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e201c><colcolor=#fff> 임무 | 주요임무 · 차선임무 · 일일임무 ·지도 · 관문 |
문파 | 7대 문파 · 강호 조직 · 소형 세력 |
캐릭터 | 동료 · 자질· 기예 · 비결 · 통맥속성 전체 무공(무공 · 내공 · 경공) · 진법 · 열력 획득 |
아이템 | 권갑 · 검 · 도 · 창곤 · 아대 · 허리띠 · 갑옷 · 반지 · 장신구 · 음식(주류) · 단약 · 기타(동물) |
시스템 | 촉련 · 저택 · 단조/봉제 |
기타 | 지역별 재료 · 시간개념 · 회귀방법 · 보물 · 과금전략 · 행상인 · 무도장 · 구유시련 |
1. 종류
1.1. 소림 무공
권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청무 | 나한권법 | 좌망경 | 소림신법 |
진급 | 강용나한 | 바라밀수 | 정선공 | 제종술 |
복호나한 | 정선지 | |||
대력금강권 | ||||
전단나한 | 신장팔타 | |||
대솔비수 | ||||
수미나한 | 용선장 | |||
회심퇴법 | ||||
상승 | 현고 | 편화칠성권 | 나한복마공 | 일위도강술 |
현통 | 용조수 | |||
현혜 | 일지선공 | 보리심경 | ||
현난 | 수미산장 | 항룡복상공 | ||
금강선퇴 | ||||
진파 | 현비 | 대광명신권 | 역근경 | 구도육좌상 |
무상재지 | ||||
반야선장 |
곤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청무 | 위타곤법 | 좌망경 | 소림신법 |
진급 | 강용나한 | 보문장법 | 정선공 | 제종술 |
상승 | 현고 | 긴나나왕곤 | 나한복마공 | 일위도강술 |
진파 | 현비 | 달마팔법신장 | 역근경 | 구도육좌상 |
1.2. 천도 무공
경도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사익 | 여참도법 | 천도단체법 | 질행보 |
진급 | 윤천상 | 현허도법 | 백전단체법 | 무투보 |
상승 | 설진해 | 현천인결(6중) | 풍운보 | |
소기 | 현천인결(후4중) | 신인귀일결 | ||
진파 | 초유광 | 천도삼식 | 천주검결 | 뇌응천풍보 |
중도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사익 | 여참도법 | 천도단체법 | 질행보 |
진급 | 윤천상 | 수라도법 | 백전단체법 | 무투보 |
상승 | 만호강 | 천강인결(6중) | 풍운보 | |
소기 | 천강인결(후4중) | 신인귀일결 | ||
진파 | 초유광 | 천도삼식 | 천주검결 | 뇌응천풍보 |
1.3. 태을 무공
검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약한 도사 | 양의검법 | 태을 선천공 | 태을신법 |
진급 | 사성운 | 성운검법/태을삼청검 | 순양결/귀식대법 | 사상보법 |
상승 | 도우 | 진무칠절검 | 양의현원공 | 제운종 |
진파 | 청허 | 화현신검결 | 현미진도 | 구요이성보 |
사성운 | 성운검결 |
권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약한도사 | 태을장권 | 태을 선천공 | 태을신법 |
진급 | 정영소 | 건곤합기권 | 순양결/귀식대법 | 사상보법 |
상승 | 도현 | 무극현공권 | 양의현원공 | 제운종 |
진파 | 청허 | 자양만도권 | 현미진도 | 구요이성보 |
영소자 | 천강검지결 |
1.4. 영월 무공
검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제무월 | 영월검법 | 영월심법 | 영월신법 |
진급 | 육영운 | 월녀검법 | 소녀주천공 | 월영보 |
상승 | 량연 | 의천검결 | 영월청심공 월심한백결 | 청연보법 |
진파 | 주청란 | 무상검결 | 휘월신공 | 답월유향 |
장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제무원 | 요련장법 | 영월심법 | 영월신법 |
진급 | 매소진 | 표설천운장 | 소녀주천공 | 월영보 |
상승 | 조남정 | 요월장법/낙영권법 | 영월청심공 월심한백결 | 청연보법 |
진파 | 주청란 | 천모잔월장 | 휘월신공 | 답월유향 |
1.5. 창랑 무공
창법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한임 | 창랑 창술 | 일기공 | 창랑 보법 |
진급 | 순우선 | 소랑 창술 | 복랑공 | 낭행보 |
상승 | 우고 | 천랑 창술 | 축호공 | 응양보 |
진파 | 조예 | 창랑봉아창 | 호랑쌍세공 | 답사행 |
용계 창법
무학등급 | 무공 |
기본 | 무 |
진급 | 운룡 창술 |
상승 | 등룡 창술 |
진파 | 구룡반천창 |
무학등급 | 사부 | 유파 | 무공 | 내공 | 경공 |
기본 | 적소풍 | 무 | 촉산검법 | 무 | 무 |
진급 | 공손원가 | 무 | 원공검법 | 무 | 무 |
상승 | 보초 | 무 | 서천검법 | 검우결 | 검투보 |
진파 | 조신릉 | 협검 | 대량검전 | 검왕경 | 소요유 |
항인광 | 왕검 | 기린검경 | 무 | 무 | |
얼만후 | 사검 | 염마검가 | 무 | 무 |
무학등급 | 사부 | 무공 | 내공 | 경공 |
상승 | 이벽수 | 화수장 | 도심종마 | 축지신통 |
진파 | 이고행 | 태음절명수 | 도심종마 | 천외천화신 |
영서보감 | ||||
귀소음풍도 |
1.6. 강호 무학
권법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초 | 기본 권법 | 0 | 남양도 무관 | |
기본 | 태조장권 | 8 | 남양도, 낙양 무관 | |
철사장 | 0 | 망우촌 차선 임무 | 유일 | |
진급 | 개산장법 | 28 | 낙양무관 | |
오행권 | 30 | 추가보 관문 획득 | ||
파비족법 | 30 | 용천진 서맹 격살로 획득 | ||
최심장 | 30 | 구혼각 인급 살수 달성 후 12냥 500푼으로 구매 | ||
상승 | 대음양수 | 60 | 구혼각 지급 살수 달성 후 85냥으로 구매 | 유일 |
쇄허지 | 60 | 쇄허지 차선임무로 획득 | 유일 | |
팔괘장 | 60 | 「팔괘문」 세력 호감도 7000 달성 후 은화 90냥으로 구매 | 유일 | |
진파 | 열양신장 | 150 | 【진기찾기】임무 완료 후 300냥 은화로 구매 | 유일 |
오독신장 | 150 | 천일교 강자의 잔편 1장 획득 , 15장으로 1권 획득 | 유일 | |
현음장 | 150 | 고소 고골문 관문, 윤무 격살로 잔본 1장 획득, 15장으로 무공획득 가능 | 유일 | |
응혈신조 | 150 | 구혼각 명사 진급 후 9000 공헌으로 교환 | 유일 | |
밀종대수인 | 150 | 대소사 호감도 36000 달성 후 칠법왕전 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취몽신권 | 300 | 아미산 차선 임무로 획득 | 유일 | |
대분뢰수 | 150 | 벽유교 관문 잔편 획득 | 유일 | |
대자대비장 | 150 | 염향교 관문 왕린 격살 후 잔펴 1장 획득 | 유일 |
검법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초 | 기본 검법 | 0 | 남양도 무관 | |
기본 | 삼재검법 | 8 | 남양도, 봉명집 무관 | |
점묵 검법 | 8 | 손사 차선임무 | 유일 | |
진급 | 풍뢰검법 | 30 | 봉명집 무관 | |
칠성검법 | 28 | 태안진 옥황정 화양진인 격살로 획득 가능 | ||
황천검법 | 30 | 구혼각 인급 살수, 13냥 200푼으로 구매 | ||
상승 | 광풍쾌검 | 60 | 구혼각 지급 살수 85냥으로 구매 | 유일 |
혈의검법 | 60 | 혈의루 참옥서 격살 후 잔본 1장 획득, 10장으로 1권 획득 가능 | 유일 | |
사상검결 | 64 | 사상검결 차선임무로 획득 | 유일 | |
진파 | 환영무형검 | 150 | 구혼각 명사 승급 후 9000공헌으로 교환 | 유일 |
오옥 검결 | 150 | 천일교 백관훙에서 획득 후 임무 완료로 수련 | 유일 | |
회풍무류검 | 150 | 【관성대 시련】도전으로 잔편 1장 획득 가능 | 유일 | |
서자군검 | 150 | 자양서원 서자군검 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한서검법 | 150 | 귀운도 차선 임무완료로 획득 | 유일 |
도법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초 | 기본 도법 | 0 | 남양도 무관 | |
기본 | 팔괘도법 | 8 | 남양도 무관, 고소무관 | |
류운도법 | 8 | 낙양 서북촌 주석천 격살로 획득 | ||
진급 | 분뇌도법 | 28 | 고소무관 | |
칠살도법 | 30 | 쌍왕진 홍균 격살로 획득 | ||
무영도법 | 30 | 육선문 동급 포졸로 승급 후 12냥 500푼으로 구매 | ||
잔도결 | 0 | 설용성 자체 무공 | ||
상승 | 복해도법 | 60 | 육선문 창고에서 은패 포졸 은화 85냥으로 구매 | 유일 |
