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3:35:36

니모나(영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니모나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오리지널
니모나 (2023)
Nimona
파일:MV5BYWQ2YzJhOGItNTMyOC00YzFmLWExZjEtOGFmMDVkMDdmOGFiXkEyXkFqcGdeQXVyMTUxNTU1NzEz._V1_.jpg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어드벤처
감독 닉 브루노
트로이 콴
각본 로버트 L.베어드
로이드 테일러
파멜라 리본
제작 로이 리
원작 ND 스티븐슨 <니모나>
출연 클로이 모레츠
리즈 아메드
인디아 무어
한국어 번역 황석희
김윤희[더빙]
편집 에린 크라켈
랜디 트레이거
음악 크리스토퍼 벡
미술 에이단 스가노
제프 털리
제작사 안나푸르나 애니메이션[2]
버티고 엔터테인먼트
DNEG 애니메이션
배급사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스트리밍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공개일 파일:external/cdn3.iconfinder.com/globe-01-512.png 2023년 6월 30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02분 (1시간 42분 45초)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10. 수상 및 후보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노엘 스티븐슨의 그래픽 노블, 니모나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화.
다만 주요 내용이나 전개는 원작과는 크게 다르다.

2. 포스터

<colcolor=#d1a722>
파일:니모나포스터.jpg
파일:니모나포스터2.jpg
파일:Fz5e2qfacAEajsT.jpg
파일:ebfb50a2c9c764a3645e08675242cf5fc2665078.jpg

3. 예고편

<colcolor=#ffffff> 공식 티저 예고편
<colcolor=#ffffff> 공식 예고편

4. 시놉시스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다는 누명을 쓴 기사. 산만하지만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10대 소녀와 손잡고 자신의 결백을 밝히려 한다. 그런데 그녀의 정체가 기사가 없애버리겠다고 다짐한 몬스터라면?

5. 등장인물

6.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옛날 세상은 평화로워 모든 이들이 두려움없이 살았으나 괴물이 갑작스레 나타나 모든 걸 불태우며 사람들을 공격해왔다.
이때 글로레스라는 영웅이 나타나 괴물에게 어둠으로 돌아가라 외치며 퇴치하였다. 이후 글로레스는 백성들을 지키겠다 맹세하여 왕국의 여왕이 되었고 왕국은 그렇게 건국되었다.

1000년 후 왕국은 하늘을 날아다니는 자동차와 왕국 곳곳에 홀로그램이 떠다닐정도로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왕국은 전통을 지켜 방벽 바깥을 경계하였고, 귀족들 중 재능있는 자들을 육성하여 기사로 서임하는 것으로 왕국을 지켜왔다.

주인공 발리스터는 어린시절 글로레스 여왕의 눈에 띄어 기사로서 훈련을 받을 수 있었고, 왕국 건국 1000년만에 최초의 평민 기사가 되어 서임될 예정이었다. 주인공의 친우 암브로시우스 글로레스가 먼저 기사 서임을 받고, 그 다음 기사 서임을 받을 때 주인공의 검의 손잡이가 갑작스레 변하여 빔을 발사해 여왕 글로레스는 죽고 만다.

암브로시우스 글로레스는 기사의 훈련대로 발리스터의 검을 든 팔을 공격하여 베어내는 것으로 무장을 해제시켰고, 그런 와중에 빔의 총구가 하늘로 항하여 홀로그램 장비가 떨어져 바닥이 무너지는 것으로 발리스터는 탈출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발리스터는 왕국의 수배자가 되었고, 그것을 우연히 본 니모나는 자신과 같은 악당이라고 생각되어 발리스터를 찾아내었다. 한편 발리스터는 잘려나갈 팔을 대신할 인공팔을 완성해 장착하던 시점이었다.

발리스터는 자신은 악당이 아니니 니모나를 쳐내려고 하지만, 니모나는 끈질기게 자신을 조수로 삼아달라고 따라 붙었기에 어쩔 수 없이 같이 행동하게 된다.

