분명 후회하겠죠 기뻐서 웃고 슬퍼서 울고 처음부터 그렇게 설계되어진 걸까 하지만 아프다며 우는 마음을 난 믿어 의심치 않아 의미를 버리고 의지를 가지고 살아남아서 살아남아서 숨을 쉬는거야 "곧 돌아올게"가 유언 안티노미 안티노미 마음의 버그야 사람으로서 분개해 감정을 짓밟는 모든 것에 기계장치의 눈물 거기에 흔들리는 이 마음은, 누구의 것? (간주중) 스스로 선택하지 말아주세요 혁신에 따라 안녕은 흔들려 버림으로 동정을 베풀지 마세요 백과 흑의 사이의 무한의 색채에 현혹되겠죠 세계는 수많은 질문을 반복해. 대답뿐이라면 기계로도 할 수 있어 나만의 망설임이야 말로 사람의 증명이 된다면 의미를 버리고 의지를 가지고 살아남아서 살아남아서 숨을 쉬는거야 자신을 죽이며 살아가고 있어 안티노미 안티노미 마음의 버그야 사람으로서 분개해 감정을 짓밟는 모든 것에 기계장치의 눈물 거기에 흔들리는 이 마음은 누구의 것? (간주중) 지성은 갖지 말아주세요 그것이 있어서는 진실을 알아버리고 말아요 너와 나의 다른 것은 뭐지? 아픔도 기쁨도 이렇게나 닮아있어 닮아있으니까 서로 원해 서로 증오해 그러고 보니 이 증오도 많이 닮았어. 우는 목소리 놓지 않아 당신의 손 당신의 손 아직 따뜻해 주검으로서 태어나 안티노미 안티노미 세계의 버그야 사람으로서 분개해 감정을 짓밟는 모든 것에 기계장치의 눈물 거기에 흔들리는 이 마음은 누구의 것? | ||
원어 가사 출처: |
6.1.2. 파트 2
6.1.2.1. OP
파트 2 OP / 24화 삽입곡 ブラックボックス 블랙박스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LiSA | ||
작사 | 아키타 히로무(秋田ひろむ) (amazarashi) | ||
작곡 | |||
편곡 | 데와 요시아키(出羽良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 호리우치 타카시(堀内 隆) | |
연출 | 이나다 마사키(稲田正輝) | ||
작화감독 | 나카이 준 |
6.1.2.2. ED
파트 2 ED 灰ト祈リ 재와 기도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GEMS COMPANY[9] | ||
작사 | 요코오 타로 | ||
작곡 | 오카베 케이이치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마스야마 료지 | |
연출 | 타카하시 사츠키(髙橋さつき) | ||
작화감독 | 나카이 준 | ||
원화 | 하마자키 히데키, 사카이 사토시, 마스야마 료지 등 |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嗚呼 あの暗闇が 唖々 甘やかに aあア 溢れてる 繰り返される 螺旋の中 (...) それでも、私は 彼に救われて (A) 嗚呼 あたたかな 嗚呼 (B) 唖々 君と 唖々 夢を (C) aあア あたたかな 夢を (A) 贖えて 記憶 (B) 遠く 響いて 記録 (C) 嘘と 知っても 君と (A) 嗚呼 あの傷は 癒え (B) 唖々 あの罪は 言えずに (C) aあア あの罰は 癒え | |
아아 그 어둠이 아아 달콤하게 아아 흘러넘쳐 반복되는 나선 속에서 (...) 그래도 나는, 그에게 구원받아서 (A) 아아 따뜻한 아아 (B) 아아 그대와 아아 꿈을 (C) 아아 따뜻한 꿈을 (A) 속죄하며 / 기억 (B) 멀리 울려 / 기록 (C) 거짓임을 알아도 / 그대와 (A) 아아 그 상처 사라지지 (B) 아아 그 죄는 고백하지 못한 채 (C) 아아 그 벌은 사라지지 | ||
嗚呼 あの陽だまりが 唖々 密やかに aあア 叫んでる 繰り返される 破滅の刻 (...) だから、僕は 彼女に救われた (A) 嗚呼 償いの 嗚呼 (B) 唖々 僕と 唖々 歌を (C) aあア 償いの 歌を (A) 死が来ても 告げる (B) 祈り 壊れて 繋ぐ (C) 全て 満ちても 尽きる (A) 嗚呼 あの人は 溶け (B) 唖々 あの意味は 解けずに (C) aあア あの日々は 溶け | ||
아아 그 햇빛은 아아 조용하게 아아 외치고 있어 반복되는 파멸의 때를 (...) 그래서 나는, 그녀에게 구원받았어 (A) 아아 속죄의 아아 (B) 아아 나와 아아 노래를 (C) 아아 속죄의 노래를 (A) 죽음이 찾아와도 / 전하리 (B) 기도가 부서져 / 이어가는 (C) 모든 것은 가득 차도 / 스러지리 (A) 아아 그 사람은 사라지지 (B) 아아 그 의미는 이해하지 못한 채 (C) 아아 그 날들은 사라지지 | ||
(A) 月の嘘さえも (B) ヒトの 光が (C) 暮れた 光が (A) 耳をそっと塞いても (B) 今も [ruby(寄, ruby=よ)]す[ruby(処, ruby=が)]に (C) 淡い 寄す処に (A) 音の意味が消えても なお (B) 黒と 毒を移し 鼓動 (C) 白の 毒を 残す 鼓動 (C/B/A) 息と/止めた/声が (C/B/A) 咎と/灰が/満ちて (C: 君の触れた) 僕の命さえ 届かなくて | ||
(A) 달의 거짓마저도 (B) 사람의 빛이 (C) 저무는 빛이 (A) 귀를 살며시 막아도 (B) 지금도 기댈 곳에 (C) 어렴풋이 기댈 곳에 (A) 소리의 의미가 사라져도 다시금 (B[C]) 흑과 [백의] 독을 옮기고 [남기는] 고동 (C/B/A) 숨과/멈춘/목소리가 (C/B/A) 잘못과/재가/차올라 (C: 네가 어루만진) 나의 목숨조차 닿지 못해서 (후렴 1 & 2 반복) | ||
원어 가사 출처: |
6.2. 삽입곡
- 아래 기술된 삽입곡 외에도 원작 게임 OST가 대거 사용되었다.
6.2.1. 5화
5화 삽입곡 エミール/犠牲 에밀/희생 Emil/Sacrifice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TOKYO FM BOYS CHOIR |
작사 | |
작곡 | 오카베 케이이치 |
편곡 |
6.2.2. 8화
8화 삽입곡 カイネ/救済 카이네/구제 Kaine/Salvation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에미 에반스 |
작사 | |
작곡 | 오카베 케이이치 |
편곡 |
6.2.3. 12화
12화 삽입곡 曖昧ナ希望/氷雨 애매한 희망/차가운 비 Vague Hope/Cold Rain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에미 에반스 |
작사 | |
작곡 | 호아시 케이고(帆足圭吾) |
편곡 |
6.2.4. 12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eight of the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eight of the World#영문 버전|영문 버전]][[Weight of the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J'Nique Nicole |
작사 | |
작곡 | 오카베 케이이치 |
편곡 |
6.2.5. 24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eight of the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eight of the World#|]][[Weight of the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화 삽입곡 Weight of the World/壊レタ世界ノ歌 | |
Full ver.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노래 | 카와노 마리나(河野万里奈) |
작사 | 요코오 타로 |
작곡 | 오카베 케이이치 |
편곡 |
6.3. OST
Original Soundtrack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카탈로그 번호 | SQEX-11015 | ||||||
발매일 | 2023.04.26. | ||||||||
가격 | 2,750엔(세금포함) | ||||||||
곡수 | 15곡 | ||||||||
러닝 타임 | 42:08 | ||||||||
레이블 | 스퀘어 에닉스 |
<rowcolor=#ffffff,#e5e5e5> 트랙 | 타이틀 | 아티스트 | 스트리밍 |
<colbgcolor=#070e14,#070e14><colcolor=#ffffff,#e5e5e5> 01 | 誰ガ為ノ戦イ | MONACA | |
02 | 少女ノ記憶 | ||
03 | 光芒 | ||
04 | 悪夢 | ||
05 | 機械人形達ノ夢 | ||
06 | 虚ロナル共鳴/イヴニナル | ||
07 | 虚ロナル献身/イヴニナル | ||
08 | 花ト人形達ノ円舞曲 | ||
09 | 美シキ歌(Ver1.1a) | ||
10 | 複製サレタ街(Ver1.1a) | ||
11 | 崩壊ノ虚妄/前身(Ver1.1a) | ||
12 | Weight of the World/English Version(Ver1.1a) | ||
13 | パスカル(Ver1.1a) | ||
14 | 虚ロナル共鳴 | ||
15 | 虚ロナル献身 |
7. 회차 목록
- 3화 방영 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에 따른 제작 사정으로 인해 1~3화의 재방영이 이루어졌다. #
- 8화 방영 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에 따른 제작 사정으로 인해 방영이 연기되었다. #
- 2024년 8월 16일 방영분은 총집편 방영으로 대체되었다. #
<rowcolor=#ffffff,#e5e5e5> 회차 | 제목[10]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rowcolor=#ffffff,#e5e5e5> 파트 1 | |||||||
Chapter.1 | or not to [B]e | 마스야마 료지 | 마스야마 료지 | 마스야마 료지 | 나카이 준 | - | 日/韓: 2023.01.08. |
Chapter.2 | city e[S]cape | 타카하시 사츠키 (髙橋さつき) | 오오하시 유고 (大橋勇吾) 이치카와 케이조 (市川敬三) 요시다 미나미 (吉田 南) 마츠다 모에 (松田 萌) 이토 미나 (伊藤美奈) 카와카미 테츠야 스기세 유이치 (杉生祐一) 이자와 타마미 (伊澤珠美) 林 子皓 마카베 마코토 (真壁 誠) 히구치 카오리 (樋口香里) | 나카이 준 | 日/韓: 2023.01.15. | ||
Chapter.3 | break ti[M]e | 나가야 세이시로 (長屋誠志郎) | 마도카 코스케 (マドカコウスケ) 마츠오 유키 (松尾優希) | 스기세 유이치 소엔 유스케 (宗圓祐輔) 이토 미나 히구치 카오리 | 日/韓: 2023.01.22. | ||
Chapter.4[11] | a mountain too [H]igh | 모리마치 야코 (森町やこ) | 마츠모토 켄고 아쿠츠 테츠야 | 코노 아야코 마츠모토 켄고[A] | 보우즈 (ボウズ) Berkant Dumlu 카와카미 테츠야 스기세 유이치 마카베 마코토 駿 히구치 카오리 이토 미나 마츠다 모에 소엔 유스케 오오하시 유고 이치카와 케이조 林 子皓 카타쇼 토모코 (片所友子) | 日/韓: 2023.02.19. | |