복희도법 | 60 | 복희 도법 임무 확인 | 유일 | |
혈전오식 | 64 | 돈황 차선임무 혈전오식 완료 후 획득 | 유일 | |
분뇌도결 | 61 | 분뇌도법 차선 임무 완료 | 유일 | |
진파 | 태허신오도 | 150 | 70급 철인문 관문 군걸 격살로 잔본 1장 획득 | 유일 |
파봉팔참 | 140 | 연황부 하상 격살로 잔본 획득 | 유일 | |
수춘도결 | 150 | 육선문 전용 무학, 신급 포졸로 승급 후 9000공헌으로 교환 | 유일 | |
복희도법(진파) | 150 | 진파 복희도법 임무 확인 | 유일 | |
신음류도술 | 150 | 천주 거경방 호감도 4400 이상, 협객 85급 이상, 차선 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적도결 | 0 | 설용성 재능 진급 자동 통찰 | 유일 |
곤법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초 | 기본 곤법 | 0 | 남양도 무관 | |
기본 | 제미곤법 | 8 | 남양도, 쌍왕진, 유주 무관 | |
진급 | 천균봉법 | 28 | 쌍왕진 무관 | |
축월창법 | 30 | 고소 온홍주 획득 | ||
천라곤법 | 30 | 육선문 동급 포졸 | ||
패왕창술 | 30 | 유주무관 | ||
상승 | 쇄악창법 | 60 | 육선문 은급 포졸 승급 후 은화 85냥으로 구매 | 유일 |
입옥창법 | 60 | 0 | 유일 | |
백화창법 | 60 | 60급 달성 후 천주 주점에서 낙현우에 문의, 포도주 2개 전달 후 30분 뒤에 획득 가능 | 유일 | |
진파 | 촉룡창결 | 150 | 육선문 - 포신으로 진급 후 용문보물 창고에서 9000 공헌으로 교환 | 유일 |
무하곤법 | 150 | 무하곤법 차선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능상창술 | 140 | 연왕부 잔편 획득 | 유일 | |
탕마창결 | 150 | 【탕마전본】차선임무 완료로 획득 | 유일 | |
진운창법 | 150 | 마얼 부족 호감도 4만 달성 후 임무 완료로 획득 | 유일 |
내공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본 | 기인술 | 혼원 | 낙양무관, 쌍왕진 무관 | |
토납공 | 혼원 | 남양도 무관, 봉명집 무관, 고소 무관, 유주 무관 | ||
진급 | 혼원공 | 혼원 | 낙양 무관, 쌍왕진 무관 | |
소성라공 | 양 | 봉명집 무관 | ||
오행공 | 혼원 | 고소무관, 유주무관 | ||
혼천기공 | 혼원 | 취선채 확률 드랍 | ||
혈살공 | 음 | 장웅 격파 후 시체 10회 수색으로 획득 | ||
약왕경 | 혼원 | 류여의 전용 내공 | 유일 | |
귀허공 | 음 | 능연 전용 내공 | 유일 | |
영난공 | 혼원 | 약왕곡 차선 임무 영난공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상승 | 원인귀심결 | 혼원 | 원인귀심결 차선임무 확인 | 유일 |
삼음최심공 | 음 | 삼음최심공 차선 임무 확인 | 유일 | |
종옥결 | 혼원 | 혈의루 시무도 잔편 획득, 잔편 10장으로 합성 획득 | 유일 | |
대성라공 | 양 | 구혼각 천급 살수 달성 후 100냥으로 구매 | 유일 | |
광망탄상공 | 혼원 | 육선문 - 금패 신포 달성 후 100냥으로 구매 | 유일 | |
한빙결 | 음 | 구혼각 관속 10회 체험 후 80이상 내공 보유, 1000이상 진기 보유시 획득 (전수 불가) | 유일 | |
백승결 | 양 | 육선문, 은패사투 10연승 후 영훙에 백전백승 문의로 획득 | 유일 | |
신원공 | 혼원 | 은화 100냥 보유, 지도를 다니다 보면 우연히 화물상인 만남 가능 | 유일 | |
첩랑결 | 혼원 | 거경방 7000 호감 해제 | 유일 | |
백병결 | 양 | 축검산장 호감도6000 해제, 70냥 구매 | 유일 | |
구전현공 | 양 | 무도상점, 무도종사 달성 후 5000 무도화폐로 구매 | 유일 | |
오기조원공 | 혼원 | 특별 이벤트로 획득 | 유일 | |
선천양기결 | 음 | 대설산 차선 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진파 | 용상반야공 | 양 | 대설산 임무 용상반야공 완료 로 6중 획득 . 나머지 차선임무 완료로 획득 | 유일 |
이화결 | 양 | 【진기찾기】임무 완료 후 300냥 은화로 구매 | 유일 | |
천일신공 | 혼원 | 천일교 관문 천일노조 격살로 잔편 1장 획득 | 유일 | |
벽파신공 | 음 | 유령도시, 50냥 1장, 15장으로 1권 획득 | 유일 | |
보천가결 | 혼원 | 육선문 신포로 승급후 8600공헌으로 교환 | 유일 | |
현명경 | 음 | 구혼각 명사로 진급 후 공헌 8500으로 교환 | 유일 | |
태현진경 | 혼원 | 충전 강호호걸 달성 후(VIP3)룰렛 획득 | 유일 | |
건원공 | 혼원 | 건원공 임무 완료 후 획득. 기타 동료에 전수 가능 | 유일 | |
혈마경 | 음 | 낙양 유령도시 구유시련 70층 달성 후 시련 상점 38000으로 교환 | 유일 | |
만상마공 | 혼원 | 고소 고골문 관문 설금채 격살로 잔편 1장 획득 | 유일 | |
장생결 | 혼원 | 고골문, 맹곤에서 열쇠 획득, 장생결 차선 임무 완료 후 류여의 한정 학습. 무공 전수 가능. | 유일 | |
청아공 | 양 | 진파내공 - 청아공 차선 임무 확인 | 유일 | |
순수 유리체 | 혼원 | 순수유리체 임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천잠신공 | 혼원 | 창옥 관문에서 장정 격살로 잔본 1장 획득 | 유일 | |
창랑결 | 혼원 | 귀운도 260냥 은화 구매 | 유일 | |
귀운결 | 혼원 | 관랑시련에서 잔편 획득 가능 | 유일 | |
설작경 | 음 | 문향교 관문 임설작 격살로 잔본 1장 획득, 15장으로 무공 획득 가능 | 유일 |
경공
무학등급 | 무공 | 수위 | 획득 방식 | 비고 |
기본 | 건행보 | 0 | 낙양 무관, 쌍왕진 무관, 곡소무관 | |
경종술 | 0 | 봉명집 무관, 유주무관, 남양도 거지 차선임무 | ||
초상비 | 0 | 탁발준 경공 | 유일 | |
진급 | 매화보법 | 18 | 쌍왕진 무관, 유주무관 | |
안행공 | 20 | 봉명집 무관 | ||
수상표 | 20 | 고소무관 | ||
상승 | 유룡 신법 | 48 | 구혼각 천급 살수로 진급 후 70냥으로 구매 | |
비연경신술 | 48 | 육선문 금패신포 은화 70냥으로 구매 | ||
천라보 | 45 | 특별 이벤트로 획득 | 유일 | |
답랑행 | 48 | 거경방 호갑도 ≥1800 이상 시 은화 80냥으로 구매 | 유일 | |
월하비천 | 48 | 귀운도 호감도15000 달성후 90은화로 구매 | 유일 | |
진파 | 천회백전 | 120 | 태안객잔 임무 완료 후 70급 관문 해제, 인귀 격살로 잔편 1장 획득 가능 | 유일 |
쇄성보 | 120 | 유령도시 잔편 48냥에 1장 구매, 15장으로 1권 획득 | 유일 | |
만리신행 | 120 | 육선문 신급 포졸 달성 후 공헌 8000으로 교환 | 유일 | |
귀영미종 | 120 | 구혼각 명사 달성 후 8000 공헌으로 교환 | 유일 | |
운룡삼절 | 150 | 낙양 유령도시 구유시련 60층 달성 후 시련상점 32000으로 교환 | 유일 | |
능파미보 | 150 | 룰렛획득(강호호걸로 달성 후 [VIP3]해제)대상 | 유일 | |
유행보 | 150 | 연왕부 엽내관 격살로 잔편 1장 획득, 15장 합성으로 획득 | 유일 | |
신공행 | 120 | 대소사 호감도 36000 달성 후 은화 260냥으로 구매 | 유일 | |
천원락 | 120 | 도화오 호감도 44000 달성, 은화 150냥 소비로 진롱기국 해제, 완성 후 획득 | 유일 | |
천마무 | 300 | 돈황 차선임무 천마무 완료 후 획득 | 유일 | |
추혼보 | 150 | 벽유교 관문 통과로 잔편 15개로 완전한 경공 획득 | 유일 | |
팔보간선 | 150 | 창옥 관문 무준신 격살로 잔편 획득 가능 | 유일 | |
기풍보술 | 150 | 기인장 호감도12000 달성 후 260냥 은화로 구매 | 유일 |
2. 무공 전수
전수 설명(인게임)
무공 전수 시 무장이 습득한 무학을 (복사 아님)다른 무장에 전이되며, 이미 장악한 최고 무학 단계, 초식과 경지가 포함됩니다.
마지막에 전수한 무학이 전수 받는 자의 몸에서 도달한 단계 수가 무학 등급, 전수자가 수련한 단계 및 전수 받는 자의 상응한 무학 경지 등 세 가지 측면의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무학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수하는 난이도는 더 크며, 전수자의 수련이 높을수록 전수 받는자가 도달할 수 있는 단계 수는 더 높습니다. 만약 상응한 경지가 낮을수록 마지막에 전수하는 효과에 영향을 줍니다
무공 전수 시 무장이 습득한 무학을 (복사 아님)다른 무장에 전이되며, 이미 장악한 최고 무학 단계, 초식과 경지가 포함됩니다.
