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5:36:55

남풍세IC

남풍세 나들목
南豊歲 나들목
South Pungse Interchange
남풍세 요금소
South Pungse Tollgate
논산 방면
정안IC
← 12.3 km
파일:Expressway_kor_25.svg
풍세TG(폐지)   
세종 방면
운당교차로
← -.- km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3)]
세종평택로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가송리
관리기관
논산천안선 천안논산고속도로(주)
세종평택로 평택시
개통
2014년 7월 29일

1. 개요2. 구조
2.1. 논산천안고속도로
2.1.1. 천안 방향(상행선)2.1.2. 논산 방향(하행선)
2.2. 세종평택로
2.2.1. 평택 방향2.2.2. 세종 방향
3. 역사4. 특징5. 둘러보기 틀

1. 개요

논산천안고속도로 35-1번.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위치한 논산천안고속도로세종평택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풍세면에서 유래했다. 계획·건설 당시 가칭은 '가송 나들목'이었다. 천안시,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특히 조치원권)에서의 고속도로 접근성을 더 높이기 위해 신설된 나들목이다.

2. 구조

2.1. 논산천안고속도로

2.1.1. 천안 방향(상행선)

2.1.2. 논산 방향(하행선)

2.2. 세종평택로

2.2.1. 평택 방향

2.2.2. 세종 방향

3. 역사

  • 2009년 - 남풍세IC의 공사가 시작되었다.
  • 2014년 7월 23일 수요일 -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남풍세IC의 개통 시기를 공식 발표했다.
  • 2014년 7월 29일 화요일 15:00 - 서순천IC 기점 269.6km에서 개통됐다.
  • 2016년 11월 11일 금요일 00:00 - 풍세TG의 영업 종료로 천안 방면으로 오갈 때 이중 현금 수납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1]

4. 특징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재지에서 약 3km 가량 떨어져 있다. 정확하게는 나들목 및 톨게이트 나와서 남쪽으로 방향을 트는 순간 잠시 후 세종특별자치시(구 충청남도 연기군) 일원이다. 이름은 남풍세IC로서 풍세면 진출을 위해 만든 나들목이지만 남풍세TG와 진출로 모두 남쪽으로 나 있는데, 이는 사실 계획 당시부터 이 나들목과 개통 이전 남천안IC의 주 용도가 수도권에서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으로의 진출입 목적이 풍세면보다 더 강했기 때문. 수도권 반대방향 한정 남풍세 나들목은 기존 남천안IC가 가장 접근성이 용이했던 아산시배방읍, 탕정면 등 일원의 고속도로 접근성 개선 효과도 노리는 곳이다.

평택-세종43번 국도가 완전 개통되면서, 이 나들목에서 진출하면 고속화도로인 43번 국도를 경유하여 논스톱으로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화성)로 직결이 가능하다. 덕분에 수도권 서남부(인천, 서수원 등)에서 호남으로 가는 빠른 경로가 신설되었다.[2] 하지만 동시에 서해안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의 정체를 회피하는 차량들이 이 도로로 대거 몰리면서 남풍세IC의 고속국도 합류부와 국도 진입부가 새로운 헬게이트가 될 가능성을 선사하고 있다.[3] 세종평택로로 이어지는 길은 오산-수원, 화성시 서부- 의왕-과천-사당으로 이어지고, 경부고속도로는 안성-동탄-용인(동수원)-성남-양재-서초 나들목으로 이어지는데, 목적지에 더 가까운 쪽 이용하는 것이 보통은 편리하다. 세종평택로의 이용 권역은 이제 익산평택고속도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면 명칭 앞에 방위를 추가한 나들목의 명칭은 이 나들목이 사실상 최초이다. 아무래도 당시 정상 영업했었던 풍세 요금소의 이름을 바꾸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16년에 읍 명칭에 방위를 부가한 동곤지암 나들목이 신설되었고, 한 달 후인 12월 21일에 면 명칭에 방위를 추가한 동둔내 나들목이 신설되었다.2017년에 면 명칭에 방위를 추가한 세 번째 나들목인 남진례 나들목이 신설되었다.

천안방향 고속도로 진출로에 40km/h 이동식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세종평택로 개통으로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자 이로 인한 선제적 대응차원에서 설치한 듯하다.

호남고속도로 연선 및 충청남도 중남부 지역과 아산 시내(온양)를 오가려면 이 나들목을 경유하는 것이 빠르다. 또한 북쪽으로 당진청주고속도로 서천안IC와 간접 연계된다.

요금소 간판 디자인의 경우 2009년 첫 개발된 타원형이 아닌 2011년 이전까지 쓰던 사각형이다. 따라서 한글/영문 표기는 하나의 간판에 다 들어가지 않고 [남풍세], [South Pungse]로 나뉘어 기입됐다.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25.svg
고속국도 제25호선
구간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고속도로 서순천IC(파일:Expressway_kor_10.svg) - 순천SA - 승주IC - 주암IC - 주암SA - 석곡IC - 곡성IC - 곡성기차마을SA - 옥과IC - 대덕JC(파일:Expressway_kor_253.svg) - 창평IC - 고서JC(파일:Expressway_kor_12.svg)1 -
동광주TG1 - 문흥JC(파일:Expressway_kor_12.svg)1 - 동광주IC - 용봉IC - 서광주IC - 동림IC - 산월IC - 광산IC - 북광산IC - 광주TG - 남장성JC(파일:Expressway_kor_500.svg) - 장성IC - 북장성IC - 장성JC(파일:Expressway_kor_253.svg) -
백양사SA - 백양사IC - 내장산IC - 정읍IC - 정읍녹두장군SA - 태인IC - 금산사IC - 김제IC - 이서SA - 서전주IC - 전주IC - 삼례IC - 익산JC(파일:Expressway_kor_204.svg) -
익산IC - 여산SA - 논산JC(파일:Expressway_kor_251.svg)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JC(파일:Expressway_kor_251.svg) - 연무IC - 서논산IC - 탄천IC - 탄천SA - 이인SA - 남공주IC - 공주JC(파일:Expressway_kor_30.svg) - 북공주JC(파일:Expressway_kor_30.svg) - 정안알밤SA - 정안IC -
남풍세IC - 남천안IC - 천안JC(파일:Expressway_kor_1.svg)
1. 제12호선과 중첩되는 구간 }}}}}}}}}


[1] 서순천 방면의 남논산TG도 마찬가지. 단 두 요금소 모두 원톨링 센서로 다시 지어졌기에 하이패스 수납은 계속된다.[2] 인천 및 경기도 서/남부에 소재한 인천종합터미널, 김포공항 및 인천공항(1/2)터미널, 안산버스터미널, 부천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 등에서 출발하는 충남 중/남부 및 호남고속버스시외버스들이 43번 국도를 경유해 이 나들목으로 진입한다.[3]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은 2023년 상반기 당진청주고속도로(아산-천안)가 개통돼 아산IC서천안IC로 분산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