Chapter.5 | mave[R]ick | 킨다이치 아키라 (金田一 明) | 타카하시 사츠키 | 소메야 유리카 (染谷友梨花) 林 子皓 이상민 이토 미나 요시다 미나미 마카베 마코토 히구치 카오리 | 日/韓: 2023.02.26. | ||
Chapter.6 | [L]one wolf | 와타나베 유스케 (渡辺雄介) | 이시이 토시마사 | 카와카미 테츠야 스기세 유이치 이자와 타마미 이토 미나 토리고에 루이키 (鳥越塁貴) 타케다 아카네 (竹田 茜) 히구치 카오리 마카베 마코토 이상민 오오하시 유고 하마츠 타케히로 (浜津武広) 林 子皓 소메야 유리카 | 日/韓: 2023.03.05. | ||
Chapter.7 | [Q]uestionable actions | 모리마치 야코 | 마스야마 료지 이토 토모히코 마츠오 유키 | 마도카 코스케 | 무라마츠 히사오 (村松尚雄) 츠루타 나오미 (靏田尚見) 오가와 리나 (小川莉奈) 이치카와 케이조 사사가와 미유키 (笹川弥幸) 카타쇼 토모코 이토 미나 히구치 커오리 마카메 마코토 스기세 유이치 林 子皓 요시다 미나미 | 나카이 준 카와카미 테츠야 | 日/韓: 2023.03.12. |
Chapter.8 | aji wo [K]utta ? | 킨다이치 아키라 | 이토 토모히코 | 요시무라 아사히 (吉村朝陽) 이토 토모히코 | 이자와 타마미 소메야 유리카 히구치 카오리 마카베 마코토 마츠다 모에 이상민 | 나카이 준 | 日/韓: 2023.03.19. |
Chapter.9 | hun[G]ry for knowledge | 카마쿠라 유미 마스야마 료지 | 야마구치 이사무 (山口 勇) | 오오하시 유고 林 子皓 하마츠 타케히로 이상민 소메야 유리카 히구치 카오리 Kidi | 日: 2023.07.23. 韓: 2023.07.24. | ||
Chapter.10 | over[Z]ealous | 와타나베 유스케 | 무네히로 토모유키 (宗廣智行) 마스야마 료지 | 도야마 타쿠미 (堂山卓見) | 스기세 유이치 이토 미나 林 子皓 소엔 유스케 토리고에 루이키 마카베 마코토 하마츠 타케히로 이상민 | ||
Chapter.11 | head[Y] battle | 마스야마 료지 | 와타나베 토시노리 (渡部穏寛) | 마츠모토 켄고 키무라 케이지 (木村佳嗣) 쿠메타 요시유키 (粂田佳之) 요시무라 아사히 | 하마츠 타케히로 히구치 카오리 이토 미나 이치카와 케이조 이상민 이자와 타마미 Kidi 스기세 유이치 마츠다 모에 마츠모토 켄고 아이네 코우 타키야마 마사아키 | 日: 2023.07.23. 韓: 2023.07.31. | |
Chapter.12 | flowers for m[A]chines | 타카하시 사츠키 마스야마 료지 | 모리노 미야코 (杜野 都) 오가와 리나 스기세 유이치 하마츠 타케히로 히구치 카오리 이토 미나 이상민 소메야 유리카 林 子皓 마카베 마코토 마츠다 모에 요시다 미나미 楊鋭 陳婷婷 아이네 코우 타키야마 마사아키 모기 신이치 (茂木眞一) 야마모토 유코 (山本祐子) | ||||
<rowcolor=#ffffff,#e5e5e5> 파트 2 | |||||||
Chapter.13 | reckless bra[V]ery | 마스야마 료지 | 마스야마 료지 | 쿠메타 요시유키 | 오오하시 유고 모리노 미야코 소메야 유리카 스기세 유이치 마츠이 아키라 (松井アキラ) | 나카이 준 | 日: 2024.07.05. 韓: 2024.07.06. |
Chapter.14 | mission [F]ailed | 시라이시 케이스케 (白石佳祐) 토마리 코키 (渡真利晃喜) | 이토 미나 히구치 카오리 이상민 yorun42 마츠바라 카즈유키 (松原一之) 모리노 미야코 스기세 유이치 마츠다 모에 마츠이 아키라 | 日: 2024.07.12. 韓: 2024.07.13. | |||
Chapter.15[13] | no [I] in team | 마츠모토 켄고 | 쿠메타 요시유키 | 마카베 마코토 李睿杰 소엔 유스케 스기우라 유토리 (杉浦ゆとり) 히구치 카오리 오오하시 유고 Kidi 이상민 마츠이 아키라 上海樊特姆動画 | 日: 2024.07.19. 韓: 2024.07.20. | ||
Chapter.16 | broken [W]ings | 와타나베 유스케 | 타카하시 사츠키 | 마츠다 모에 소메야 유리카 우스이 아츠시 (臼井篤史) 이치하시 유이치 曾品喬 蔣平翊 洪宜安 何褘章 日 堯 豪D 劉玟萱 孫弘志 사이토 하루카 (齋藤 悠) 요네자와 아츠시 (米澤 篤) 하시모토 카이토 (橋元快斗) 사토 아야카 마츠이 아키라 | 日: 2024.07.26. 韓: 2024.07.27. | ||
Chapter.17 | bad [J]udgment | 이시이 토시마사 | 이토 미나 스기세 유이치 후쿠다 켄토 (福田健人) 히구치 카오리 李睿杰 모리노 미야코 이상민 후쿠요 마나미 (福世真奈美) 우스이 아츠시 오오하시 유고 마카베 마코토 소엔 유스케 마츠바라 카즈유키 미우라 리나 (三浦里菜) 마츠이 아키라 上海樊特姆動画 | 日: 2024.08.02. 韓: 2024.08.03. | |||
Chapter.18 | chil[D]hood's end | 킨다이치 아키라 | 마도카 코스케 | 후쿠요 마나미 (福世真奈美) 이토 미나 미우라 리나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李睿杰 陳晟 스기세 유이치 yorun42 陳婷婷 카나다 구스 (加拿大鵝) 니헤이 레이아 (二瓶令暁) 스기우라 유토리 히구치 카오리 모리노 미야코 이상민 미코시 코헤이 (三腰航平) 마츠이 아키라 빛의 정원 애니메이션 (光の園・アニメーション) | 나카이 준 소엔 유스케 | 日: 2024.08.09. 韓: 2024.08.10. | |
Chapter.19 | corru[P]tion | 모리마치 야코 | 나카노 료 (仲野 良) 오하라 마사카즈 마스야마 료지 | 나카노 료 이시구리 카즈야 (石栗和弥) 마사사 이토 (マササ・伊藤) | 마카베 마코토 후쿠다 켄토 스기우라 유토리 마츠다 모에 마츠바라 카즈유키 蔣平翊 洪宜安 何禕章 孫弘志 陳婷婷 謝佳佳 이치카와 케이조 스기세 유이치 히구치 카오리 李睿杰 소메야 유리카 마츠이 아키라 | 나카이 준 yorun42 | 日: 2024.08.23. 韓: 2024.08.24. |
Chapter.20 | deb[U]nked | 킨다이치 아키라 | 카와나미 타카히로 (川並卓弘) 마스야마 료지 | 하마사키 토오루 (濱崎 徹) | 토다카 마키 (戸髙真希) 나카오카 쿄카 (中岡響香) 나카오 아야카 (中尾彩香) 코사카 하나요 (髙阪花世) 야스오카 유키에 (安岡幸恵) 야마모토 마유코 (山本真夕子) 하라다 유카 (原田ゆうか) 니헤이 레이아 미우라 아야카 (三浦綾華) 카미모토 카네토시 (神本兼利) HONG NHUNG 王渝 欧文莹侠 叶昌 沈珞丙 张曦萦 富春 王瑞浩 | 나카이 준 이상민 yorun42 | 日: 2024.08.30. 韓: 2024.08.31. |
Chapter.21 | [N]o man's village | 모리마치 야코 | 시노하라 유이 (篠原 准) 마스야마 료지 | 사가 사토시 (嵯峨 敏) | 이토 미나 모리노 미야코 오오하시 유고 이치카와 케이조 李睿杰 히구치 카오리 마츠바라 카즈유키 이치하시 유이치 사이토 료 (斉藤 亮) 호소다 사오리 洪宜安 孫弘志 陳婷婷 王世林 加拿大鹅 마츠이 아키라 시비토 (しびと) | 나카이 준 이상민 마카베 마코토 | 日: 2024.09.06. 韓: 2024.09.07. |
Chapter.22 | just y[O]u and me | 와타나베 유스케 | 요코야마 카즈키 (横山和基) | 후쿠요 마나미 모리 에츠히토 (森 悦史) 스기세 유이치 후쿠다 켄토 히사마츠 사키 (久松沙紀) 마츠다 모에 스기우라 유토리 쿠보야마 세이지 (久保山誠士) 츠루타 나오미 | 나카이 준 yorun42 마카베 마코토 | 日: 2024.09.13. 韓: 2024.09.14. | |
Chapter.23 | meaningless [C]ode | 마스야마 료지 | 야마구치 이사무 마스야마 료지 | 야마구치 이사무 카와나미 타카히로 사와다 타츠키 (澤田 樹) | 미우라 리나 후리야 미즈키 (降矢瑞生) 우스이 아츠시 스기우라 유토리 타카세 사야카 (髙瀬さやか) 우에타케 야스히코 (植竹康彦) 야마모토 유코 사노 에리 (さのえり) 하기오 케이타 (萩尾圭太) 마츠다 타케시 와타나베 케이스케 (渡邊敬介) 고토 노조미 (後藤 望) 이시카와 토모미 (石川智美) 洪宜安 孫弘志 HONG NHUNG | 나카이 준 이상민 마카베 마코토 | 日: 2024.09.20. 韓: 2024.09.21. |
Chapter.24 | the [E]nd of YoRHa {{{#!folding 【 숨겨진 타이틀 】 | 마스야마 료지 | 쿠메타 요시유키 이시구리 카즈야 마스야마 료지 | 이토 미나 李睿杰 마츠다 모에 洪宜安 孫弘志 후쿠다 켄토 스기우라 유토리 호소다 사오리 모리노 미야코 陳婷婷 章笔人 驚樓 마츠바라 카즈유키 陳晟 오오하시 유고 스기세 유이치 쿠보야마 세이지 후쿠요 마나미 이나다 마사키 (稲田正輝) 히구치 카오리 마스야마 료지 | 나카이 준 yorun42 이상민 마카베 마코토 | 日: 2024.09.27. 韓: 2024.10.01. |
8. 방송국 일람
방송국 일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2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e5e5e5> 방영기간 | 방영시각 | 방송국 | 방송지역 | 비고 | |||||
2023. 01. 08. ~ 2023. 03. 19.파트 1/1~8화 2023. 07. 23.파트 1/9~12화 | (일) / 00:00파트 1/1~8화 (일) / 19:00파트 1/9~12화 | 도쿄 MX | 일본 도쿄도 지역 | 최속 방송국 | ||||||
도치기 TV | 일본 도치기현 지역 | |||||||||
BS11 | 일본 전역(BS 방송) | |||||||||
2023. 01. 08. ~ 2023. 03. 19.파트 1/1~8화 2023. 07. 24.파트 1/9~12화 | (일) / 00:00파트 1/1~8화 (월) / 00:30파트 1/9~12화 | 군마 TV | 일본 군마현 지역 | 최속 방송국 | ||||||
2023. 01. 10. ~ 2023. 03. 21.파트 1/1~8화 미정파트 1/9~12화 | (화) / 01:59파트 1/1~8화 미정파트 1/9~12화 | 요미우리 테레비 | 일본 간사이 광역 | |||||||
2023. 01. 11. ~ 2023. 03. 22.파트 1/1~8화 2023. 08. 07. ~ 방영 중파트 1/9~12화 | (수) / 01:59파트 1/1~8화 (월) / 01:50파트 1/9~12화 | 후쿠오카 방송 | 일본 후쿠오카시 지역 | |||||||
2023. 01. 11. ~ 2023. 03. 22.파트 1/1~8화 2023. 09. 08. ~ 방영 중파트 1/9~12화 | (수) / 02:27파트 1/1~8화 (금) / 02:04파트 1/9~12화 | CHUKYO TV | 일본 주쿄 광역 | |||||||
2023. 01. 13. ~ 2023. 03. 24.파트 1/1~8화 2023. 07. 31. ~ 방영 중파트 1/9~12화 | (금) / 02:29파트 1/1~8화 (월) / 02:00파트 1/9~12화 | 삿포로 테레비 | 일본 홋카이도 지역 | |||||||