마지막에 전수한 무학이 전수 받는 자의 몸에서 도달한 단계 수가 무학 등급, 전수자가 수련한 단계 및 전수 받는 자의 상응한 무학 경지 등 세 가지 측면의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무학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수하는 난이도는 더 크며, 전수자의 수련이 높을수록 전수 받는자가 도달할 수 있는 단계 수는 더 높습니다. 만약 상응한 경지가 낮을수록 마지막에 전수하는 효과에 영향을 줍니다
[설명 풀이]
용어설명
a. 이미 장악한 최고 무학 단계 = 1중~10중, 초보/실력자/고수/최정상 (초식과 경지가 포함됨)
b. 무학 등급 = 일반무학/진급무학/상승무학/진파무학
c. 전수자가 수련한 단계 = a와 동일
d. 전수 받는 자의 상응한 무학경지 = 필요수위 (예시: 기본검법을 1단계 올릴시 검술 1 상승)
무학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수하는 난이도는 더 크며
→(b)일반무학 → 진파무학일수록 난이도가 큼
전수자의 수련이 높을수록 전수 받는자가 도달할 수 있는 단계 수는 더 높습니다
→(a)가 높을수록 받는 사람도 높게 받음
만약 상응한 경지가 낮을수록 마지막에 전수하는 효과에 영향을 줍니다
→(d)가 낮을 경우 전수효과가 떨어짐
a. 이미 장악한 최고 무학 단계 = 1중~10중, 초보/실력자/고수/최정상 (초식과 경지가 포함됨)
b. 무학 등급 = 일반무학/진급무학/상승무학/진파무학
c. 전수자가 수련한 단계 = a와 동일
d. 전수 받는 자의 상응한 무학경지 = 필요수위 (예시: 기본검법을 1단계 올릴시 검술 1 상승)
무학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수하는 난이도는 더 크며
→(b)일반무학 → 진파무학일수록 난이도가 큼
전수자의 수련이 높을수록 전수 받는자가 도달할 수 있는 단계 수는 더 높습니다
→(a)가 높을수록 받는 사람도 높게 받음
만약 상응한 경지가 낮을수록 마지막에 전수하는 효과에 영향을 줍니다
→(d)가 낮을 경우 전수효과가 떨어짐
[전수는 주로 언제?]
1. 주인공이 무공수위 150까지 달성. 이후 진파 습득하여 동료에게 전수, 또는 특정 동료가 무공수위 150까지 달성. 이후 진파 습득하여 다른 동료에게 전수
- 1단계 초보에서 전수
- 동료의 무공 수위가 낮더라도 받을 수 있음
- 주로 주인공에 비해 동료의 무공수위를 올리기 힘들어 주인공이 무공을 배운 후 전수
(예시) 주인공의 무공(검법)수위가 150에 환영무형검(필요수위 150)을 익힌 후 수위가 이보다 낮은 동료에게 전수
2. 동료의 무공을 동료에게 옮길 때
- 영입한 신규 동료가 기존 동료의 역할을 할 경우
[전수방법]
재화 소모 | 위치 | 특징 |
은화10냥 | 낙양-용행무관 수련실(22,28) 봉명집-취영무관 폐관실(15,20) | 전수 시 손실 발생 |
공헌500 | 각 문파 폐관실 천도문-낙하진 유실(22,16) 소림-숭산 천불전(11,10) 태을교-태을산 문심정(4,7) 영월궁-명월봉 폐관실(8,4) 창량문-선선 사랑방(19,1), (20,1), (21,1) | 전수 시 손실 발생 |
원보150냥 | 유주-천괴무관 폐관실(23,33) | 전수 시 손실 없음 |
[전수특징]
1. 전수자, 전수받는자는 1일동안 전수 불가능
2. 전수 최대효율 (80~90%)
일반무학 | |
진급무학 | 30 |
상승무학 | 60 |
진급무학 | 120 |
- 전수자: 전수한 무공의 수위만큼 낮아짐
- 전수받는자: 전수받은 무공의 수위만큼 높아짐
4. 전수 시 손실이 있기에 가급적 [1중 초보자] 단계에서 전수하는 것이 추천됨
3. 품계별 획득 수위 및 소모 열력, 시간
3.1. 기초 무학
기초 무학 | |||||
수행 정도 | 소비 열력 | 수위 변화 | 돌파 시간 | 총 열력 소모 | |
1중 | 초보 | 1 | 0:00:12 | 22 | |
실력자 | 4 | ||||
고수 | 8 | ||||
최정상 | 10 | ||||
2중 | 초보 | 1 | 0:01:00 | 58 | |
실력자 | 14 | ||||
고수 | 20 | ||||
최정상 | 24 | ||||
3중 | 초보 | 1 | 0:02:00 | 102 | |
실력자 | 28 | ||||
고수 | 34 | ||||
최정상 | 40 | ||||
4중 | 초보 | 1 | 0:03:00 | 150 | |
실력자 | 44 | ||||
고수 | 50 | ||||
최정상 | 56 | ||||
5중 | 초보 | 0:05:00 | 204 | ||
실력자 | 62 | 1 | |||
고수 | 68 | ||||
최정상 | 74 | ||||
6중 | 초보 | 0:08:00 | 260 | ||
실력자 | 80 | ||||
고수 | 86 | ||||
최정상 | 94 | 1 | |||
7중 | 초보 | 0:12:00 | 382 | ||
실력자 | 100 | ||||
고수 | 106 | ||||
최정상 | 134 | ||||
8중 | 초보 | 1 | 0:20:00 | 392 | |
실력자 | 120 | ||||
고수 | 128 | ||||
최정상 | 144 | ||||
9중 | 초보 | 1 | 0:30:00 | 448 | |
실력자 | 142 | ||||
고수 | 150 | ||||
최정상 | 156 | ||||
10중 | 초보 | 1 | 516 | ||
실력자 | 164 | ||||
고수 | 172 | ||||
최정상 | 180 | 1 | |||
합계 | 10 | 1:21:12 | 2462 |
3.2. 일반 무학
일반 무학 | |||||
수행 정도 | 소비 열력 | 수위 변화 | 돌파 시간 | 총 열력 소모 | |
1중 | 초보 | 5 | 0:02:00 | 444 | |
실력자 | 100 | ||||
고수 | 114 | ||||
최정상 | 130 | ||||
2중 | 초보 | 2 | 0:03:00 | 498 | |
실력자 | 148 | ||||
고수 | 166 | ||||
최정상 | 184 | ||||
3중 | 초보 | 1 | 0:05:00 | 662 | |
실력자 | 200 | ||||
고수 | 220 | ||||
최정상 | 242 | 1 | |||
4중 | 초보 | 0:10:00 | 840 | ||
실력자 | 260 | ||||
고수 | 280 | 1 | |||
최정상 | 300 | ||||
5중 | 초보 | 0:16:00 | 1044 | ||
실력자 | 324 | 1 | |||
고수 | 344 | ||||
최정상 | 366 | ||||
6중 | 초보 | 1 | 0:32:00 | 1240 | |
실력자 | 388 | ||||
고수 | 410 | ||||
최정상 | 432 | ||||
7중 | 초보 | 1 | 0:48:00 | 1440 | |
실력자 | 454 | ||||
고수 | 476 | ||||
최정상 | 500 | ||||
8중 | 초보 | 1 | 1:04:00 | 1638 | |
실력자 | 522 | ||||
고수 | 546 | ||||
최정상 | 570 | 1 | |||
9중 | 초보 | 1 | 1:26:00 | 1854 | |
실력자 | 594 | ||||
고수 | 618 | ||||
최정상 | 642 | 1 | |||
10중 | 초보 | 1 | 2074 | ||
실력자 | 666 | ||||
고수 | 692 | 1 | |||
최정상 | 716 | 1 | |||
합계 | 20 | 4:26:00 | 11734 |
3.3. 진급 무학
진급 무학 | |||||
수행 정도 | 소비 열력 | 수위 변화 | 돌파 시간 | 총 열력 소모 | |
1중 | 초보 | 9 | 0:05:00 | 1730 | |
실력자 | 500 | ||||
고수 | 570 | ||||
최정상 | 660 | 1 | |||
2중 | 초보 | 2 | 0:15:00 | 2830 | |
실력자 | 780 | ||||
고수 | 940 | 1 | |||
최정상 | 1110 | ||||
3중 | 초보 | 2 | 0:30:00 | 4550 | |
실력자 | 1300 | ||||
고수 | 1510 | ||||
최정상 | 1740 | ||||
4중 | 초보 | 1 | 1:00:00 | 6790 | |
실력자 | 1990 | ||||
고수 | 2200 | 1 | |||
최정상 | 2540 | ||||
5중 | 초보 | 1 | 2:00:00 | 9530 | |
실력자 | 2850 | ||||
고수 | 3170 | ||||
최정상 | 3510 | ||||
6중 | 초보 | 1 | 4:00:00 | 12720 | |
실력자 | 3860 | ||||
고수 | 4240 | 1 | |||
최정상 | 4620 | ||||
7중 | 초보 | 1 | 8:00:00 | 16370 | |
실력자 | 5030 | ||||
고수 | 5450 | ||||
최정상 | 5890 | ||||
8중 | 초보 | 1 | 12:00:00 | 20450 | |
실력자 | 6340 | ||||
고수 | 6810 | 1 | |||
최정상 | 7300 | ||||
9중 | 초보 | 1 | 24:00:00 | 24950 | |
실력자 | 7800 | ||||
고수 | 8310 | 1 | |||
최정상 | 8840 | 1 | |||
10중 | 초보 | 1 | 29860 | ||
실력자 | 9390 | ||||
고수 | 9950 | 1 | |||
최정상 | 10520 | 2 | |||
합계 | 30 | 51:50:00 | 129,780 |
3.4. 상승 무학
상승 무학 | |||||
수행 정도 | 소비 열력 | 수위 변화 | 돌파 시간 | 총 열력 소모 | |
1중 | 초보 | 14 | 0:30:00 | 6,970 | |
실력자 | 2000 | 1 | |||
고수 | 2290 | ||||
최정상 | 2680 | 1 | |||
2중 | 초보 | 1 | 1:00:00 | 11,240 | |
실력자 | 3150 | 1 | |||
고수 | 3720 | ||||
최정상 | 4370 | 1 | |||
3중 | 초보 | 3:00:00 | 17,950 | ||
실력자 | 5120 | 1 | |||
고수 | 5950 | ||||
최정상 | 6880 | 1 | |||
4중 | 초보 | 1 | 6:00:00 | 27,080 | |
실력자 | 7890 | ||||
고수 | 9000 | ||||
최정상 | 10190 | 1 | |||
5중 | 초보 | 1 | 12:00:00 | 38,650 | |
실력자 | 11480 | ||||
고수 | 12850 | 1 | |||
최정상 | 14320 | 1 | |||
6중 | 초보 | 1 | 18:00:00 | 52,640 | |
실력자 | 15870 | ||||
고수 | 17520 | 1 | |||
최정상 | 19250 | ||||
7중 | 초보 | 1 | 24:00:00 | 69,070 | |
실력자 | 21080 | 1 | |||
고수 | 22990 | ||||
최정상 | 25000 | ||||
8중 | 초보 | 2 | 36:00:00 | 87,920 | |
실력자 | 27090 | ||||
고수 | 29280 | 1 | |||
최정상 | 31550 | ||||
9중 | 초보 | 2 | 54:00:00 | 109,210 | |
실력자 | 33920 | ||||
고수 | 36370 | 1 | |||
최정상 | 38920 | ||||
10중 | 초보 | 2 | 132,920 | ||
실력자 | 41550 | 1 | |||
고수 | 44280 | ||||
최정상 | 47090 | 1 | |||
합계 | 40 | 154:30:00 | 553,650 |
3.5. 진파 무학
진파 무학 | |||||
수행 정도 | 소비 열력 | 수위 변화 | 돌파 시간 | 총 열력 소모 | |
1중 | 초보 | 24 | 1:00:00 | 31,770 | |
실력자 | 10,000 | 1 | |||
고수 | 10,540 | 1 | |||
최정상 | 11,230 | 1 | |||
2중 | 초보 | 3 | 1:30:00 | 39,750 | |
실력자 | 12,100 | 1 | |||
고수 | 13,180 | ||||
최정상 | 14,460 | 1 | |||
3중 | 초보 | 2 | 4:30:00 | 53,320 | |
실력자 | 15,970 | ||||
고수 | 17,690 | 1 | |||
최정상 | 19,660 | 1 | |||
4중 | 초보 | 1 | 9:00:00 | 73,160 | |
실력자 | 21,860 | ||||
고수 | 24,300 | 1 | |||
최정상 | 27,000 | 1 | |||
5중 | 초보 | 1 | 19:20:00 | 99,780 | |
실력자 | 29,960 | 1 | |||
고수 | 33,170 | 1 | |||
최정상 | 36,650 | ||||
6중 | 초보 | 2 | 30:00:00 | 133,530 | |
실력자 | 40,400 | 1 | |||
고수 | 44,420 | ||||
최정상 | 48,710 | 1 | |||
7중 | 초보 | 2 | 48:00:00 | 174,730 | |
실력자 | 53,290 | ||||
고수 | 58,150 | 1 | |||
최정상 | 63,290 | ||||
8중 | 초보 | 2 | 90:00:00 | 223,620 | |
실력자 | 68,720 | ||||
고수 | 74,440 | 1 | |||
최정상 | 80,460 | ||||
9중 | 초보 | 2 | 162:00:00 | 280,450 | |
실력자 | 86,770 | ||||
고수 | 93,380 | 1 | |||
최정상 | 100,300 | ||||
10중 | 초보 | 2 | 345,420 | ||
실력자 | 107,510 | ||||
고수 | 115,040 | 1 | |||
최정상 | 122,870 | 2 | |||
합계 | 60 | 365:20:00 | 1,455,530 |
4. 진파무공 평가
