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왕관자리 분자운 Corona Australis Molecular Cloud | ||
<nopad>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남쪽왕관자리, 궁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분자운[1] | |
거리 | 약 430 광년 약 132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55' x 18' | |
명칭 | ||
남쪽왕관자리 분자운 |
1. 개요
남쪽왕관자리 분자운남쪽왕관자리 분자운은 남쪽왕관자리와 궁수자리 끝부분 방향에 있는 분자운이다.
2. 상세
국부 거품 끝부분에 걸쳐 있는 분자운으로 지구에서 제일 가까운 별 형성지역이다. 분자운의 전체 질량은 7,000 태양 질량에 이르며 분자운에 있는 대부분의 성운은 암흑성운 또는 반사성운으로 분자운에서 생겨난 항성들의 빛을 반사해서 빛나는 중이다.여담으로 같은 시선에 놓여있는 남쪽왕관자리 알파, 남쪽왕관자리 베타, 남쪽왕관자리 감마, 남쪽왕관자리 엡실론은 관련이 없는 별개의 물체이다.
3. 구성 천체
3.1. NGC 6729
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콜드웰 천체 | ||||
C 67 화로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C 68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및 발광성운 | → | C 69 전갈자리의 행성상성운 |
NGC 천체 | |||||
NGC 6728 독수리자리-방패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6729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및 발광성운 | → | NGC 6730 공작자리의 타원은하 |
NGC 6729 | ||
<nopad> [2]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01m 54.1s |
적위 | −36° 57′ 12″ | |
별자리 | 남쪽왕관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반사성운[3] 및 발광성운 | |
거리 | 약 498 광년 약 153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9.5[4]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2.5′ × 2.0′ | |
명칭 | ||
NGC 6729, C 68 |
3.1.1. 개요
NGC 6729는 남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약 498광년 떨어진 변광성운 및 발광성운이다.3.1.2. 상세
1861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요한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스미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발광성운이자 중심에 있는 전주계열성인 남쪽왕관자리 R 별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성운이기도 하다. 남쪽왕관자리 R 별이 변광성이기 때문에 별의 빛을 반사하는 NGC 6729 성운도 몇주 또는 몇달에 따라 밝기가 변하며 색깔도 처음 관측했을 때보다 붉게 변했다고 한다.[5]3.1.2.1. 코로넷 성단
코로넷 성단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01m 54s |
적위 | −36° 57.2′ | |
별자리 | 남쪽왕관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최대 8.0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26' | |
지름 | 2.1 광년 | |
명칭 | ||
코로넷 성단, 남쪽왕관자리 R 성단 |
3.1.2.1.1. 개요
코로넷 성단은 남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약 498광년 떨어져 있는 산개성단이다.3.1.2.1.2. 상세
남쪽왕관자리 R별을 중심으로 하는 산개성단으로 NGC 6729를 비춰주는 광원이다.오리온성운보다 3배 더 가까이 있음에도 분자운의 성간먼지로 인해 8등급까지 겉보기 등급이 낮아졌고 게다가 중심별인 남쪽왕관자리 R별이 9등급에서 13등급으로 변하는 변광성이기 때문에 겉보기 등급은 최소 13등급까지 내려간다.
분자운에 있는 만큼 대부분의 별들이 전주계열성 또는 황소자리 T형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몇개는 원시 행성계 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2. NGC 6726/NGC 6727
NGC 천체 | |||||
<colbgcolor=white> NGC 6725 망원경자리의 렌즈형은하 | <colbgcolor=white> ← | NGC 6726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 <colbgcolor=white> → | <colbgcolor=white> NGC 6727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 |
NGC 6726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 ← | NGC 6727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 → | NGC 6728 독수리자리-방패자리의 산개성단 |
NGC 6726/6727 | ||
<nopad> [6]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03m 09.9s |
적위 | −36° 51′ 30.9″ | |
별자리 | 남쪽왕관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반사성운[7]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80′ × 80′ | |
명칭 | ||
NGC 6726, NGC 6727 |
3.2.1. 개요
NGC 6726 및 NGC 6727은 중심별인 남쪽왕관자리 TY에 의해 빛나는 반사성운이다.3.2.2. 상세
이 성운도 변광성운으로 중심별인 남쪽왕관자리 TY가 8등급에서 12등급로 변하는 변광성이기 때문에 반사성운의 밝기도 그에 따라 변한다.이외에도 남쪽왕관자리 T,VV가 NGC 6726과 NGC 6727 성운 안에 있으며 모두 전주계열성으로 추정된다.
3.3. IC 4812
IC 천체 | |||||
IC 4811 공작자리의 나선은하 | ← | IC 4812 남쪽왕관자리의 반사성운 | → | IC 4813 공작자리의 나선은하 |
IC 4812 | ||
<nopad> [8]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9h 02m 35s |
적위 | −37° 01′ 39.8″ | |
별자리 | 남쪽왕관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반사성운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0′ × 6.92′ | |
명칭 | ||
IC 4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