2023. 01. 14. ~ 2023. 03. 25.파트 1/1~8화 미정파트 1/9~12화 | (토) / 22:00파트 1/1~8화 미정파트 1/9~12화 | 애니맥스 | 일본 전역(위성 방송) |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2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한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e5e5e5> 방영기간 | 방영시각 | 방송국 | 방송지역 | 비고 | |
2023. 01. 08. ~ 2023. 03. 19.파트 1/1~8화 2023. 07. 24.파트 1/9~10화 2023. 07. 31.파트 1/11~12화 | (일) / 02:00파트 1/1~8화 (월) / 01:30파트 1/9~12화 | 애니플러스 | 대한민국 전역 | 최속 방송국 |
9. 에피소드 가이드
<rowcolor=#ffffff,#e5e5e5> 회차 | 제목 | 원작 챕터 |
<rowcolor=#ffffff,#e5e5e5> 파트 1 | ||
Chapter.1 | or not to [B]e | Ch.10-02_2 : 싸움의 시작 |
Chapter.2 | city e[S]cape | Ch. 17-01 : 9S 탑을 향해 |
Chapter.3 | break ti[M]e | Ch.14-03 : A2 파스칼의 구원 요청 |
Chapter.4 | a mountain too [H]igh | Ch.05-02 : 초대형 병기 습격 |
Chapter.5 | mave[R]ick | Ch.14-05 : A2 아이들 |
Chapter.6 | [L]one wolf | Ch.10-01_3 : 2B 레지스탕스 캠프 구원 |
Chapter.7 | [Q]uestionable actions | Ch.11-07 9S 이별 |
Chapter.8 | aji wo [K]utta ? | Ch.06-01 : 벙커에서 조사 보고 |
Chapter.9 | hun[G]ry for knowledge | Ch.01-01_2 : 9S 공중전 |
Chapter.10 | over[Z]ealous | Ch.14-01 : A2 연료용 여과 필터 보급 |
Chapter.11 | head[Y] battle | 에밀의 결의[14] |
Chapter.12 | flowers for m[A]chines | Ch.10-05_1 : 싸움의 끝[15] |
<rowcolor=#ffffff,#e5e5e5> 파트 2 | ||
Chapter.13 | reckless bra[V]ery | |
Chapter.14 | mission [F]ailed | Ch.11-05 9S 방공 시스템 해킹 |
Chapter.15 | no [I] in team | Ch.11-04 오염된 요르하 부대 Ch.11-05 2B 벙커 탈출 |
Chapter.16 | broken [W]ings | Ch.11-05 2B 최후 |
Chapter.17 | bad [J]udgment | |
Chapter.18 | chil[D]hood's end | |
Chapter.19 | corru[P]tion | |
Chapter.20 | deb[U]nked | |
Chapter.21 | [N]o man's village | |
Chapter.22 | just y[O]u and me | |
Chapter.23 | meaningless [C]ode | |
Chapter.24 | the [E]nd of YoRHa |
9.1. 원작과의 차이점
상술되었듯 니어 시리즈는 매체마다 전개가 조금씩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본작에서도 큰 틀은 게임판을 따라가고 있지만, 애니메이션 판만의 설정 변경이나 추가 장면 등이 존재한다.====# 파트 1 #====
- 1화
- 벙커 내 9S와 재회 장면에서 2B의 독백이 다르다.모든 존재는 사라지도록 설계되어 있다.생과 사를 되풀이하는 나선에.....우리는 얽메여 있다.이것은 저주인가아니면 벌인가하지만 용서받을 수 있다면 바라고 싶다.그의 행복을... 이게 내...
- 9S가 해킹을 하는 장면이 후반부의 네트워크 공간과 흡사하게 변경되었으며 엥겔스에게 공격을 맞은 이유가 2B의 원호에서 해킹을 진행하던 도중 엥겔스가 예상보다 빠르게 기능을 회복한 탓에 미처 회피하지 못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 부상당한 9S의 복부에 파이프가 꽂혀져 있다.
- 거대 비행체 형태의 기계생명체가 강하작전 도중에 등장한다.[16]
- 2화
- 월면 기지의 인류 회의와 궤도의 사령부 벙커가 지상의 레지스탕스를 노골적으로 외면하고 별다른 지원도 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레지스탕스 상황이 나쁘다는 설정이 강화되었다. 원작 게임에서도 레지스탕스는 열악한 상황이었지만 그럼에도 요르하 부대가 일종의 특수부대로, 레지스탕스가 지상군의 역할을 하면서 레지스탕스 소속의 항공모함까지 등장하면서 상호 협동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애니판의 레지스탕스는 벙커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애니에서는 레지스탕스 소속 병기들은 주로 인류의 구형 무기 내지 차량 장비이기에 항공모함도 없고, 위성 레이저나 레일건 등의 무기는 요르하 소속으로 지원을 나온다.
- 레지스탕스의 리더 아네모네가 릴리라는 캐릭터로 변경되었다.[17]
- 플라톤으로 추정되는 기계생명체가 수집한 인류의 기록들 사이에 드래그 온 드라군의 E엔딩 마지막 장면[18]이 잠깐 스쳐지나가는 팬서비스성 장면이 추가되었다.
- 레지스탕스 가 데볼&포폴을 직접적으로 차별한다.
- 3화
- 4화
- 벙커 사령관이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인류회의에 직접 접촉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인류회의 측은 사령관과의 대화에서 아담, 이브, 그 외 기타 기계생명체의 특수 개체들과의 조우가 모두 요르하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한다.
- 애니메이션에서 해킹 시퀀스의 연출이 대폭 달라진 것으로 인해 9S뿐만 아니라 2B 역시 해킹을 걸어 온 보부아르의 내막을 일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작 후반부에 등장하는 내용과 비슷하게 2B가 포드의 보조를 받아 제한적으로 해킹을 사용하는 장면이 등장하며, 일반적으로 전투형 기체에 의한 해킹 공격을 권장하지 않는 이유가 논리 오염에 대한 취약성 때문이라는 보강 설명 역시 추가되었다.
- 인간을 위해 기계생명체를 섬멸한다는 안드로이드의 존재 이유에 강하게 매달리는 9S의 극단성을 보여주는 시퀀스가 4편 전반에 걸쳐 곳곳에 추가되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원작에서는 보부아르 전투 이후 기계생명체에게 감정이 있는 듯 보인다는 9S의 말을 2B가 부정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대화의 구도가 정반대로 변했다.
- 5화
- 6화
- A2의 과거가 기존 비주얼 노벨 형식으로 묘사된 원작 게임보다 더 자세하게 묘사되었다.
- 과거 회상 속 전개는 연극 '무대 요르하'의 큰 줄기를 그대로 따라가지만, 레지스탕스 멤버들의 생사 여부나 각각의 사망 원인 등의 디테일이 다르다.
- 연극의 릴리는 전개 과정에서 중력 제어 능력을 습득하고 최종 전투에서 전선 방어에 투입되어 끝까지 싸운 이후 사망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러한 능력이 없고, A2의 서버실 침입에 함께한 이후 홀로 살아남는다.
- 연극의 거베라는 최종 전투에서 전선 방어에 투입되어 끝까지 싸운 이후 사망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서버실 침입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기계 생명체의 빔 공격에 사망한다.
- 연극의 마가렛은 최종 전투에서 A2의 서버실 침입에 함께한 이후 N2의 공격에 사망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거베라와 함께 빔 공격에 사망한다.
- 연극의 데이지는 최종 전투에서 전선 방어에 투입되어 홀로 생존하고 이후 N2에 의해 조종당하다 A2와 4호에게 사망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빔 공격으로부터 릴리를 보호하려다 사망한다.
- 7화
- 숲의 왕국을 찾아가는 이유가 파스칼 마을의 분홍 리본을 달린 기계생명체[21]를 찾으러 간 것으로 바뀌었으며 때문에 파스칼이 동행하게 된다.
- 해당 시점에서 숲의 왕국은 이미 A2에 의해 초토화되어 한번의 전투 없이 바로 A2와 조우한다.
- 전투 이후 A2가 후퇴하는 것은 동일하나 원작과는 달리 2B와 단 3합만에 A2의 칼이 부러져 후퇴한다.
- 오퍼레이터 60의 '달의 눈물' 꽃 정보가 있다고만 알려주고 끝나지만 애니에선 찾아달라고 한다. 또한 찾아준 이후에도 2B가 따로 보답을 위해 '사막의 장미'를 찾아주진 않는다. 게임에서는 머리에 꽂는 악세서리 아이템으로 지급되는데, 애니에선 가슴팍에 꽂는다.
- 8화
- 수몰도시에서의 항공모함 지원 전투 에피소드가 삭제[22]되었으며, 9S가 잭애스를 찾는 과정에서 아담에게 납치당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 9화
- 외계인의 모선 에피소드와 복제된 도시 에피소드가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2B는 아담으로부터 사실은 인류가 멸망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듣게 된다. 아담은 인류의 멸망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한편, 2B는 이를 부정하려 한다.
- 복제된 도시의 교회 내부가 묘사된다. 교회의 예배당에 해당할 위치에는 여러 인간들의 형상을 한 조각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안쪽에는 니어 레플리칸트에 등장하는 도서관의 복제본이 위치해 있다.
- 2B와 아담의 전투 내용에 일부 각색이 가해졌으며, 전투의 결과 원작과 달리 아담이 아닌 이브가 사망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후, 브라콘에 가깝게 형을 좋아하여 자신의 원동력으로 삼던 이브가 형의 상실에 대해 폭주하는 모습이 아닌, 인류의 감정과 근본에 대해 추구하던 아담이 동생의 상실을 통해 증오라는 감정을 깨우치게 되는 모습으로 바뀐다. 하술하는 11화를 보면 알겠지만 이후에도 이브가 아닌 아담이 요르하 부대를 상대한다.