7. 사운드트랙

Nimona
(Soundtrack from the Netflix Film)
파일:사운드트랙니모나.jpg
No 제목 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 T-Rex K.Flay 2: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Nimona's Theme Christophe Beck 3: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The Legend of Gloreth 1: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The Night to Knight 1: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Regicide 3:5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Everybody Hates You Too 2: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Born to Protect 1:3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Caught 0:5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Last Stop 1: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Healed 1: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Together 2:0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The Search 0:4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Zombies 1: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Say It 1:3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Back to the Shadows 2:0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Sacrifice 5: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Let's Go 3: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Please Come Back 4: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Gloreth's Theme 2:5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Ballister's Theme 2:3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75 / 100 점수 7.5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4% 관객 점수 9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6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215466"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215466;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1546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5.98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5.98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8 / 10



누가 괴물인가? 아니, 누가 괴물을 만드는가?
- 왓챠 피디아 리뷰 중.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인다는 것에 대한 어떤 메세지가 날 울렸다.
- 네이버 네티즌 리뷰 중.

시기를 잘못 탄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내용과 연출, 작화는 크게 나쁘지는 않은데, 문제는 하필이면 같은 시기에 나온 작품들이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이라는 것(...) 셋 모두 3D와 2D를 섞은 듯한 느낌의 작화를 지녔지만, 니모나는 앞의 두 작품들에 비해서는 허접하다는 평이 있다. 그래도 개성넘치는 독특한 연출, 전개와 화려한 액션 등이 돋보이기에 명작까진 아니더라도 수작 정도는 된다는 평가를 받는 편이다.

꽤나 좋은 평가를 받은 건 맞다보니 2024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애니 최종 후보[5]에 오르기까지 했다.

9. 흥행

넷플릭스 공식 순위
<rowcolor=#fff> 날짜 전체 순위 영어 순위 시청 시간 시청수
2023-06-26(월) ~ 2023-07-02(일) 13위 9위 5,500,000시간 3,200,000회
2023-07-03(월) ~ 2023-07-09(일) 3위 3위 11,500,000시간 6,700,000회
2023-07-10(월) ~ 2023-07-16(일) 7위 5위 8,000,000시간 4,700,000회
2023-07-17(월) ~ 2023-07-23(일) 11위 9위 5,900,000시간 3,400,000회
누적 시청 시간 30,900,000시간
누적 시청수 18,000,000회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10. 수상 및 후보

  • 제51회 애니상 성우상, 각본상 수상 /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편집상, 미술상, 캐릭터 디자인상, 캐릭터 애니메이션상, 스토리보드상 후보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

11. 기타

  • 원작의 무거운 주제와 분위기를 이어받되, 작품의 톤이 비교적 가벼워지고 일부 설정도 변경되었다. 예컨데 주인공 중 하나인 발리스터의 성은 블랙하트(Blackheart)에서 볼드하트(Boldheart)로 변경되었고, 매드 사이언티스트라는 설정은 아예 사라졌으며, 니모나의 어린 시절과 결말도 원판하고 차이가 생겼다.
  • 한국어 더빙판은 애드원 스튜디오가 담당했으며 연출은 번역은 김윤희. 이외에 연출은 박원빈, 녹음은 최고인, 믹싱은 공진욱이 담당했다.
  •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로 지목된 것에 탄력을 받았는지는 몰라도, 현재 넷플릭스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영화의 풀버전을 2월 26일까지 무료로 공개했었다.
  • 니모나의 나이는 1000살 이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정신적 연령은 10대 수준으로 보이며 아무래도 적어도 1000년동안 극심한 차별과 함께 사회의 주류에 속하지 못한 배척당하는 삶을 지속적으로 살아왔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12. 둘러보기



[더빙] [2] 첫 작품이다.[3] 한국명 양유진. 유튜브 채널 Try Guys로 유명하다.[4] 한국어 더빙판 크레딧에는 대표.[5] 같이 오른 작품들이 엘리멘탈,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로봇 드림으로 전부 하나같이 쟁쟁한 작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