소림사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대광명신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광명신권 무학 분석 1. 육성 연격 확률 (131 신법 25%, 273 신법 33.34%)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용 권법, 높은 탱킹력, 중간 이상의 딜량,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 핵심은 중첩 탱킹 + 무아지옥 변초 + 평타 추격 + 타박상 디버프
3. 평가(100레벨 이후)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무상겁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상겁지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이연 확률 (147 내식 54%), 치명타 확률 (86 신법 50%, 174 신법 60%, 388 신법 75%), 봉맥 확률 (265 내식 75%, 334 내식 80%)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용 권법, 성능은 약함. 소림 진파 초반 육성은 "대광명신권" 또는 "달마팔법신장" 추천. 핵심은 궁극기 치명타 + 이연. 탱킹은 중간, 순간 폭발력은 높음, 전체 딜량은 중간 이상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4/1, 정진 2, 3은 필요에 따라 분배, 주로 검왕경 또는 태현경과 함께 사용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반야선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반야선장 무학 분석 1. 육성 진상 확률 (174 내식 70%, 452 내식 100%), 팔힘과 신법은 필요에 따라 투자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용 권법, 탱킹은 매우 높음, 딜량은 낮음, 전체적인 성능은 중간 이하. 핵심은 진상 + 중첩 탱킹 + 초식 반격 + 협전
3. 평가(100레벨 이후)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달마팔법신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달마팔법신장 무학 분석 1. 육성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액티브 스킬 사용 후 한 번의 막기 기회를 얻으므로 전열에 더 적합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성능이 높으며, 주인공 창/곤 계열 초반 육성의 해법입니다. 초식 반격, 협전, 디버프, 광역 공격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철추공과 광역 피해 무기를 함께 사용하면 광역 피해량이 매우 상당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2단계는 【몽】을 크게 강화할 수 있지만, 최근 약화되었으며, 강인함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됨.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역근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근경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높은 체력 + 취기진원 + 무작위 아군 강화 + 반사 피해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5/0 또는 5/10/0, 역근경 정강은 자신의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치는 상당하지만, 어울리는 무학이 적음 * 현재 버전 PvE에서 역근경은 쓰이는 곳이 없음 * 현재 버전 무도에서 역근경은 주로 대광명신권과 함께 사용되며, 기능성과 무아지옥 중첩을 동시에 고려함. 다른 경우에는 가끔 반사 피해 빌드와 함께 등장하지만, 전체적인 성능은 낮음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구도육좌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도육좌상 무학 분석: 1. 육성 피해 감소 (89 신법 7%, 150 신법 8%, 229 신법 9%, 333 신법 10%, 480 신법 11%) 2.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높은 피해 감소 + 수상 이동 및 점프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5/10 또는 0/10/5, 구도 정진으로 제공되는 속성은 중요하며 수치도 후함
| }}}}}}}}}}}} |
천도문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도삼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도삼식 무학 분석 1. 육성 전/후열 딜러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광사도의 치명타 확률 (213 신법 30%, 288 신법 33.34%), 소풍도경 치명타 확률 (171 신법 33.34%, 288 신법 40%), 출혈 확률 (174 신법 40%, 344 신법 50%). 2. 평가(100레벨 이전) 성능 최상위. 극히 일부 보스를 제외하고 초반 육성은 중도 광사도의를 추천. 핵심은 치명타 + 회피 보정 + 출혈 (초반 육성 시 방어 관통은 쓸모없음).
3. 평가(100레벨 이후) 참고: 100레벨 중도 추천 신법 256 (치명타 34%), 일반 상태에서 치명타 확률 50% 획득 가능. 또는 신법 317 (치명타 36%).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주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주검결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낮은 체력일 때 피해 감소 증가 + 피격 시 확률 기반 체력 회복 및 공격력 증가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5/0 또는 5/10/0 또는 0/5/10, 만인예경은 목표가 평타 공격을 받을 때 높은 피해를 입히도록 하며, 천도삼식 정진은 서로 보완하고, 천주인결 정진 2단계는 높은 치명타율과 연계하여 체력 회복을 자주 발동시켜 딜링과 생존 모두 강력함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뇌응풍천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뇌응천풍보 무학 분석: 1. 육성 피해 감소 (101 신법 5%, 174 신법 6%, 271 신법 7%, 408 신법 8%) 2. 평가(100레벨 이전) 일명 '새 발걸음', 피해 감소는 구도보다 약간 낮지만, 추가로 신법 24를 제공하여 연격 무공과 좋은 조합을 이룹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0/5, 정진 2단계 "약진"은 해당 무공 세트의 기본 치명타율만 두 배로 만들 수 있으며, 소풍도경, 금강권경 등이 제공하는 치명타율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 |
태을교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화현신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현신검결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딜러 팔힘, 근골, 내식 위주 투자, 신법은 필요에 따라 투자.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 난이도 극히 높음, 신규 유저의 십일검 초반 육성은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핵심은 11회 공격 + 협전. 총 데미지가 높고 공격 횟수가 많아, 단일 보스와 극히 드물게 공격 횟수가 필요한 보스 상대로 유리함. 단점은 다음과 같음: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단계는 십일검에 높은 비율의 내식 데미지를 추가하며, 육성 방향은 내식 위주로 전환됨. 내식 정진은 십일검의 PvE 약점을 개선하지 못함. 현재 버전 무도에서 여자 캐릭터 간판 무공, 내식 여자 십일검은 '머리 묶기'와 연계하여 후열 공격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중상위권 무도에서 강력한 압박력을 가짐.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성운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운검결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 난이도 극히 낮음, 100레벨 이전에는 대성운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5/0 또는 10/0/5, 100레벨 스탯 투자: 정진 1단계 15% + 정진 유행 13% + 대풍 8% (+ 무기 10%) = 36% (46%), 100% 3연계 (구혼 148 신법, 육문 208 신법), 100% 4연계 (구혼 265 신법, 육문 388 신법)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자양만도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양만도권 무학 분석 1. 육성 전열 근골, 신법, 내식 위주 투자, "열" 확률 (198 내력 50%, 353 내력 66.67%), 초식 반격 확률 (174 신법 100%), 협전 확률 (신소 406 신법 95%)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용 권법, 성능은 비교적 높음. 핵심은 궁극기 기절 + 협전 + 화상 + 초식 반격 + 이연. 탱킹은 중간, 딜량은 중간 이상
3. 평가(100레벨 이후) PvP 컨트롤 특화 정진 5/10/0 또는 10/5/0, 딜링 특화 정진 5/0/1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강검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강검지결 무학 분석 1. 육성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치명타 확률 (206 내식 50%, 금강 244 내식 60%), 막기 회피 보상 확률 (174 신법 80%, 200 신법 85%, 260 신법 95%, 295 신법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입수 난이도 매우 높음, 초반 육성 무학 아님, PvE 무학 아님. 핵심은 중첩 공격 + 광역 변초 + 치명타 + 막기 회피 보상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10/4, 본 문파의 내공과 경공에 의해 발목 잡힘, 내공은 검왕경과, 경공은 뇌응천풍보와 잘 어울림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현미진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미진도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피해 감소 12% + 진원 20-35
2. 평가(100레벨 이후) 십일검 정진 5/10/0 또는 0/10/5, 탱커 정진 10/0/5 또는 5/0/10. 현미 내공은 상대방의 기력 회복 속도를 늦추며, 십일검에만 적용되고 PvE에서는 쓸모없음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구요이성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요이성보 육성 제안 1. 육성 분배 기준 없음. 2.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높고 멀리 뛰기 + 1회에 한하는 아군과의 위치 교환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0/5, 단순하고 강력한 피해 감소 8% 제공
| }}}}}}}}}}}} |