- 10화
- 종교 집단 조사의 동기가 각색되었다. 이브가 관리하던 기계 생명체 네트워크의 잔존 세력 중 아담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확인되어 그를 사살해야 한다는 명목. 종교 집단의 교주는 아담 앞에 나타나 이브의 이름을 입에 올렸다가 아담의 분노를 사 원작과 같이 사망한 상태로, 그 뒤에 아담이 종교 집단의 '신'처럼 받들어지게 된 것으로 묘사된다. 파스칼은 원작과 달리 이 임무에 동행하지 않는다.
- 그 유명한 '신이 되자'라는 종교 집단의 구호 역시 '이브가 되자'로 각색. 종교 집단의 행동원리가 '신(아담)을 위해 모두 죽어서 이브가 되어야 한다'라는 식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 11화
- 기계생명체의 대규모 습격 묘사가 대폭 보강되었다. 대규모 군세를 막는다는 형태로 EMP 병기가 레지스탕스/요르하 측의 전력으로 등장하고, 9S의 지구 귀환 역시 이 EMP 병기를 투하하는 작전의 일환으로 묘사된다. 이외에도 웨폰 스토리 중 하나인 공보담당 42S의 방송이 본편에 편입되었으며, 레지스탕스가 기계생명체 일부를 노획해 무력화한 후 포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묘사 역시 추가되었다.
- 오퍼레이터 6O를 통해 대검인 '백의 언약'이 전달된다. 게임에서 이 대검은 튜토리얼 전투에서 의체를 포기하면서 잃어버린 뒤 초반부터 폐공장에서 회수할 수 있는데, 본작에서 2B는 이 시점까지 이따금 적에게서 뺏은 무기를 임시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한손검인 '백의 계약'만 장비하고 있었다.
- 인류회의의 '계획'에는 '신'을 얻고자 하는 목표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 원작의 항공모함 지원 전투 에피소드가 기계생명체 침공 및 최종보스와의 전투에 통합. 구체적으로는 10화에서 집단 자살한 기계생명체들로 만들어진 이브 형태의 초대형 기계생명체가 한 차례 공격을 받은 뒤 니어 리[인]카네이션의 보스 '다원형'과 유사한 형태로 재구성된 것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의 미사일 공격 역시 레지스탕스 측에서 준비한 최종병기로 등장.
- 상술했듯 이브가 아닌 아담이 생존자가 됨에 따라 그의 행동 동기 역시 적절히 각색되었다. 아담은 그동안 인류에 매료되어 많은 지식을 쌓아왔지만, 그 지식이란 함께 공유할 사람이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결국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눌 사람을 잃어버린 아담은 이 세상에 의미가 없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 12화
- 최종 보스가 된 아담과의 전투는 사실상 11화에서 마무리되었다. 원작의 보스전 도입부 시퀀스는 등장하나, 이미 아담의 신체가 반파당한 상태여서 전투가 불가능했다. 2B가 기계생명체에게 마음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려 하며 마무리를 짓지 못하자, 9S가 대신 공격해 아담은 그대로 사망했다.
- 9S가 요르하 서버의 이상에 눈치채는 에피소드는 네트워크 개념인격 N2가 등장하는 등의 일부 각색 후 삽입되었다. 작중 시점은 원작과 동일. 해킹 시퀀스의 연출 변경에 따라 등장하지 않았던 슈팅 게임 포인터 역시 서버 내부의 공격형 배리어라는 설정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원작과 달리, 9S의 메모리에서 인류가 이미 멸망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시점의 기억이 날아가버렸다.
- 이후 9S가 요르하의 진실을 알게되는 장면에서 프로토타입 9호로 추정되는 기체가 녹화한 영상을 보게된다.
====# 파트 2 #====
- 13화
- 게임 원작에서는 일부 서브 퀘스트와 A2의 발언으로 인해 암시만 되었던 2B의 E형 유닛으로서의 역할이 직접적으로 묘사된다. 9S는 이미 2B와 요르하 부대가 수상하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2B에게 해킹을 걸려 하거나 후방에서 자신을 공격하려는 2B를 모르는 척 견제하기도 한다. E형의 존재가 암시되는 서브 퀘스트의 내용 역시 일부로서 편입되었는데, 원작과 달리 9S는 해당 퀘스트의 E형 유닛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자신을 공격하려는 2B에게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기까지 한다. 그리고 이 에피소드에서 2B는 9S를 '나인즈'라고 부른다.
- 마찬가지 맥락으로, 이미 9S가 수 차례 처형당해온 사실이 처음부터 알려진다. 심지어 2B와 처음 만났을 때의 대화(1화), 폐허 도시(3화)나 백화점(5화)에 대한 대화 등 이미 파트 1 시점에서 한 차례 겪었던 이벤트들이 13화에서 다시 한 번 반복되어, 13화의 9S는 파트 1의 9S가 아니라는 사실이 계속해서 암시된다. 이어지는 14화의 맥락을 고려하면, 13화의 대부분은 파트 1보다 이전에 일어난 일을 다룬 일종의 회상 에피소드라는 것. 게임 원작에서는 9S가 기밀 파일의 내용을 알게 된 뒤 아예 사령관이 나서서 인류가 멸망한 사실을 9S에게 알려줬지만, 본작에서는 2B에게 9S의 처형을 의뢰한 것 역시 다르다.
- 파트 1에서는 파스칼 마을의 수호신 취급을 받던 에밀이 원작 게임과 동일한 형태로 재등장한다. 앞의 내용을 고려하면 파트 1에 등장한 파스칼 마을의 에밀은 수많은 복제들 중 하나였을 것이다.
- 9S를 처형하기 위해 그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니어 레플리칸트의 사막 신전이 등장한다. 상술했듯 2B가 E형으로서 9S를 처형하는 모습은 원작에선 암시만 됐을 뿐, 소설판에서야 비로소 등장하는데 이 소설판에서 9S를 처형하려 한 에피소드가 애니에 실린 것. 다만 소설의 내용과는 달리 애니판의 이 사막 신전에서 2B는 9S의 처형에 실패한다.
- 사령실의 대형 스크린이 회전하며 내부 공간이 드러나는 연출이나 강화형 비행 유닛의 설정은 파이널 판타지 XIV: 칠흑의 반역자의 니어 콜라보 레이드 인형들의 군사 기지로부터의 역유입.
- 14화
- 대규모 강하 작전의 내용 자체는 큰 차이가 없으나, 각색과 더불어 세부적인 묘사가 더해졌다.
- 게임 원작에서는 다뤄지지 않았던 레지스탕스 진영의 전황이 묘사된다.
- 위성 레이저 병기의 사용이 허가되고 레지스탕스 캠프에 요르하 부대의 무기가 대여되는 등, 이후 벌어질 일을 앞두고 요르하 부대의 선전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마냥 인류회의가 작전을 전면적으로 서포트하는 모습이 명시적으로 묘사된다. 이 결정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더불어 13화에서 서버 내 기밀 파일에 접촉한 9S를 제거하라고 명령한) 사령관의 모습으로 보아, 애니메이션판의 사령관은 게임 원작에 비해 요르하 부대의 전모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가 더 적을 가능성이 있다.
- 9S는 방공 시스템을 해킹하기로 한 S형 유닛의 임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고, 이후 레지스탕스 진영을 공격하려는 엥겔스 부대에 함께 해킹을 걸어 레지스탕스 진영을 지원한 뒤 그대로 이쪽에 합류한다.
- 21O가 자원하여 B형으로 재배치된 뒤 전투를 벌이는 모습이 직접적으로 묘사되었다.
- 요르하 부대에 걸린 해킹과 바이러스 공격의 묘사가 일부 변경 및 보강되었다. 원작에서는 플레이어가 직접 요르하 안드로이드를 조작한다는 설정을 이용해 EMP 공격과 해킹의 영향을 각종 시각 효과와 조작 페널티를 이용해 묘사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후 이어지는 바이러스 기반 정신 오염 공격이 부각된다.
- 바이러스 감염 경로가 처음부터 명확하게 확인된다. 원작에서는 2B와 9S만 데이터 동기를 하지 않은 자신들만이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았으므로 데이터 동기 과정이 문제를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9S가 그저 짐작만 할 뿐이지만, 본작에서는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포트가 무조건적으로 개방되어 바이러스가 침입할 수 있는 상태였다는 사실을 9S가 직접 확인한다.
- 원작에는 없었던 '바이러스 오염 심도'라는 개념이 서사를 위한 장치로서 도입되었다. 바이러스가 안드로이드 내부에 깊이 침투할수록 치료가 힘들어진다는 설정.
- 게임 원작에서는 후반부에 밝혀지는 내막들로 암시만 되었던 네트워크 개념인격 N2의 개입이 더욱 직접적으로 묘사된다.
- 파트 1에서는 다뤄지지 않았던 그륀의 존재가 짧게 지나가는 장면에서 비춰진다. 본작에서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미 사망한 상태.
- 15화
- 14화에 이어서 대규모 강하 작전이 이어진다.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고, 각색과 세부적인 추가 묘사가 있다.
- 원작에서 특별한 묘사가 없었던 것과 달리, 본작의 2B는 2E로서 처음부터 인류가 멸망한 사실과 그 내막을 전부 (또는 적어도 임무 수행에 필요한 정도로는) 알고 있다.[23] 게임 원작에서는 9S가 종교 집단의 본거지가 되어버린 폐공장을 해킹하면서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해당 내막과 관련된 정보를 볼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플레이어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요소이기에 해당 정보를 확인하느냐의 여부는 9S의 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원작의 감정선으로도 당연히 짐작 가능한 내용이지만, 2B는 모든 싸움이 끝나면 그동안 계속 죽일 수밖에 없었던 9S와 비로소 평화로운 삶을 살고 싶다는 바람을 갖고 있었음이 명시적으로 묘사된다.
- 2B는 원작대로 강제개방된 백도어에 의한 바이러스 공격을 받지는 않지만, 당시 지원하고 있던 세타 부대의 3B에 의해 한 차례 물리적 경로로 바이러스에 오염된다. 3B가 2B를 죽이기 전에 도착한 9S가 치료.
- 2B가 오염된 요르하 부대와의 전투에 돌입하는 시퀀스가 변경되었다. 원작에서는 9S의 해킹 기믹을 이용해 피아식별장치의 회로를 태워 비로소 전투에 돌입하는 흐름이었으나, 본작에서는 처음부터 E형 모델로서 부대원을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요르하 부대와 싸울 것을 전제로 하는 사양들[24]이 9S의 눈앞에서 직접 언급되는데, 본편의 9S는 아직 처형 대상으로 지정된 적이 없는데다 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그 능력들이 E형으로서의 특수 사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할 것이므로, 해당 묘사는 이야기의 흐름 상 문제가 없다.
- 본작에서는 처음으로 게임에서는 기본 사양인 2종 무기의 동시 사용이나 저스트 회피 등의 연출이 사용되었다.
