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1 14:42:30

남평왕

南平王

1. 형남 무신왕 고계흥2. 남한 열종 양황제 유은3. 다이비엣(大越, 대월국) 왕의 칭호4. 서하 남평왕 이현

1. 형남 무신왕 고계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계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계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계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남한 열종 양황제 유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은(남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은(남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은(남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다이비엣(大越, 대월국) 왕의 칭호

전 레 왕조에서는 997년[1]리 왕조에서는 1087년에 남평왕[2]에 책봉되었다. 송사에 따르면, 송나라는 새 황제가 즉위하면 교지군왕(交趾郡王)의 칭호를 부여하였고, 추후 남평왕으로 격상해 주었고, 사후에는 시중 남월왕의 칭호를 부여하였다.

4. 서하 남평왕 이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제(서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말제(서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말제(서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전 레 왕조의 레호안.[2] 정선 이씨의 시조이자 고려때인 12세기 초 금나라와의 전쟁을 피해 한반도에 들어와 경북 경주에 정착한 이양혼의 아버지 안남국(安南國. 현 베트남)왕 신문무황제(神文武皇帝) 인종(仁宗). 베트남/역사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