영월궁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무상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상검결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딜러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신법 334 (연속 초식 100% + 초식 반격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 난이도 비교적 높음, 단일 보스 상대 성능은 천도와 비등함. 핵심은 짧은 재사용 대기시간 + 중첩 공격력 증가 + 연속 초식 + 초식 반격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4/1 또는 10/0/5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모잔월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모잔월장 무학 분석 1. 육성 전열 팔힘, 신법, 내식 위주 투자, 회피 반격 확률 (신법 452 시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천모잔월장으로 초반 육성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공격 시 확률 기반 디버프 부여 + 디버프 걸린 대상 재공격 시 봉맥 + 회피 반격 + 연계. 강호에서는 "여동생 권법"이라고 불리며, 잦은 공격을 통해 상대방을 봉맥시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2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휘월신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휘월신공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입수 과정 복잡하고 성능 매우 낮음. 핵심은 액티브 3턴 공격력 및 기력 회복 증가 + 피격 시 체력 회복 및 회피 증가 + 피격 시 확률 기반 반사 피해.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5, 휘월유경은 목표가 피격 시 진원을 감소시키며, PvE에서는 쓸모없음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답월유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답월유향 무학 분석 1. 육성 중요한 스탯 임계값이 없다. 2.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3단 점프 + 신법 36 + 회피 시 재사용 대기시간 2 감소
3. 평가(100레벨 이후) 휘월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정진 0/10/5, 휘월 없이 사용할 경우 정진 5/10/0, 단순하고 강력한 피해 감소 8% 제공, 다시 휘월신공과 함께 판매하여 휘월을 사용하지 않는 유저에게 이동 속도 정진을 강요함
| }}}}}}}}}}}} |
창랑문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창랑봉아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창랑봉아창 무학 분석 1. 육성 주 팔힘 및 신법 투자, 일반적인 조합은 비뢰창 + 신법 317 (95%) + 답사행 (5%). 팔힘은 치유 불가 확률에 영향을 미치므로 최대한 높이는 것이 좋지만, 100%가 아니어도 필수는 아니며, 면역률의 영향도 받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신법이 낮고 비뢰창 획득 난이도가 높아 창랑봉아창 초반 육성 난이도는 다소 낮은 편이며, 일반적으로 창랑 초반 육성은 추천하지 않으며, 연왕부 이후에는 매우 약해집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5/0 또는 10/0/5.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구룡반천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룡반천창 무학 분석 1. 육성 전열 팔힘, 근골, 내식 위주 투자, 초식 반격 확률 (신법 174 시 80%, 신법 334 시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신규 유저가 창랑으로 초반 육성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피격 시 중첩 + 변초 광역 체력 회복 + 초식 반격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2/0, 참고: "데미지 증가"는 실제로 초식 시전 시 공격력 증가를 의미함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호랑쌍세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호랑쌍세공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치명적인 공격을 받은 후 2턴 동안 사망 지연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5, 호랑이와 늑대의 흉맹한 힘은 불사 발동 후 2턴 동안의 공격력과 기력 회복 속도를 강화함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답사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답사행 무학 분석 1. 육성 중요한 스탯 임계값이 없다. 2.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무비 확률 5% (낭계) / 초식 반격 확률 5% (용계) + 막기 피해 감소 25%
3. 평가(100레벨 이후) 창랑 정진 0/5/10, 창랑이 아닌 경우 5/10/0 고려 가능, 단순하고 강력한 피해 감소 8% 제공
| }}}}}}}}}}}} |
검왕각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대량검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량검전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딜러용, 팔힘과 신법에 투자하며, 이연 확률(연타에 비례하여 증가, 185 몸통 77%, 213 몸통 82%, 241 몸통 87%), 참살 확률(연타에 비례하여 증가, 174 내공 70%, 197 내공 73%, 213 내공 75%, 230 내공 77%) 2. 평가 (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에 적합한 무학으로, 강도가 높습니다. 검왕 삼검법 중 대량검전을 우선적으로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핵심은 이연 + 공격/피격 시 회피로 층첩 + 막기 보상 + 확률적으로 층 소모 후 참살입니다.
3. 평가 (100레벨 이후) 정진 0/2/10, 정진 1단계에서 초식과 이연 피해가 동시에 증가하므로, PVE에서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참고: "피해 증가"는 실제로 초식 발동 시의 공격력을 증가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기린검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린검경 무학 분석 1. 육성 전열 사대 능력치 투자, 174 신법 100% 막기 반격, 기절 확률 (244 팔힘 80%, 527 팔힘 100%), 피격 시 층첩 확률 (76 근골 50%, 131 근골 66.6%, 165 근골 75%, 187 근골 80%, 295 근골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무도 무학으로, 왕검으로 초반 육성을 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액티브 기절 + 피격 시 중첩 + 막기 반격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딜링 0/10/0, 정진 1단계와 3단계 모두 기절 안정성을 강화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염마검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염마검가 무학 분석 1. 육성 팔힘, 내식, 근골에 투자하며, 244 내공 시 100% 검기 중첩, 444 내공 시 100% 변초 무왕생 발동.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 무학으로, 강도는 중간 정도입니다. 핵심은 중첩 공격 흡혈 + 평타 변초 + 액티브 변초 + 공포 혼란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4/10/1, 3단계 정진 모두 무도 방향으로,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검왕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검왕경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단 한 번 발동으로 디버프 제거 및 체력 회복과 함께 검법 위력 +10%, 집기 효과를 얻는 것입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탱킹 특화 정진 10/5/0 또는 5/10/0, 딜링 특화 정진 5/0/10 또는 10/0/5, 청봉내경은 상대방의 피해 감소를 8-12% 감소시키고, 무도 용장연은 전황을 역전시킬 수 있는, 100레벨 최고 내공 중 하나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소요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소요유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핵심은 잔여 체력 시 피해 감소, 회피, 명중률 증가 + 5% 연격 (협검)/5% 반격 (왕검)입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5/10, 잔여 체력 시 정진 효과는 매우 미미하며, 회피 정진은 무시해도 됩니다.
| }}}}}}}}}}}} |
극락곡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태음절명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음절명수 무학 분석 1. 5번째 초식 내식 요구치 118 내식 시 10 진원, 150 내식 시 11 진원, 187 내식 시 12 진원, 230 내식 시 13 진원. 능력치 투자는 개인의 능력에 맞춰 진행하고, 투자할 내식 수치는 주인공의 진원, 집기 수치를 고려하여 스스로 결정하십시오. 태음은 비교적 자유로운 능력치 투자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영서보감과 번갈아 사용하므로 범용적인 투자를 권장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PVE 최강 무학 중 하나입니다. 초반에는 동료의 육성 정도가 낮으므로, 태음을 먼저 배우고 나중에 회복 계열 무공을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PVE 진행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빠른 클리어 업적 달성 기준도 낮아집니다. 태음절명수는 협동 공격에 크게 의존하므로, 1대1 능력은 약간 떨어집니다. * 태음은 육성 요구치가 낮고, 저점이 매우 높으며, 연왕부 방패병에게만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 9턴 쿨타임을 유지하며 4연격을 끊임없이 사용하는 것은 숙련도를 요구하므로, 초반에는 일반적으로 비기 후발제인을 사용합니다. 필요한 진원, 집기 수치는 개인의 장비, 재능 등을 고려하여 스스로 조정하십시오. * 주의: PVE에서 적의 진원, 집기 수치는 매우 낮아, 훔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지만, 보스의 스킬 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무도 특화 정진 4/10/1 (비추천), PVE 특화 정진 10/4/1.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영서보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서보감 무학 분석 1. 육성 팔힘, 내식, 근골 투자. 팔힘과 내식은 필요에 따라 초과 투자 가능. 2. 평가(100레벨 이전) 준 초반 육성 무학으로, 특정 상황 대처 능력은 매우 뛰어납니다. 극락곡 권법 초반 육성은 태음절명수를 우선적으로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핵심은 단일 및 광역 힐 순환 + 디버프 제거 + 아군 전체 공격력 증가 버프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3/2 또는 10/2/3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귀소음풍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귀소음풍도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팔힘, 신법, 내식 투자. 100% 치명타율 달성을 위해 내식 211 추천. 100% 유주에는 신법 452 필요하며, PVE 유저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성운 유저는 예외.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육성 강도가 낮아, 너무 일찍 교환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흉】 3중첩 + 【절】 3중첩이 되어야 비로소 강력해지며, 턴 수가 많은 전투에만 적합합니다.