- 요르하 부대의 패망 역시 마찬가지로 큰 틀은 유지한 채로 일부 세부적인 묘사에 각색이 이루어졌다.
- 사령관은 원작과 달리 오염된 요르하 오퍼레이터형 기체에 의해 기절한 상태로 등장한다. 따라서 2B와 9S를 바이러스 오염 혐의로 구속하려 했던 원작의 묘사 역시 삭제되었다.
- 바이러스에 오염된 6O는 처음부터 끝까지 사실상 기계생명체의 아바타 취급을 당하며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 오퍼레이터들과의 전투는 남아있는 강화형 Ho 229를 포드 042가 조종해 사령실을 날려버림으로써 종료된다.
- 3회차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오프닝 크레딧 연출이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다. 크레딧에 등장하는 제작진 목록은 애니메이션 주요 제작진으로 바뀌었고, 형을 위해 기름을 나르던 동생 기계생명체가 비춰지는 장면은 우주에서 떨어지는 요르하 유닛들을 바라보는 A2로 변경.
- 16화
- 3회차 도입부의 마무리로서 2B의 죽음이 묘사된다. 9S의 상황 이외에는 특별한 각색 없이 원작의 흐름을 유지한다.
- 2B의 죽음을 앞두고, 2B와 9S의 시점에서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해왔는가에 대한 세세한 묘사들이 추가되었다.
- 2B는 원작대로 9S의 Ho 229를 대피시키려 하나, 9S가 기체를 해킹해 제어권을 되찾아 위기에 처한 2B를 가까스로 구해낸다. 하지만 오염된 요르하 부대원들이 블랙박스 자폭 공격을 시도했고, 이에 휘말린 둘은 원작대로 떨어지게 된다.
- 2B는 블랙박스 자폭 공격의 영향으로 왼팔을 잃는다. 수몰 도시에서 대피를 시작했던 원작과 달리, 본작의 2B는 폐허 도시에서 깨어난다.
- 어느새 폐허 도시에 도착해 있었던 원작과 달리, 본작의 9S는 사막지대에 추락해 2B가 있는 곳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원작 3회차에서 A2의 첫 번째 보스전이었던 기계생명체 '헤겔'과의 싸움 역시 9S가 탈출 과정에서 맞닥뜨린 것으로 각색되었다. 헤겔 2체에게 협공을 당한 9S는 한 대를 해킹해 조종, 다른 한 쪽을 가까스로 쓰러트린다.
- A2가 2B의 무기에 닿는 순간 2B의 기억이 흘러들어오는 직접적인 묘사가 추가되었다.
- 원작 3회차에서는 툭하면 바닥이 무너져 추락하는 것이 개그 아닌 개그코드로 정착되었던 9S였지만, 본작에서는 어떻게든 흔들다리의 줄을 붙잡아 버틴다. 물론 흔들다리가 통째로 중간에서 끊어졌기에 A2에게 도달하지는 못한다.
- 포드가 요르하 기체들을 감시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는 것이 명확히 밝혀진다. 포드들은 보통 스스로를 요르하 기체의 지원 담당이라고 묘사하지만, 여기서 요르하 기체를 감시한다고 언급한다.
- 17화
- 6화에서는 릴리의 시점으로 그려졌던 진주만 강하작전이 이번에는 A2(당시 2호)의 시점의 이야기로 다시 구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6화에 비해 요르하 부대 측의 입장이 더 자세히 묘사된다. 6화와 의도적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연출된 부분이 많다.
- (비주얼 노벨 파트를 제외하면) 원작에서는 헤겔 보스전의 여파로 A2가 해당 기억의 일부를 떠올렸음이 암시만 되지만, 헤겔전이 9S에게 넘어간 본작에서는 A2가 기절한 동안 포드가 손상된 기억을 복구하며 기억을 들여다보는 형태로 각색되었다.
- A2 시점의 내용은 만화 '요르하 진주만 강하작전 기록'(ヨルハ 真珠湾降下作戦記録; 원안 및 감수: 요코오 타로, 작화: 소라마치 메구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마지막 전투에서 로즈가 요르하 부대원 네 명에게 붙여준 이름(2호: 프리지아, 4호: 아마릴리스, 16호: 리코리스[25], 21호: 카틀레야)은 연극 '음악극 요르하' 당시 로즈 역을 맡았고 본작에서도 성우를 담당한 히나가타 우이가 연극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홀로 생각했던 이름을 그대로 반영했다. 연극 상연 당시는 알려지지 않았고, 이후 블루레이판을 제작하면서 언급할 기회가 생겼던 모양.
- 갑자기 나타난 '탑'의 일부에 휘말려 기절한 A2가 원작에서는 원래 있던 백화점 구역에서 그대로 일어나지만, 본작에서는 파스칼의 마을로 옮겨져 간호를 받던 중에 깨어나게 된다.
- 18화
- A2와 9S의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교차편집되어 있다.
- 게임 본편에서도 A2 파트와 9S 파트를 교차진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9S가 깨어난 것은 A2의 메인 스토리인 파스칼 마을에서의 사건이 모두 끝난 이후임이 암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작에서는 A2와 9S의 스토리가 같은 시간대에 진행된다.
- 게임 본편에서도 9S와 A2는 세 번째 자원 회수 유닛에서의 전투 이전까지는 절대로 마주치지 않지만 이는 9S가 깨어난 시점이 늦기 때문이다. 본작에서는 9S가 울분을 못 참고 캠프를 뛰쳐나간 사이에 A2가 캠프에서 필터 교체 작업을 받게 된 것으로 각색이 이루어졌다.
- 원작에서는 퀘스트의 형태로 이런 저런 부탁을 들어주며 A2가 기계생명체 아이들과 교류했지만, 본작에서는 A2가 간호받는 입장에서 아이들과 대화하고 이들을 이해해가는 형태로 각색되었다. 필터 문제로 인해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된 A2는 짧은 지식으로 어떻게든 그녀를 간호하려는 기계생명체 아이들에게 휘둘리며 수난을 당한다.
- 원작에서 몇몇 서브 퀘스트로 엮였던 기계생명체들[26]의 모습이 짤막하게 지나가는 가운데, 방구석폐인 로봇 설정이 변경되었다. 원작에서는 아들이 틀어박혀 엄마 기계생명체가 이를 걱정하지만, 본작에서는 반대로 엄마가 틀어박혀버리고 만다. 본작 7화에서 언니를 수리할 부품을 찾으러 갔다가 숲의 나라 로봇과 결혼했던 동생 기계생명체는 결혼한 상대를 의자처럼 사용하고 있다.
- 파스칼이 아이들에게 공포라는 감정에 대해 가르쳐 왔다는 사실이 원작에 비해 조금 일찍 밝혀졌다.
- 원작의 '동포들의 행방' 서브 퀘스트의 일부가 간략한 형태로 삽입되었다. 원작과 달리, 본작에서는 레지스탕스 멤버가 직접 묘를 만들고 여기에 꽃을 바치는 모습이 묘사된다.
- 19화
- 9S의 퀘스트 라인인 자원 회수 유닛 투어의 흐름이 대폭 각색되었다.
- 게임 원작에서 유원지 유닛의 9S 사이드 보스로 등장했던 21O는 본작에서는 '탑'에 들어가려다 실패한 9S 앞에 나타난다. 21O는 논리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인해 쓰러진 요르하 유닛을 조종할 수 있게 되어 9S를 공격하지만, 원작과 동일하게 이는 자신의 의지에 따른 행동이 아니었다. 원작에서 그녀는 A2의 손에 사망하지만, 본작에서는 자결해 9S를 구하게 된다.
- 원작에서는 대놓고 N2가 공개방송으로 알려줬던 서브 유닛의 해제 방법이 본작에서는 21O가 입수한 정보로서 9S에게 전달되게 된다.
- 오퍼레이터 모델의 입을 가리던 마스크가 해제되는 장면이 최초로 묘사된다.
- 첫 번째 자원 회수 유닛 '육체의 상자'의 위치가 숲 왕국에서 수몰 도시로 변경되었다.
- 원작에서 '육체의 상자'는 액션 플레이를 위해 적대적 기계생명체를 상대하도록 설계된 시퀀스였지만, 본작에서는 보스를 포함한 유닛 내의 모든 기계생명체가 전투를 원하지 않았고, 9S의 공격에도 그저 도망가거나 대화를 시도하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파트 1의 일부 에피소드와 비슷하게, 원작에 비해 9S의 극단성이 더욱 강조되는 방향으로 각색이 이루어졌다.
- A2의 퀘스트 라인인 파스칼 마을 괴멸 에피소드가 시작되었다. 원작에서는 적대 상태로 폭주한 마을 내 기계생명체와 외부 침입자들이 마을을 초토화시키는 것에서부터 이벤트가 시작되었지만, 본작에서는 마을로 다가오는 적대적 개체들을 격퇴하기 위해 아이들을 제외한 마을의 기계생명체들이 방어전에 나서고, A2가 이들을 조직하게 된다.
- 요르하 부대원들을 지원하는 유닛 외에도 3000대가 넘는 포드들이 각지에서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 20화
- 파스칼은 마을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병기로서 존재했을 시절에 사용했던 무기까지 꺼내들었고, A2와 파스칼 마을의 기계생명체들은 한 차례 마을을 방어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곧이어 투입된 대량의 자폭형 기계생명체에 의해 파스칼과 아이들을 제외한 마을의 기계생명체들은 전멸했고, 마을은 원작과 같은 상태로 초토화된다. A2의 지시에 의해 아이들은 공장이 아닌 레지스탕스 캠프로 대피하게 된다.
- A2가 홀로 엥겔스에게 맞서다가 파스칼이 합류하는 흐름으로 각색이 이루어졌다. 원작에서는 헤겔전에서 처음 사용되는 A2의 버서커 모드 역시 본작에서는 엥겔스와의 전투를 위해 사용된다.
- 두 번째 자원 회수 유닛 '영혼의 상자'의 위치가 수몰 도시에서 사막 지대로 변경되었다.
- 원작에서는 '영혼의 상자'에서 그동안 기계생명체를 살해한 것을 치하한다는 명목으로 무기 '노부요시'를 입수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데, 본작에서는 원작의 해킹 시퀀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 정보가 보상으로 제시된다. 이 정보를 얻기 위해 해킹하게 되는 대형 기계생명체는 하반신이 사라진 것을 제외하면 니어 레플리칸트의 보스 '할루아'와 같은 포즈로 벽에 못 박혀 있다.
- 21화
- 9S 사이드의 '신의 상자' 에피소드가 대폭 각색되었다. 원작의 해당 시퀀스에서 등장했던 21O와 아우구스트가 본작에서는 각각 다른 시점으로 재배치되거나 통삭제되었기에, 원작을 아는 플레이어라면 예측할 수 있는 부분.
