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17:44:38

네크로폴리스(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 네크로폴리스의 유닛 설명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올든 에라에서 네크로폴리스의 유닛은 3편의 네크로폴리스 유닛보다도 훨씬 약하다. 전체적인 유닛의 레벨이 한 단계씩 감소되어 있어야 할 수준으로 유닛들의 스텟은 타 종족 동 레벨 유닛들과 대비해서 처참하다. 그럼에도 본작에서의 네크로폴리스는 컨트롤 하기 나름인 종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거기에는 이하의 이유가 있다.

첫 번째로 유닛의 능력치가 처참한 것을 커버할 만큼 그 생산량이 좋다는 점이다. 상징적인 예로 템플의 1레벨 유닛 검사와 네크로의 1레벨 유닛 해골을 비교해보자. 1:1 맛다이로는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검사가 강하지만 네크로의 해골은 검사에 비해 비용도 절반이면서 주당 생산량은 검사의 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두 번째 이유는 본작 특유의 네크로 사령술. 본작에서의 사령술은 3편의 심령술(Necromancy)과 달리 네크로폴리스의 1-7레벨 모두에게 골고루 적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계산식은 다소 복잡한데 어쨋거나 중립 몹을 잡을 때마다 군대의 수가 덕지덕지 늘어나게 되는 형태다. 때문에 중반부로 넘어가면서 데리고 다니는 영웅은 마치 셋팅된 성 하나 분량의 생산소처럼 느껴질 것이다. 제작진은 아마 생명체의 죽음 속에서 (다소 약한)언데드로 무한히 부활하는 네크로 특유의 컨셉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그려내고자 하였던 것 같다.

특히 네크로폴리스의 1-3레벨 유닛들은 약하디 약하여 초반에 중립 몹을 잡아나가며 확장을 하는 데에는 특히 난이도가 있다. 심도 있는 컨트롤이 필요한 부분이며 이 때문에 초보가 쉽게 픽 할수 있는 종족이라고 하긴 힘들다. 그나마 4레벨 도굴꾼은 물량도 많이 나오고 중거리 공격이 가능하기에 사냥에 있어 한숨 놓이는 부분이 있다.

네크로의 중반부 테크트리는 [언데드 독 이후 -> 6렙 공포의 기사] / [리치 이후 -> 7렙 뱀파이어] 둘로 나뉘게 된다. 네크로는 건물을 지을 때 목재와 광석이 많이 소요되는 편이므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어느 한 쪽이 약하다 강하다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며 선택은 유저의 취향과 컨트롤 능력에 따라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 해골 (금 40) -> 해골 전사 / 해골 궁수 (금 50)

파일:해골123.png

보병쪽 or 궁수쪽 두 방향으로 업그레이드를 시킬 수 있다. 특수 능력도 없고 약한 유닛이다. 100단위 아니 1000단위가 넘어가는 유닛수라도 중립몹에게 우수수 죽어나가기 십상이다. 하지만 또한 사령술을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불어나게 되는 면도 있다. 공격 스킬을 통해 피해량 +1 / 밤 그림자 스킬을 통해서 또 +1 / 아이템을 통하여 또 +1 을 증가시켜 놓는다면 그 데미지 또한 두어배로 뻥튀기 되기 때문에 이 점을 참고하여 초반 운영을 해 나가야 한다.

@ 와이트 (금 85) -> 레이스 / 판타즘 (금 110)

파일:레이스123.png

2레벨인데 전체적으로 1레벨 수준인 유닛. 1렙 해골과 4렙 도굴꾼이 초반 확장을 이끌어 나갈 때 백업해주는 포지션의 유닛이다. 마찬가지로 약해서 중립몹에게도 우수수 썰려나간다. 불려서 쓰는 유닛이라고 할 수 있다. 해골처럼 물량은 많이 나오고 데미지는 낮기에 여러 요소들로 데미지를 +1 시킬 수록 강한 화력을 보여주게 된다. 네크로의 법률 점수로도 이 유닛들의 최소 데미지를 +1 시킬 수 있다.

@ 언데드 펫 (금 120) -> 바게스트 / 장갑 사냥개 (금 160)

파일:개123.png

3레벨이지만 2레벨급의 능력치, 생산량, 가성비 를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잘 안 쓰게 된다.

@ 도굴꾼 (금 250) -> 죽음의 상인 / 사냥개지기 (금 340)

파일:상인123.png

4레벨 치고는 최약체 유닛이지만 생산량과 가성비는 그 약점을 커버하고도 남는다. 템플의 3렙 그리핀 류 보다 가격도 저렴하고 생산량은 거의 2배에 달함에도 그리핀과 맛다이를 하면 손쉽게 이길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반격 없이 중거리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은 초중반 네크로의 사냥을 용이하게 해준다. 빠르게 생산하여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중립몹을 두들기고 언데드를 불려 나가도록 하자.

@ 리치 (금 340) -> 역병 리치 / 핏빛 리치 (금 480)

파일:리치123.png


3편의 그 리치처럼 5레벨로 등장한다. 역병 리치는 범위 공격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지만 본 편에서는 이 범위공격이 아군에게까지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특수능력이다. 이 점은 많이 아쉽다. 핏빛 리치는 아군 생물의 부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혜자스러운 특수능력을 달고 나왔다.

@ 공포의 기사 (금 700) -> 전쟁의 화신 / 할로우 리퍼 (금 1100)
파일:공기123.png

명불허전 공포의 기사 류다. 2회 타격은 아주 강력한 스킬임에 틀림없다. 깡 스텟은 6레벨 치고 약체 수준이지만 높은 생산량과 가성비가 단점을 만회해준다. 고렙의 유닛을 녹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할로우 리퍼로 업그레이드 시키기도 한다지만 할로우 리퍼가 나올만한 후반에 7레벨을 한 마리씩 더 썰어봐야 뭐 하겠는가..

@ 뱀파이어 (금 1200 + 수은1) -> 뱀파이어 군주 / 뱀파이어 학자 (금 2000 + 수은2)

파일:뱀파123.png

7레벨 약체. 그 생산량이 타 7렙에 비해 2배라고는 하나 각종 스텟들이 너무 떨어져서 강력함을 체감하기 힘들다. 쪼렙유닛들 중립몹을 대상으로 무피해 사냥을 가능하게 하는 수준. 적들이 흡혈을 두려워해 작정하고 뱀파이어를 둘러싸서 공격하면 속절 없이 녹아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흡혈은 언데드나 구조체 등에게는 통하지 않기에 의외로 흡혈에 해당되지 않는 유닛들도 많다. 주의하자.

공격력과 피해량이 7레벨 치고 워낙 떨어지기에 대규모 전투에선 흡혈을 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수를 부활시키기도 힘들다. 사령술 계산식상 전투 후에 부활시키기도 힘들고.. 차라리 무제한 반격이라도 달아줬으면 / 피해량 그대로 100% 체력회복을 달아줬다면 그래도 평가가 좋아졌을 것이다. 어쨋거나.. 말이그렇다는 거고 전략적으로 사용해 볼 가치도 있겠으므로 잘 연구해보도록 하자. 히어로즈 골수 유저라면 세심한 컨트롤로 이 유닛을 충분히 잘 사용해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