정진 0/6/6, 극단적인 딜링 특화 정진 10/2/3 (비추천), 능력치 투자는 흉절 필요에 따라 2 또는 3에 치중할 수 있습니다. 참고: "피해 증가"는 실제로 초식 발동 시의 공격력을 증가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도심종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심종마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PVE 최강 딜링 내공 중 하나이지만, 생존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높은 집기 효율을 제공하며, 단일 공격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습니다. [마종]과 [도심종마] 효과를 자주 발동시키기 위해 공격 횟수가 많은 무학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스킬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2. 평가(100레벨 이후) 도소 세트 정진 5/0/10, 비 도소 세트 정진 10/0/5. 이매사경은 공격 시 적의 진원을 감소시키며, PVE에서 태음과 함께 사용하면 부정적인 효과를 빠르게 부여할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외천화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외천화신 무학 분석 1. 평가(100레벨 이전) 남자 캐릭터 필수 학습 초장거리 3단 점프 경공. 신법 24로 연계 무학(소성운) 사용 조건을 낮출 수 있지만, 피해 감소 효과가 불안정하며, 특히 PVP에서 그렇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은 개인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 정진 3 명중률 추가 효과 판정에 문제가 있으며, 다른 정진 효과는 미미하여 100레벨 버전에서는 다른 경공에 비해 뒤처집니다.
| }}}}}}}}}}}} |
강호무학-권법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열양신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열양신장 무학 분석: 1. 육성 가장 먼저 얻을 수 있는 진파 권법으로, 전열 서브 탱커 또는 후열 보조로 사용합니다. 반드시 이화결과 연계할 필요는 없으며, 초반 육성 시에는 장생결, 건원공 등과 함께 사용하여 팀 보조 효과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에 따라 능력치를 투자하십시오. 2. 평가(100레벨 이전) 열양은 디버프, 광역 공격, 치명타, 막기 반격 등 다양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만, 수치가 높지 않아 PVE에서는 약하고 PVP에서는 비교적 강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또는 0/0/1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오독신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독신장 무학 분석 : 1. 정진 전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며, 피해량은 낮고 치명타는 없지만 협동 공격 확률이 높습니다. 열양신장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팀 보조로 사용되며, 동시에 열양의 단일 대상 딜링 대체재이기도 합니다. 2. 정진 후 전열 신권 중 하나로, 메인 탱커로 사용 가능하며, 몸놀림, 근골, 내공에 투자합니다. 연왕부 이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0/0 또는 0/9/1 모두 무도 특화 정진이며, PVE 성능 향상은 미미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현음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음장 무학 분석 : 1. 육성 전열 신법, 근골, 내식 투자. 내식 334 달성 시 100% 봉맥 능력치 투자는 개인 능력에 맞춰 진행하고, 100% 달성 못해도 억지로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정진 전 성능은 낮으며, 육성하려면 가능한 한 빨리 공절곡 정진을 완료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고산절한 정진 0/10/0, 혼단현음 정진 0/0/1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응혈신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응혈신조 무학 분석 : 1. 육성 후열 딜러 팔힘, 신법, 내식 투자. 유행보, 병기논요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며, 「능지처사」 발동 확률은 신법 140 시 87%, 152 시 90%, 183 시 97%, 197 시 100%입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딜러 권법 동료 초반 졸업 무학이지만, 획득 시기가 매우 늦고, 권법으로 초반 육성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100레벨 이후 정진 시 성능 향상폭이 큽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9/0/1, 정진 1단계는 「능지처사」 피해량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밀종대수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밀종대수인 무학 분석 : 1. 육성 팔힘, 근골, 내식 투자. 100레벨 이전에는 용상반야공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권법 수위 +60. 유일한 장점은 이펙트가 매우 멋있다는 것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또는 9/1/0. 100레벨 대수인 발동 시 높은 확률로 용상 버프(400 체력 회복 + 10% 공격력 증가, 기절 불가) 획득, 용상 연계에서 벗어나 자체 변초 능력 보유, 정진 2단계에서 일륜인 즉시 최대 중첩은 전략적 가치가 있지만 많지는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취몽신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취몽신권 무학 분석 : 1. 육성 메인 탱커용, 신법, 근골, 내식 투자. 추격 + 회피 반격 확률 (몸놀림 49 시 33.34%, 130 시 50%, 244 시 66.67%), 내식 256 (피격 시 50% 확률로 취기 부여, 공격 시 100% 확률로 취기 부여) 2. 평가(100레벨 이전) 무도 전용 무학으로, 너무 일찍 획득하거나 육성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피격/공격/추격/회피 반격 시 확률적으로 "취기"를 부여하여 적의 명중률을 낮추는 것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무도 정진 0/0/1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대분뢰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분뢰수 무학 분석 : 1. 육성 후열 팔힘, 내식, 근골 투자. 어혈 부여 확률 (내공 174 시 50%), 신법은 경공 피해 감소 기준치에 맞춥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초반 육성용 무학이 아니며, 무도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핵심은 전체 화면 광역 공격으로 기력을 부여하고, 변초 다단 공격으로 기력이 부여된 적을 추적하며, 공격력 중첩 버프 + 어혈 + 회피 반격입니다. 궁극기는 처음 시전 시 천뢰파로, 광역 피해를 입히고 기력을 부여합니다. 다시 궁극기를 시전하면 변초인 분뢰격전으로, 기력이 부여된 대상을 추적하여 6회 무작위 공격합니다. 기력이 부여된 대상이 없으면 계속 천뢰파를 시전합니다. 내경 정진 0/0/10, 직접 피해 정진 0/10/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대자대비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자대비장 무학 분석 : 1. 육성 후열 딜러/전열 메인 탱커, 추격 확률 (신법 244 시 45%), 막기 반격 확률 (근골 152 시 40%) 2. 평가(100레벨 이후) 초반 육성용 무학이 아닙니다. 핵심은 높은 기본 공격력 + 높은 기본 피해 팔힘 계수 + 아군 평타 피격 시 추격하여 공격력 감소 디버프 부여 + 어혈 + 막기 반격 + 턴마다 중첩입니다.
PVE 정진 0/0/10, 무도는 상황에 따라 정진 2 또는 3 선택
| }}}}}}}}}}}} |
강호무학-검법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환영무형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환영무형검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팔힘, 신법, 내식 투자. 일반적으로 유행보 3%/13%와 병기논요 10%를 함께 사용하여 100% 확률을 맞춥니다. 신법 203 시 87%, 230 시 90%, 299 시 97%, 334 시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PVE, PVP 모두 교환 및 사용을 추천하지 않으며, 100레벨 정진 후 일부 PVE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또는 9/1/0, 정진 3단계 무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직접 피해 부분은 90레벨과 비교하여 향상된 점이 없지만, 새로 도입된 엽명무성 메커니즘 덕분에 환영검은 100레벨 최강의 일반 단일 대상 검법이 되었습니다 (비정상적인 경우는 회풍무류검).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오옥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옥검결 무학 분석: 1. 육성 일반적으로 후열에서 사용하며, 팔힘을 최대로 투자하고 필요에 따라 근골을 보충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초반 PVE 성능은 평범하며, 과도기 검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0/0. 정진 후 성능이 크게 향상되며, 정진 1단계는 「종횡오옥」의 피해량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회풍무류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회풍무류검 무학 분석: 1. 육성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결정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최강의 단일 대상 딜링 검법이지만, 초반 사용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100레벨 이전에는 이 검법의 모든 위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스킬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0/1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서자군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자군검 무학 분석: 1. 육성 유행보, 병기논요와 함께 사용하여 「동경·잔설」 100% 발동 (신법 182 시 87%, 197 시 90%, 235 시 97%, 252 시 100%). 2. 평가(100레벨 이전) 검 동료 PVE 졸업 검법으로, 검 동료가 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하며, 검 동료가 없다면 자양서원 호감도를 우선적으로 올릴 필요는 없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은 도화 전용 무기로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인 정진은 0/10/0입니다. 정진 2단계는 「동경·잔설」을 강화하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한서검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서검법 무학 분석: 1. 육성 메인 탱커 신법, 근골, 내식 투자. 회피 반격 확률 (신법 49 시 33.34%, 130 시 50%, 244 시 66.67%), 피격 시 중첩 확률 (내식 72 시 20%, 174 시 25%, 334 시 30%, 500 내식 시 33.33%) 2. 평가(100레벨 이후) 초반 육성용 무학이 아니며, 무도 필요에 따라 육성합니다. 핵심은 회피 반격 중첩 + 피격 시 중첩 + 중첩 시 공격력 및 체력 회복 + 중첩 소모하여 평타 방해입니다.