- 원작에서는 수몰 도시에서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들을 수 있었던 2B의 유언이 본작에서는 '신의 상자'에서 강제로 재생되게 된다. 원작에서는 2B가 비행 유닛째로 수몰 도시에 불시착했기에 유언이 담긴 비행 유닛의 잔해를 플레이어가 직접 찾아야 했지만, 본작에서는 잔해가 자원 회수 유닛 내부에 보관된 상태였다.
- 자원 회수 유닛의 위치 역시 숲 속의 꽃밭으로 변경되었다. 원작에는 본작의 묘사와 일치하는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원작에서 해당 유닛이 배치된 위치가 유원지였다는 설정의 흔적은 유닛에서 떨어져 9S에게 수수께끼를 던지는 기계생명체가 광대 분장을 한 개체라는 사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A2의 파스칼 마을 퀘스트의 마무리 역시 대폭으로 각색되었으며, 각색의 일환으로 레지스탕스 캠프가 괴멸되어 데볼과 포폴을 제외한 본작의 주요 구형 안드로이드들은 스토리에서 퇴장한다.
- 레지스탕스 캠프로 대피한 아이들 중 하나가 바이러스의 매개체가 되었다. 원작과 마찬가지로 공포를 감당하지 못해 폭주한 것인데, 마지막의 포드들의 대화에서 이 아이 역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라 설명된다.
- 감염된 아이로 인해 레지스탕스 캠프의 구형 안드로이드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살아남은 소수의 레지스탕스들은 릴리의 지휘하에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게 된 동료들을 처리하다가 사망하고, 데볼과 포폴은 릴리의 명령에 의해 따로 대피하게 된다. 릴리는 감염된 채로 마지막까지 버티다가 A2의 손에 최후를 맞는다. A2는 릴리에게 로즈가 지어준 자신의 이름(프리지아)을 알려주었고, 릴리는 자신들이 진정 가족이었음을 다시금 확인하고 만족하며 죽게 된다.
- 아이들은 원작에서는 공포를 이기지 못하고 코어를 찔러 자살하지만, 본작에서는 감염된 아이에게 물려 죽었다. 파스칼은 원작에서는 자신이 공포를 가르친 탓에 아이들이 죽고 말았다는 죄책감을 버티지 못해 A2에게 기억을 지우거나 자신을 죽여달라 부탁하는데, 본작에서는 의연하게 폭주한 아이를 다독이며 위로하고 A2에게 뒤를 맡기며 자폭한다. A2는 원작과 달리 파스칼의 곁에 있어주지 못하지만, 멀리서 울려오는 폭발음과 포드의 보고로 그의 죽음을 알게 된다.
- 22화
- 아방타이틀 파트에서 실사 그림책으로 니어 레플리칸트의 배경과 내용이 데볼과 포폴의 행적을 중심으로 아주 대략적으로 설명된다. 이 그림책의 커버는 니어 레플리칸트에 등장한 마도서 중 하나인 '심홍의 서'.
- 탑에 들어가기 위한 해킹 시퀀스가 대폭 각색되었다.
- 9S는 자신이 그동안 2B에게 처형당해온 사실을 알게 된다. 정확히는 과거의 자신을 통해 9S가 이미 어렴풋이 눈치는 챘지만 부정하려 했던 사실을 비로소 마주하게 되는 느낌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는 게임의 최종보스전에 가서야 A2에 의해 설명된 부분이지만, 이 시점의 9S도 이미 진상을 필요한 만큼은 짐작(또는 이해)하고 있었음이 암시된다.[27] 한편, 본작에서 9S는 자신이 계속 제작되고 또 살해당하는 것이 요르하 계획의 근간에 존재하는, 계획의 엄연한 일부라는 사실 역시 알게 된다.
- 본편의 9S에 잠재해 있었던 과거 9S의 자아 데이터가 소멸되는 것을 대가로 탑의 문이 열리게 된다. 원작에서도 자아 데이터를 폭주시켜야만 탑에 들어갈 수 있다는 식으로 설명되지만, 원작의 절차는 데이터 공간 상에서의 자폭에 가까운 것으로 묘사된다.
- 데볼과 포폴은 한 차례 기계생명체들을 격퇴하고 (원작의 '신의 상자' 에피소드 직전과 같이) 9S를 치료한다. 하지만 뒤이어 공격해오는 개체들을 피해 탑으로 들어가려다 데볼과 포폴이 본의 아니게 함정을 작동시키게 되고[28], 닫히려는 문을 향해 9S를 던져넣으면서 원작의 흐름대로 돌아온다.
- 23화
- 9S가 탑에 들어간 이후 A2가 데볼/포폴을 만나기까지의 공백의 시간이 간략히 묘사된다. 먼저 세상을 떠난 포폴을 앞에 두고 데볼마저 결국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고, 원작에서는 그저 힘을 다해 죽었을 뿐이었던 데볼은 본작에서는 A2의 손에 최후를 맞는다.
- 탑에 들어간 9S와 A2를 관찰하는 N2의 모습이 지속적으로 묘사된다.
- 이번 화에 이르기까지의 각색의 결과, 9S와 A2 둘 모두 2B의 정체와 요르하 계획의 전모를 알게 된다. 원작에서는 2B의 정체는 A2에게만, 요르하 계획의 전모는 9S에게만 알려진다. 9S가 보게 되는 데이터에는 낭독극 '인형들의 기억' 중 '요르하 계획'의 내용 역시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A2의 해킹 시퀀스에서 그려진 공간은 원작에서는 최종보스전에서 9S가 A2를 네 번째 해킹할 때 볼 수 있는 A2의 유저 인터페이스.
- 9S가 2B 카피 개체의 팔을 이식한 후 바이러스 감염의 묘사가 일부 변경되었다. 스스로를 해킹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했음에도 기능이 95%까지밖에 회복되지 않아 바이러스의 영향이 남아있음을 암시했던 원작과 달리, 본작에서는 포드가 표층의 바이러스를 제거했지만 9S가 정신적으로 몰려있어 5%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해킹을 하지 못한다.
- A2의 데이터 공간에서의 싸움이 통삭제되었으며, 9S와 A2가 공자/노자를 상대하며 탑을 오르는 전투 시퀀스가 간략화되었다. A2와 N2와의 조우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N2의 진화를 촉진해 자멸시키는 작전 역시 포드가 N2의 학습기능을 역이용해 이들을 오염시켰다는 식으로 간략화되었다. 기계생명체 공자/노자는 원작과 같이 A2와 9S를 가로막지만, N2의 자멸에 연동되어 공자/노자도 서로를 공격하여 파괴되고 만다.
- 분열된 N2들의 입장이 원작의 C/D 엔딩과 더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 한쪽에서는 자신들의 진화를 위한 도태압이 필요하다며 9S와 A2를 살려두고 탑으로 달의 인류 서버를 파괴해(C엔딩) 안드로이드들을 더욱 몰아넣을 것을 주장하는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9S와 A2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이 둘을 죽이고 탑을 이용해 지구를 떠나 다른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D엔딩)고 주장한다.[29]
- 24화
- 전반부는 본작의 원작의 엔딩 C/D를 적절히 합친 뒤 재구성, 각색했다.
- 전투 중 9S가 차지 공격을 사용하는 연출이 존재한다. 원작에서는 차지 공격을 위한 버튼이 9S에게는 해킹용으로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9S는 차지 공격을 사용할 수 없다.
- 폭주한 9S의 해킹 시퀀스로 인해, A2와 9S는 각자가 감당해야 했던 고독을 이해하게 된다. A2를 해킹하는 9S의 모습은 원작 엔딩 C에서 포드의 보조를 받아 9S를 해킹한 A2의 구도를 그대로 따 왔다.
- 파트 2 엔딩 영상의 배경이었던 바닷가가 9S의 기억 공간 연출에 사용되었다. 원작에서는 몇몇 필수 해킹 시퀀스에서 볼 수 있었던 무미건조한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했다.
- 본작의 N2는 23화의 대립구도에서는 다다를 수 없었을 원작(엔딩 D)의 결론에 도달한다. 23화에서는 분열된 양측의 N2 모두 안드로이드들을 자신의 진화를 위한 양식이나 단순한 위협으로서밖에 보지 않았으므로, 엔딩 D를 지지하는 측을 따른다면 A2와 9S는 모두 죽어야만 했다. 그러나 23화의 싸움 끝에 본 빛이 어떤 계기를 만든 것인지, N2는 원작과 동일하게 삶의 의미를 고찰하고 우주로 떠날 것을 결심한다. 심지어 원작과 달리, N2는 안드로이드든 기계생명체든 모두 고독했다는 사실을 이해했다는 뜻을 전하며, A2의 손에 죽더라도 상관 없다는 의사까지 표명한다.
- 9S의 코어 데이터를 눈 앞에 두고(엔딩 C) A2는 N2에게 자신들을 죽이거나 자신들과 함께 우주로 떠날 것(엔딩 D)을 제안받는다. 이에 A2는 그동안 무엇을 위해 싸워온 것인지 모르게 되었다며 마음을 정리하고(엔딩 D; 원작에서는 9S의 독백), N2의 제안을 거절하며 9S의 모든 오염을 자신이 떠맡기로 한다(엔딩 C). A2는 우주로 떠나는 기계생명체의 의식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주며, '탑'만을 파괴하게 된다(엔딩 C).
- 후반부는 원작의 엔딩 E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원작의 엔딩 E는 게임이기에 가능한 진행방식을 취하고 있었으므로, 본작에서는 해당 엔딩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유지한 채 포드를 중심으로 한 시퀀스를 새로 만들었다.
- 19화에서 그 존재가 암시된 포드들의 네트워크가 요르하 계획의 완수를 막으려는 포드 042를 막아선다. 이들의 대표격인 포드 567의 성우는 유사 코지(니어 레플리칸트의 주인공(2부)을 담당).
- 포드 153은 처음에는 포드 042의 뜻을 따르지 않는 듯한 모양새였지만, 042를 공격하는 포드들을 위성 레이저로 일소하며 합류하게 된다.
- 포드 042는 수천대의 포드와의 싸움 끝에 먼저 작동을 멈췄고, 포드 153 역시 9S의 손실된 오른팔을 되찾아오는 것을 마지막으로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렇게 모든 포드들이 작동을 멈추며 요르하 계획의 최종단계는 수행되지 않고, 2B, 9S, A2는 새로운 삶을 얻게 된다.
- 마지막 장면에 아콜이 잠시 등장한다. 본작에서 아콜의 존재 자체는 19화의 인형극에서 암시되었지만, 당연히 그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았다.
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파트 1의 경우 2023년 1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왔지만 스케줄 펑크로 휴방을 반복하다 방영을 중단하면서 더불어 방영이 중단되었고, 이후 3분기에 일본 현지보다 1주일 늦게 한꺼번에 방영하였다.파트 2는 2024년 3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역시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11.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
별점 / 5.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
평점 / 10.0 |
<nopad>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
별점 / 5.0 |
11.1. 방영 전
기대와 우려가 양립했다. 우선 감독 마스야마 료지는 블렌드·S에서 출중한 감독 실력을 보인 바 있으며, 캐릭터 디자인 나카이 준도 잔뼈 굵은 디자이너로서 원안의 화풍을 잘 살려내 PV에서 보이는 퀄리티는 매우 높고, 원작의 어두운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잘 살리고 있다. 제작 프로듀서도 세련된 CG 메카 연출로 호평받은 86 -에이티식스의 제작 프로듀서였던 후지이 쇼타(藤井翔太)가 맡아[30] CG 메카 전투 연출은 잘 나올 것으로 보였다.문제는 스토리로 시리즈 구성이자 원작자인 요코오 타로가 공인한 것처럼 원작에서 개변된 스토리라는 점이 걸린다.[31] 무엇보다 요코오는 게임 디렉터와 시나리오 라이터로서는 실력이 검증되었으나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애니메이션 각본의 경우는 작법이 다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각본가로서 초보인 요코오가 애니메이션에 맞지 않은 각본을 낼 수도 있어 우려의 반응이 큰 상황이다. 다만 본작의 감독 마스야마 료지가 직접 요코오와 공동으로 시리즈 구성을 담당하고 있고, 마스야마가 요코오의 폭주(?)를 억제하고 애니메이션에 맞는 방향으로 각본을 수정할 수 있어[32] 기대해보자는 반응도 있다.
서구 애니 사이트 Anitrendz와 Animecorner에서 2023년 1분기 기대되는 애니메이션 2,3위를 차지하는 등 기대감을 모았다.##
그러나 방영 하루 전 요코오 타로가 "이 애니메이션은 방영 후 출시하는 패키지 판에선 수정합니다. 시나리오 변경이나 심의 때문이 아니고 영상을 리테이크합니다" 라는 발언을 해서 미완성인 상태로 방영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블루레이는 요코오 타로의 수정이 들어간 Ver1.11a로 나온다고 한다.
11.2. 방영 후
전반적으로 원작의 주요 장면을 재현하되 원작 게임에서 탑뷰 등 고정시점으로 플레이하는 구간에 카메라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다각도로 연출하는 등 제작진의 노력이 엿보이지만 초반부에 액션보단 향후에 대한 내용 암시가 산재해 흥미를 이끌어내기 힘들다는 지적과 불안정한 제작환경에 따른 연속 결방 등이 겹쳐 기대치만큼의 반향을 이끌어내진 못하고 있다.11.2.1. 1화
1화 방영 직후 반응이 좋지 못했다. 원작에서 고정 카메라로 연출된 프롤로그 탄막슈팅 장면을 카메라워크를 살려 박진감있는 영상을 연출하는 한편, 수시로 나오는 3D CG의 밋밋한 질감과 움직임 때문에 위화감이 느껴진다고 지적받았다.[해당장면] 특히 작화 매니아층이나 CG를 좋아하지 않는 서양권에선 끔찍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들 중엔 아예 시청을 관두는 경우도 나오는 등 애니메이션의 평가가 초반부 결과물에 멈춰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34]2D 작화의 경우 총 작화감독 나카이 준의 작화 수정 실력이 좋고 그 외에도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들이 투입되어 양호한 퀄리티를 유지하고 있으나 방영 전부터 조짐이 있었던 제작 스케줄 문제가 적중했는지 3D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3D CG가 2D 작화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이질적인 부분이 존재하며, 질프레임 배분이 엉성하고 미완성된 부분도 군데군데 있어 위화감을 다수 연출해 영상미를 깎아먹었다. 실제로 2B와 9S를 비롯한 인간형 캐릭터가 단독으로 싸우는 장면들은 2D 작화로 재현해냈는데, 이 부분이 3D로 연출한 전투 장면보다 더 평이 좋았다.
방영 초 원작을 영상 작품으로 각색, 스토리 라인 분배가 좋아 원작의 장면들을 즐기기 좋았으며 #人類に栄光あれ(인류에게 영광이 있으라)같은 트위터 트렌드가 1위를 하는 등 현지 니어팬들의 반응은 뜨거운 편이었으나 품질이 낮은 CG의 수준과 3화 이후 몇주간이나 방영이 밀리는 등 여러 악재가 겹치자 대부분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11.2.2. 2화 이후
2화부터 기본적인 세계관 설명이 들어갔고 또 게임에 없던 지구의 레지스탕스 부대 및 리더 릴리의 이야기를 다루기 시작하면서 1화는 서비스격 에피소드로 치부하고 2화부터 전개되는 스토리가 어떻게 구성될지를 지켜보겠다는 반응이 많다. 실제로 상술했듯 제작진이 게임의 원래 스토리라인을 따라갈지 각색해서 다른 스토리로 갈지 고민했었다는 이야기가 방영 이전부터 계속 나왔기 때문. 특히 니어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나 전작을 보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다른 이야기로 나아가는 전개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35], 이 내용이 애니메이션에도 적용될 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다.그러나 제작 스케줄 난항이 가시화가 되며 3화 방영 이후 결방이 결정되었다. # 공식적인 결방 사유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따른 제반 사정 난항을 들었다. 이렇게 이른 시기부터 제작 스케줄이 붕괴되는 바람에 이후의 방영 스케줄 및 퀄리티를 우려하는 반응이 많다.
제작사정상의 결방이 끝나고 방영된 4화는 원작의 보부아르 보스전을 A/B루트를 통합해 재구성하고 원작에 없는 강렬한 장면을 추가로 넣는 등 원작보다 한층 강화된 연출로 호평받았다. 아쿠츠 테츠야와 마츠모토 켄고가 연출하고 실력 있는 WEB계 애니메이터들을 다수 기용해 현란한 카메라 워크와 역동적인 액션을 그려냈으며 또 3D CG의 퀄리티도 이전 에피소드에 비해 비약적으로 올라갔다. 원작 BGM을 어레인지 없이 그대로 가져다 써 어색하다는 평가를 받은 기존 에피소드들과 달리 상황에 맞춘 사운드 디렉션이 적용되기도 했다.
6화 역시 86 -에이티식스-에서 절륜한 연출을 보여주었던 이시이 토시마사가 연출하여 구 레지스탕스와 요르하 부대 멤버들의 면면들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내고 A2의 등장을 원작 게임보다 더 설득력 있게 연출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이후 7, 8화도 비록 전투씬은 거의 없지만 이토 토모히코가 각색된 내용에 드라마와 설득력을 부여하는 연출을 구사해 호평을 받았으나 다시금 9화 이후의 방영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연기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남은 9~12화는 2023년 7월 23일에 도쿄 MX에서 19시~21시의 2시간 가량으로 편성해서 한꺼번에 방영하는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
한편 에피소드 4화까지의 잔류율은 25.2%로 1분기 애니메이션 중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원작 게임을 접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장치를 다수 마련해놨지만, 특유의 난해하고 매니악한 작풍이 애니판에서도 드러나는데다 원작이 발매된지도 6년이나 지난 만큼 이슈몰이에도 어려움을 겪으며 애니화를 하기엔 시기상으로 늦었다는 평이다. 게다가 상술한 분할 방영으로 인해 화제가 식어버리는 등의 이슈를 겪는 등. 여러모로 운이 없는 작품이 되면서 결국 흥행에는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11.2.3. 업계인 평가
각본가 츠지 마사키는 미래형 SF 분위기를 시각적인 즐거움으로 재현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눈의 움직임만으로 연기를 하는 기계생명체에 비해 인간형 캐릭터들의 매력이 아직 와닿지 않는다고 평했다. # 다만 6화까지 보고는 여러모로 자신이 아는 전형적인 SF 풍미로 흘러가고 있다며 분석했다. # 그리고 8화까지 보고는 비로소 2B를 비롯한 캐릭터들의 매력을 이해했으며, 게임계에는 인재가 모여있다는 것을 다시금 체감했다는 호평을 내렸다. # 종영 후에는 포드의 감정 변화와 결말을 일부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럼에도 충분히 잘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총평을 내렸다. #11.3. 총평
요코오 타로가 공언한 대로 각색이 많이 들어갔지만 원작의 명장면들은 잘 재현해냈고, 난해했던 아담의 논리와 세계관의 비밀 복선을 명쾌하게 제시하는 등 세세한 부분에서 많은 신경을 썼다. 또 구 레지스탕스 멤버와 요르하 부대 멤버들의 이야기를 추가했는데, 6화에서는 릴리의 시점으로, 17화에서는 A2의 시점으로 각각 나눠서 복선들을 회수하는 것은 물론 원작에서 묘사가 부족했던 A2의 과거와 심정을 보완해 원작의 옥에 티를 메워주는 등 작품성을 올리기 위한 많은 투자를 했다. 원작의 큰 줄기를 따라가면서 세세하게 각색을 취하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 원작에서 떨어지는 핍진성을 여러 각색을 거쳐 보완했고, 원작의 명장면들은 수려한 작화로 그려내 원작 팬들은 호평을 보냈다.이에 원작 팬들을 향한 헌정 작품은 물론 객관적인 완성도만 봐도 수작이라는 평가다. 여러모로 스케줄 붕괴에 따른 홍보 부족이라는 악재가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
결방 이슈로 다른 나라에서는 그렇게 화제를 끌어내지 못했지만 중국에서는 입소문이 퍼져서 뒤늦게 역주행해 빌리빌리 2000만 조회수를 기록하였다.
12. 미디어 믹스
12.1. 기계인형극 『안티노미』
|
게임 디렉터 요코오 타로와
아티스트 아키타히로무.
두 사람의 만남은 2017년.
요코오 작품의 팬이었던 아키타가 라이브에 초대.
감명받은 요코오가 콜라보레이션을 제안.
장르를 달리하는 창작자의 공동창작에서 생겨난 것이
『NieR: Automata』를 바탕으로 한
생명에 걸맞은 그림책과 악곡이다.
그리고 2023년 'NieR: Automata'가 애니메이션화.
엔딩곡은 amazarash '안티노미'.
악곡을 들은 요코오는
오리지널 인형극을 써내려갔다.
다시 한번 공동창작에서 태어났다.
꼭두각시들의 연극
생명이 없는 자들의 이야기가
지금 막을 올린다~
아티스트 아키타히로무.
두 사람의 만남은 2017년.
요코오 작품의 팬이었던 아키타가 라이브에 초대.
감명받은 요코오가 콜라보레이션을 제안.
장르를 달리하는 창작자의 공동창작에서 생겨난 것이
『NieR: Automata』를 바탕으로 한
생명에 걸맞은 그림책과 악곡이다.
그리고 2023년 'NieR: Automata'가 애니메이션화.
엔딩곡은 amazarash '안티노미'.
악곡을 들은 요코오는
오리지널 인형극을 써내려갔다.
다시 한번 공동창작에서 태어났다.