90레벨 메인 탱커 필수 무학 (무하, 오독, 현음), 100레벨 메인 탱커 필수 무학 (현음, 오독, 한서, 무하)
| }}}}}}}}}}}} |
강호무학-도법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태허신오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허신오도 무학 분석 1. 육성 가장 먼저 얻을 수 있는 진파 무학 중 하나로, 내식 도법이며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막기 반격 때문에 전열에 더 적합하며, 개인의 조합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반에는 주로 상호건에게 맡깁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정진 전 성능은 낮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팔황귀원 정진을 완료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진 완료 후 다수의 적과 싸울 때 높은 흡혈 장비와 함께 사용하면 생존력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9, 0/0/10, 1/9/0, 0/10/0, 10/0/0 중 개인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며, 참고: "피해 증가"는 액티브 스킬 발동 시의 공격력만 증가시킵니다. 정진 효과는 매우 평범하며, 태허의 강점은 주로 팔황귀원에 있지만, 팔황귀원은 정진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파봉팔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봉팔참 무학 분석 1. 육성 신법 도법으로, 신법 요구치가 높으니 개인 상황에 맞춰 투자하고, 억지로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막기 반격이 존재하고 낮은 체력에서 5번 스킬 【파세】가 발동되므로 전열에 더 적합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잠재력이 매우 높으며, 최근 업데이트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강화되었습니다. 메커니즘이 훌륭하고 수치도 높아, 초반 졸업급 딜링 도법 중 하나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9 또는 0/0/10으로, 【파세】 피해량을 증가시켜 성능 향상이 뚜렷합니다. 참고: "피해 증가"는 실제로 액티브 스킬 발동 시의 공격력을 증가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수춘도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수춘도결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팔힘, 신법, 내식 투자. 상황에 따라 적절히 투자하십시오. 반복적인 능력치 초기화가 번거로운 유저는 후반 PVP 후열 심음 준비를 위해 팔힘 240 + 신법 244 (비급 및 자질 포함)을 고려할 수 있으며, 현재 무도 성능은 좋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① 초반 (90레벨) 졸업급 딜링 무학 중 하나로, 팀에 후열 도법 딜러가 있고 초반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우선적으로 교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설룡성이 있다면 적도에 집중하고, 초반 진행에 어려움이 없다면 자유롭게 선택하십시오. ② 수춘의 장점
③ 단점:
100레벨 정진 효과는 좋지 않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PVE 정진 10/0/0, 무도 정진 0/0/10 또는 1/0/9, 90레벨과 비교하여 뚜렷한 성능 향상 없음, 강기 시스템 존재로 협공 피해량 더욱 감소. 정진 2단계는 광명권경, 사검, 반야 등 이로운 효과 제거 가능. 4. 수치 분석 여기서 수춘도결의 포인트 투자 수익 데이터를 보충한다. 244 신법 4860 신법 자질에서, 치명타 확률 데이터는 기록하지 않았다; 40% 무비; 50% 협전 261 신법 4860 신법 자질에서, 19.15% 치명타; 41.97% 무비; 52.46% 협전 360 신법 4860 신법 자질에서, 20.42% 치명타; 45.01% 무비; 56.26% 협전 444 신법 5000 신법 자질에서, 21.57% 치명타; 47.78% 무비; 59.72% 협전 평가: 신법 감소가 매우 큰 검법으로, 마치 의도적으로 확률을 억제한 것 같다. 옆의 심음 검법은 360 신법에서 이미 33.01%의 치명타를 기록했지만, 수춘은 최대 22%도 되지 않는다. 244 신법이면 충분하며, 더 높게 투자하는 것은 낭비로 가치가 없다. 나는 이 육선문 플레이어로서 크게 실망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복희도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복희도법(진파) 무학 분석 1. 육성 전/후열 딜러 팔힘, 근골, 내식 투자. 후열은 도화와 잘 어울립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정진 전 성능은 평범하며, 가능한 한 빨리 복희괘화 정진을 완료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9/0 또는 0/10/0으로, 액티브 스킬 폭발력을 향상시킵니다. 참고: "피해 증가"는 실제로 액티브 스킬 발동 시의 공격력을 증가시키며, 복희도의 피해 증가 효과와 합산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심음류도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심음류도술 무학 분석 1. 육성 전/후방 딜러로서 244 신법(100% 변초, 250 명중, 28% 폭격), 120 완력(부탱커)/240 완력(후방)이다. 2. 평가(100레벨 이전) 90레벨에서는 도법 수련치 +60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주요 딜링은 평타 변초이며, 다른 무학보다 평타 횟수가 한 번 적어 정진 전에는 매우 약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0/9/1 또는 0/10/0, 개인 취향에 따라 투자하십시오.
일반적인 경우 능상과 비교했을 때:
4. 수치 보충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적도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잔도결 무학 분석 1. 육성 신법 도법으로,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중후반에 상호건에게 전수할 경우, 신법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나, 개인 상황에 따라 결정하십시오. 2. 평가(100레벨 이전) 설용성을 구매하면 덤으로 주는 적도결로, 3000 원보의 가치를 지닌 도법답게 초반 최강 딜링 무학의 명성에 걸맞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10/0 또는 10/0/0. 정진 효율은 평범하며, 주로 흡혈을 활용하여 전열 딜러 (기도 상호건)로 사용하지만, 재사용 대기시간 증가 문제를 야기합니다. 업데이트 후 정진 2단계의 25% 방어 관통 피해는 실전에서 상당한 딜링을 보여주며, 상호건을 서브 딜러로 사용할 경우 정진 2단계를 더 추천합니다.
| }}}}}}}}}}}} |
강호무학-창/곤법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촉룡창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촉룡창결 무학 분석 1. 육성 일반적으로 후열 딜러/보조로 사용되며, 무도 4창 조합에서 자주 보입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촉룡창결은 사곤 조합에서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단계 중첩 후, 막대한 팀 창곤 버프를 제공하여 장기전에 매우 적합하며, 4창 조합의 핵심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무하곤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하곤법 무학 분석 1. 육성 메인 탱커 졸업 무학으로, 가장 먼저 얻을 수 있는 진파 무학 중 하나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근골과 내식을 최대로 투자하고, 팔힘과 신법 투자는 팀 구성에 따라 결정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폭발적인 공격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강하며, 숙련도가 낮을수록 무하의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 90레벨 버전에서 가장 높은 채용률을 보인 메인 탱커 무학입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메인 탱커 정진 0/10/0, 무도 무하 상호건 정진 8/1/1.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능상창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능상창법 무학 분석 1. 육성 딜링 무학으로, 주로 팔힘에 투자하고, 능력치 배분은 매우 자유롭습니다. 일반적으로 생존 능력 확보를 위해 근골을 부가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디버프 【서리】 발동 확률은 적의 면역률에 영향을 받으므로, 100%까지 올려도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없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전) 비문파 창곤 무학은 PVE 딜링이 전반적으로 약하며, 능상은 단일 대상 피해량은 낮지만, PVP에서 후열 공격 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적의 집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던전보다는 무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또는 0/0/10 또는 5/0/5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탕마창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탕마창결 무학 분석 1. 육성 후열 딜러 팔힘, 근골, 내식 투자.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며, 100% 광역 피해를 달성하려면 최소 23% 광역 피해 무기 + 보라색 곤 재능이 필요합니다. 2. 탕마창결의 공격 방식
3. 평가 탕마 운용 시 다음 두 가지 요소만 고려하면 됩니다. ① 집기, ② 체력 차이.
100레벨 정진 10/0/0 또는 9/0/1. 참고: "피해 증가"는 실제로 초식 발동 시의 공격력을 증가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진운창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운창법 무학 분석 1. 육성 단일 대상 딜링+광역 버프 무학으로, 4창 조합 필수 무학 중 하나입니다.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신규 유저는 4창 조합으로 초반 육성을 시작하지 마십시오. PVE 진행이 매우 답답하며, 이는 졸업 또는 느긋한 플레이 방식입니다. 2. 평가 단일 대상 피해량이 높고, 무도에서 우소설+진운 조합의 서브 탱커로 자주 사용됩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보조 캐릭터 0/10/0, 딜러 0/0/10 또는 0/1/9. 후열 공격 필요 시 정진 1단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 |
강호무학-내공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용상반야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용상반야공 무학 분석 1. 평가 가장 먼저 획득하는 비문파 진파 내공으로, 획득 후 일반적으로 메인 탱커/서브 탱커에게 사용합니다. 천일교 클리어 후에는 일반적으로 후열 딜러에게 전수하거나 버려지고, 팀은 천일신공, 건원공, 장생결, 만상마공(연왕부에서만) 등의 내공을 사용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십일검 정진 5/0/10, 보조 캐릭터 정진 10/5/0 또는 10/0/5. 용상 내공: 높은 확률로 상대방을 1턴 동안 평타 불가 상태로 만듭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이화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화결 무학 분석 1. 평가 초반 과도기 진파 내공 중 하나로, 생존 능력은 떨어지는 편이며, 딜링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천산 차선임무 【암기: 철망자】, 공절곡 순수유리체는 주인공이 이 내공을 장착해야 완료할 수 있습니다. 전수는 진무양 호감도 80 이상에서 후편까지 배워야 가능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이화 내공: 대상의 진원 수에 따라 최대 생명력 비례 피해를 입힙니다. 100레벨 최강 내공 효과 중 하나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일신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일신공 무학 분석 1. 평가 메인 탱커 졸업 내공 중 하나로, 가능한 한 빨리 접곡 정진을 완료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야선장을 메인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낮은 체력에서 발동 시 높은 보호막을 얻을 수 있으며, 보호막 파괴 시 아군 전체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반야 천일 (자체 완성) 정진 0/10/5.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벽파신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벽파신공 무학 분석 1. 평가 후열딜러 졸업 내공 중 하나로, 어떤 상황이든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초반(예: 고골문) 획득 속도가 빠르다면, 임시로 전열 내공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일부 높은 집기 요구 조합에서는 정진 3단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벽파 내공 효과는 공격 시 대상의 진원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보천가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보천가결 무학 분석 1. 평가