꼭두각시들의 연극
생명이 없는 자들의 이야기가
지금 막을 올린다~
티저 |
본편 |
12.2. BD&DVD
NieR:Automata Ver1.1a Blu-ray Disc BOX & DVD BOX | ||
| | |
<rowcolor=#ffffff,#e5e5e5> Vol.1 | Vol.2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자세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발매일 2024년 03월 27일 Blu-ray Disc BOX Vol.1 / DVD BOX Vol.1 가격 : ¥31,900(세금포함) / ¥28,600(세금포함) 품번 : ANZX-16681~16686 / ANZB-16681~16686 수록 내용 회차 : 제1화 ~ 제12화 완전생산한정판 - 봉입 특전 캐릭터 디자인・총작화감독 나카이 준 신작 디지 재킷 - 영상 특전나가시마 에미(映島 巡) 신작 단편소설 「未ダ見ヌ貴女ヘ」 신작 드라마 CD 「time to rela[X]」 제작과정물집 「Elements of NieR:Automata Ver1.1a 001」 도록「POD's Records 001」 레플리카 디스크 특제 일러스트 카드 논크레딧 오프닝 영상 - 음성 특전논크레딧 엔딩 영상 PV&CM집 오디오코멘터리 (Chapter.1~12) Chapter.1~3: 이시카와 유이, 하나에 나츠키, 마스야마 료지, 사이토 요스케(齊藤陽介), 요코오 타로 Chapter.4~6: 유우키 아오이, 타네자키 아츠미, 마스야마 료지, 후지이 쇼타(藤井翔太) Chapter.7~8: 이시카와 유이, 하나에 나츠키, 야스모토 히로키, 아키야마 카오루 Chapter.9~10: 나미카와 다이스케, 스즈키 타츠히사, 사이토 요스케, 요코오 타로, 마츠모토 미호(松本美穂) Chapter.11~12: 이시카와 유이, 하나에 나츠키, 나미카와 다이스케, 스즈키 타츠오 |
- 자세히 ▼
-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color=#373a3c,#dddddd>발매일2024년 12월 25일
Blu-ray Disc BOX Vol.2 / DVD BOX Vol.2가격 : ¥31,900(세금포함) / ¥28,600(세금포함)
품번 : ANZX-17631〜17636 / ANZB-17631〜17636
수록 내용회차 : 제13화 ~ 제24화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특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판매처 공통 특전 01: 캐릭터 디자인·총작화 감독 나카이 준 신작 색지 02: 신작 미니 사이즈 캐릭터 파인폴리오 판매처별 오리지널 상품 첨부 한정 번들 세트 애니플렉스 온라인 축쇄판 레플리카 애프터 레코딩 대본 애니메이트 W스웨이드 B2 태피스트리 아마존 재팬 ① 신작 A5 캐릭터 파인 그래프 ② 신작 A4 클리어 파일 게이머스 아크릴 스마트폰 스탠드 라쿠텐 북스 필사(描き起こし) 도트 그림 아크릴 시계 세븐 넷 쇼핑 캐릭터 파인 매트 소프맙・아니메가 F3 캔버스 보드 토라노아나 아크릴 보드 2점 세트 판매처별 특전 애니플렉스 온라인 신작 디지 재킷 도안을 사용한 F3 캔버스 보드 애니메이트 ① 신작 B2 천 포스터 ② 신작 2L판 브로마이드 3장 세트 아마존 재팬 신작 데스크 매트 라쿠텐 북스 신작 액자 & 플레이트 A5 캐릭터 파인 그래프 아미아미 온라인 숍 F3 캔버스 아트 HMV 탁상 캐릭터 파인 그래프 게이머스 B2 태피스트리 Joshin 디스크 피어 아크릴 스탠드 세븐 넷 쇼핑 A4 아크릴 플레이트 소프맙・아니메가 A5 아크릴 디오라마 타워 레코드 ① NO ANIME, NO LIFE. 콜라보레이션 포스터 ② 아크릴 스탠드 TSUTAYA RECORDS L판 브로마이드 5장 세트 토라노아나 W 스웨이드 B2 태피스트리 멜론 북스 B2 태피스트리 |
- 특전 ▼
- ||<table width=100%><bgcolor=#ffffff,#2d2f34><color=#373a3c,#dddddd> ||
13. 기타
- 1화의 기계생명체 엥겔스의 성우로는 게임 프로듀서 사이토 요스케와 디렉터 요코오 타로가 캐스팅 되었다. 7화에서 기계생명체역으로 다시 출연.
492070726f6d697365206c6f766520
6f662074686520657465726e6974792e
* 3화에 9S가 해킹 중에 나오는 문에 적힌 문자는 "I promise love of the eternity."라는 의미이다.6f662074686520657465726e6974792e
- 애니플렉스 홈페이지에 단편 애니인 인형극 니어 오토마타가 업로드된다. 애니플러스에서는 본편 방영끝나고 따로 방영해주었다.
[1] 애니메이터 타케다 슌의 필명.[2] 제작위원회 구성업체: 애니플렉스, 스퀘어 에닉스. 참고로 인류회의는 작중의 주인공들인 요르하 부대를 지휘하는 안드로이드 부대 인류군을 총괄하는, 달로 피난한 인류로 이루어진 월면 인류 회의에서 따왔다. 이 정체는 문서 참조.[3] 마지막화만 10.1 00:30에 방영[4] 오히려 감독 마스야마 료지와 애니플렉스의 프로듀서가 경악하며 원작대로 가자고 요코오를 설득했을 정도라고 한다. 심지어 요코오 본인은 1화의 각본을 쓸 때 원작과 완전히 다르게 썼다가 전부 기각당했는데, 지금 다시 읽어보니 그 때 기각당한게 다행일지도 모르겠다는 트윗을 남겼다.#[5] 다만 이게 애니메이션의 형식에 맞춰 전개를 각색하는 정도인지, 아예 IF 수준으로 다르게 진행하는지는 우선 공개되어 봐야 알 수 있을 듯 하다. 그것과는 별개로 방영 전까지 나온 PV에는 릴리를 제외하면 원작 게임에서 나온 장면들이 상당수 존재한다.[6] 논-텔롭
[7] 연극 '음악극 요르하'에서는 사령관 역을 담당했다.[8] 연극 '음악극 요르하'에서는 '붉은 소녀' 역을 담당한 연기자로, 본작을 통해 처음으로 성우로서 목소리 연기를 했다고.[9] 스퀘어 에닉스에서 프로듀싱하는 버추얼 아이돌 그룹.[10]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1] 원화 마츠모토 켄고, 카토 코스케, Chavdar Yordanov, 무촨, 사카이 사토시, 모리 코타(森 公太), 우카타(ウーカタ), Inkora, hama, BS_kim, Daniel Baron 등.[A] 액션[13] 원화 소엔 유스케(宗圓祐輔), 마츠모토 켄고, 무촨, 호리 토라노스케(堀虎ノ介), Vann Oba 등.[14] 게임 내에선 서브퀘스트로 분류되어 있으나 원작 게임의 전작에 관련된 내용이 이어지고 해당 퀘스트를 클리어하지 않으면 게임을 100% 클리어 할 수 없어서 사실상 메인 퀘스트로 보고 있다. 퀘스트 순서상으로도 Ch.14-01 : A2 연료용 여과 필터 보급 퀘스트를 진행중일 때 클리어 가능하다. 또한 해당 퀘스트를 클리어 한 이후로 게임 메인화면이 달의 눈물이 가득한 방으로 변경된다.[15] 원작에선 이 퀘스트를 기점으로 1회차가 끝난다.[16] 원작 게임에서는 수몰도시 공중전 파트에서 등장하던 개체다.[17] 아네모네는 후술하지만 '무대 요르하' 시점의 진주만 강하작전 당시 사망한다.[18] 앙헬이 도쿄 타워에 꿰뚫린 채로 죽어있는 장면.[19] 사막 도시의 가면의 왕과 피아의 결혼식.[20] 마왕성 입구, 도서관 내부, 카이네와 백의 서, 데볼 & 포폴, 요나를 돌보는 니어.[21] 이 기계생명체 자매는 원작 게임의 서브 퀘스트에서도 등장하는데, 원작에선 사막 지대에서 동생이 가출하여 언니가 찾으러 가는 설정이다.[22] 상술했듯 레지스탕스의 전력이 원작 게임에 비해 약화되었기에 구형 장비와 차량을 운용할 뿐, 신무기 전력은 요르하 부대의 지원을 받으며 사령부에게도 버려진 말 취급을 받기 때문이다.[23] 사실 원작에서도 언급만 없었지, 임무 특성상 어느 정도 진실을 알고 있었다는 가설은 매우 개연성이 높다. 9S가 진실에 도달할 때마다 그를 처치해야 한다면, 처형을 집행하는 2B부터가 그 진실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니까.[24] 일 대 다 전투를 상정한 일회용 복제 무기 공급, NFC 모드 2 등.[25] 일반적으로는 상사화속의 식물 전반을 일컫지만, 일본에서의 인식 상 배우 본인은 그 중 하나인 석산(꽃무릇)을 의도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26] 모자 싸움, 천재 발명가, 스피드 스타, 방구석폐인 로봇[27] 최종보스전 직전에 A2에게 "네가 우리들(2B와 9S 자신)에 대해 대체 뭘 아냐"라고 반문하거나, D엔딩에서 언젠가 자신을 죽이기 위해 같은 팀에 배속된 2B의 심정을 헤아리는 등.[28] 9S를 뒤따라 데볼과 포폴이 탑에 들어가려던 순간 둘이 튕겨나오고 문이 닫히기 시작한다. 탑에서의 안내방송 내용이 패스워드를 가진 이들을 환영한다는 식으로 되어 있기에, 여기서의 '함정'이란 패스워드를 갖고 있는 9S 이외의 개체가 들어가려 하면 작동하는 방식일 가능성이 크다.[29] 다만 원작 엔딩과의 연결성이 강해졌다 하여 본작에서 묘사된 N2들의 입장이 원작의 엔딩과 완전히 동일하다는 뜻은 아니다. 엔딩 C에서는 '탑'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경로에서 아이들의 웃음 소리가 들려오는 등 온전한 악의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묘사가 있다. 엔딩 D에서는 기계생명체들이 적의를 버렸음이 암시되기 때문에 A2/9S를 죽이려 하는 본작의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30] 작화 애니메이터 인맥은 많지 않으나 액션 CG 인맥이 많은 프로듀서이다.[31] 특히 원작에는 없고 실사무대에서 등장한 릴리가 주역으로 등장한다.[32] 애니메이션에서는 드라마나 특촬물과 달리 감독이 직접 각본을 체크하고 수정할 시간이 있기 때문에 시리즈 구성 각본가가 따로 있어도 전체적인 스토리 완성도를 감독이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당장 요코오도 자기가 써온 1화 초안은 기각당했다고 밝힌 바 있다.[해당장면]
[34]
첫방영 이후 40% 가량 낙폭이 있었고 2화부턴 남아있는 일정한 인원만 다시 찾고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35] 실제로 앞서 이야기한 릴리의 이야기 역시 니어 오토마타 게임 자체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니어 오토마타의 소설판이나 연극판에서도 원작에서 등장하지 않는 내용들을 풀어나간다. 심지어 주요 등장인물인 2B와 9S의 진짜 결말도 게임 본편에선 나오지 않고 외전 연극에서만 등장하며, 본 애니메이션의 각본을 쓴 요코오 타로가 원작 게임에서 짠 치밀한 설정들 역시 별도의 설정집이나 외전 소설, 연극 등으로 풀어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