2. 평가(100레벨 이후) 일반적으로 체력 정진을 합니다. 하지만 후반 PVP, PVE 모두 활용하기 어려우며, 강화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현명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명경 무학 분석 1. 평가 후열 졸업 내공 중 하나로, 딜링 무학(혈조)이 부족하지 않다면 가능한 한 빨리 교환하는 것을 추천하며, 우선순위는 화혈술 다음으로 둘 수 있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5 또는 9/0/6. 현명 내공은 상대방의 강기를 깎을 수 있으며, 100레벨 최강 내공 효과 중 하나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태현진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현진경 무학 분석 1. 평가 획득 경로가 유일하며, 순전히 재력이나 운에 달려있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분뢰 십일검은 내공 정진을 고려할 수 있으며, 앙만은 힐러와 함께 치유 효과 정진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태현 내공은 자신이 받은 내공을 정화하고 단기간 내공에 면역이 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원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건원공 무학 분석 1. 평가 초반 육성 필수 내공으로, 획득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9/1/0, 0/1/9. 현재 버전에는 우수한 내공이 많아, 건원공은 100레벨 이후 PVE 등장률이 낮고, PVP에서는 활용되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혈마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혈마경 무학 분석 1. 평가 흡혈세팅 서브 탱커 졸업 내공으로,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힐러와 함께 사용할 경우 0/10/0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혈마 내공은 대상이 치유를 받을 때 피해를 입힙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만상마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만상마공 무학 분석 1. 평가 메인 탱커 과도기 내공 중 하나로, 현재 가장 큰 용도는 디버프 반사입니다.[3] 초반 육성 시 연왕부 엽내관 상대에 어려움이 없다면, 메인 탱커는 일반적으로 정진된 천일신공을 사용하므로, 이때 만상마공은 전방 서브 탱커, 후열 서브 딜러에게 전수하거나 메인 탱커에게 남겨두고 예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팀 구성이 쌍 힐러 또는 벽파 + 아무거나인 경우에 활용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9/1/0, 높은 숙련도에서는 0/1/9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만상 내공은 대상의 내공을 깎을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장생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생결 무학 분석 1. 평가 메인 탱커 졸업 내공 중 하나로, 연왕부 및 구유 진행에 큰 도움을 주므로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장생결 획득에는 류여의 호감도 80 이상 및 내공 수위 120이 필요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0/0/10. 장생 내공은 자신이 초식을 사용할 때 추가로 체력을 회복시켜 줍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청아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청아공 무학 분석 1. 평가 빠른 클리어 또는 특정 보스(예: 창옥 3층 장정과 메인 퀘스트 보스 동방삭) 공략에 사용되며,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0/0/10. 청아 내공은 대상이 회피할 때 피해를 입힙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순수유리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순수유리체 무학 분석 1. 평가 메인 탱커 과도기 내공 중 하나로, 느긋한 플레이어가 아닌 유저와 오래된 계정에게는 획득 시기가 매우 늦고, 성능은 평범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앙만 또는 힐러와 함께 사용할 경우 0/0/10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순수 내공은 자신이 초식을 사용할 때 영구적인 강기를 중첩시키지만, 방담현화는 회복량을 보장하기 위해 내력을 모아야 하므로, 이 둘은 서로 모순되어 순수 내공의 실전 효과는 좋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잠신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잠신공 무학 분석 1. 평가 반드시 배워야 할 졸업 필수 만능 내공, 구전현공 ProMaxUltra 버전, 전후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3/5/7번째 턴 시작 시 【천잠변】 1/2/3 중첩 획득, 소량의 공격력 및 방어력 획득; 빈사 상태에서 2턴 동안 무릎 꿇고 부활; 부활 후 【천잠변】 중첩 수에 따라 체력 회복 및 해당 중첩 수의 【화접】 획득, 막대한 공격력, 방어력 및 체력 회복 획득, 한 전투에 한 번만 발동 가능.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안정적인 화접 발동을 위해 0/0/10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천잠 내공은 액티브 스킬 사용 시 부활 후 체력 회복량을 증가시키며, 최대 5중첩 가능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창랑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창랑결 무학 분석 1. 평가 가성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며, 획득이 용이하여 초반 육성 시 용상반야공보다 우수하고 이화결보다 약간 좋습니다. 단점은 획득 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것입니다. 또한, 귀운도 비급은 PVE 딜링 신기술 중 하나이며, 교룡보도는 90레벨 최강 딜링 칼이므로, 창랑결을 얻지 않더라도 우선적으로 공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0/0/0 또는 0/10/0. 400 강기의 효과는 괜찮은 편이며, 창랑 내공은 적이 일반 공격을 받을 때 높은 확률로 많은 이로운 효과 (예: 협검, 사검 검기, 귀운의 녹색 혼원태 - 극태는 제거 불가)를 해제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귀운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귀운결 무학 분석 1. 평가 획득 난이도가 극히 높고, 입수 시기가 매우 늦으며, 졸업 메인 탱커 내공입니다. 전투력이 기준에 도달하면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정진 10/0/0, 앙만 또는 힐러와 함께 사용할 경우 0/10/0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귀운 내공은 상대방이 초식 공격을 받을 때 확률적으로 재사용 대기시간을 1턴 증가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설작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설작경 무학 분석 1. 평가 순수 무도 내공으로, 높은 숙련도를 요구합니다.
2. 정진 10/0/0 또는 0/10/0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기인요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평가 없음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합일신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평가 없음 | }}}}}}}}}}}} |
강호무학-경공 |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회백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회백전 무학 분석 1. 평가 과도기 경공으로, 패시브 효과가 모두 낮고, 신법 효율도 낮아 일반적으로 초반에 막힐 확률을 줄이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세 가지 정진 모두 매우 난해하며, 이 무학은 처음부터 끝까지 기획자의 악의로 가득 차 있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쇄성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쇄성보 무학 분석 1. 평가 정진 전에는 약한 편이나, 공절곡 정진 완료 후 서브 탱커 졸업 경공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파 경공은 실전에서 성능 향상이 크지 않으므로, 초반 유령도시 리롤시 벽파신공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고, 능력에 맞춰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주로 명중률 향상을 위해 정진 2단계를 선택하며, 정진 3단계는 실전에서 발동률이 낮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만리신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만리신행 무학 분석 1. 평가 유일한 장점은 30% 명중을 제공하여 도를 사용하는 동료에게 유용하다는 점입니다. 100레벨 정진 후 5% 피해 감소를 제공하며, 성능은 쓸 만한 정도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귀영미종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귀영미종 무학 분석 1. 평가 능파미보 축소판으로, 성능이 낮아 세력 상점에서 교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등급에 속합니다. 회피 2배 효과는 제한적이며 (최대치는 능파미보와 비슷할 수 있지만, 최소치는 50 진원을 낭비하는 것과 같습니다), 운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전후열 모두에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3.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효과는 거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운룡삼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운룡삼절 무학 분석 1. 평가 운충삼절이라고도 불리며, 극락곡 이전 남자 캐릭터 유일의 3단 점프 경공입니다. 현재 버전에서는 구유옥이 남아돌아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아니라면 교환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경공 수련치 +60.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2단계에서 피해 감소 5%를 제공하지만, 특별한 효과가 없고 기본 속도가 너무 낮아 활용할 기회가 없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능파미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능파미보 무공 분석 1. 평가 메인 탱커 최강 경공으로, 100레벨 이후 효과가 다소 감소하지만 여전히 최강입니다. 피해 감소 수치 참고: 신법 72 시 7%, 174 시 8%, 334 시 9%.
2. 평가(100레벨 이후) 주로 정진 1단계를 선택하여 무도 시작 시 속도를 높이고, PVE에서는 정진 2/3단계를 고려하여 생존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유행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유행보 무공 분석 1. 평가 연계 공격 무학과 함께 사용하며, 특히 검법과 궁합이 좋습니다. 100레벨 이전에는 3%의 연격 확률을 제공하여 검법으로 100% 연계를 맞추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00레벨 이후 정진 2단계를 통해 총 13%의 연격 확률을 확보하여 신법 투자를 줄일 수 있으며, 성운검 빌드에 필수적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신공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공행 무공 분석 1. 평가 졸업 필수 만능 경공 중 하나로, 전후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경공이며, "매화보 플러스"라고 불립니다. 초반에는 주로 무하곤법 메인 탱커가 사용하며, 중후반에는 상황에 따라 천원, 팔보, 능파 등 다른 경공으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 피해 감소 수치 참고: 신법 117 시 5%, 332 시 6%.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2단계는 무도 무하 상호건에 적합하며, 정진 1단계는 대부분의 딜러 동료에게 적합합니다. 100레벨에서의 역할은 90레벨과 유사한 만능 경공입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원락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원락 무공 분석 1. 평가 6% 피해 감소 효과는 신법이 필요 없으며, 액티브 스킬의 명중률 상승 효과가 뚜렷하여 재사용 대기시간이 긴 도법 동료에게 적합합니다. PVE에서 파티원 전체에게 적용되는 시간이 길어, 전열에 사용하면 안정적인 6% 피해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정진 1단계는 무도 시작 시 속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며, 정진 2단계는 상당한 양의 영구적인 명중률을 제공하고, 정진 3단계는 짧은 시간 동안 팀 전체의 명중률을 높여 무도 팀의 폭발적인 딜링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천마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천마무 무공 분석 1. 평가 PVE에서는 쓸모가 없고, 순수 무도 경공이며, 획득 조건이 까다롭고, 피해 감소 수치가 낮아 초반에는 은화를 낭비하며 구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평가(100레벨 이후) 주로 정진 1단계를 선택하여 선수를 잡고 상대방의 시작 궁극기를 끊는 데 사용하지만, 안정적이지는 않습니다. 무도 보조 캐릭터인 무령아나 능연 등과 조합하여 상대방의 공격 템포를 무너뜨리는 데 적합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추혼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추혼보 무공 분석 1. 평가 초반 육성용 무학이 아니며, 100레벨 이후에 획득할 수 있습니다. ※ 피해 감소 수치 참고: 몸놀림 117 시 5%, 332 시 6%. 2. 정진 정진 1단계는 상당한 양의 영구적인 명중률을 제공하고, 정진 3단계는 액티브 스킬 세 번째 공격의 폭발력을 증가시킵니다. 무도 추혼귀보와 분뢰검법은 공격 템포가 잘 맞아 무도에서 활용하기 좋으며, PVE 효과는 평범합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팔보간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팔보간선 무공 분석 1. 평가 전열 경공으로, 피해 감소 버프에 지속 턴과 발동 횟수 제한이 있어 PVE 대부분의 상황에서 높게 중첩하기 어려우며, 신공행, 천원락 등 안정적인 피해 감소 효과를 가진 경공보다 성능이 떨어집니다. 3. 평가 (100레벨 이후) 정진 3단계는 무도 전열 무하 상호건에 적합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성능이 높지 않습니다. | }}}}}}}}}}}}{{{#!wiki style="min-width: 90px; margin: 5px 0 0; 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기풍보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평가 없음 | }}}}}}}}}}}} |
[1] 피격 시 다음턴에 반드시 사망하는 천일교 강자의의 탈명도 등[2] 4창 조합에서의 탱커용 무공은 진운창법이 주로 사용됨.[3] 주의: 반사 ≠ 이전. 특정 디버프를 반사한 후 자신이 얻는 해당 디버프는 면역되지 않으면 여전히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