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1:55:07

남아프리카 공화국-대만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프리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다자관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에스와티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볼드체 표시는 대만의 수교국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아프리카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관계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만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1.1. 1990년대
2.2. 21세기
2.2.1. 2000년대2.2.2. 2010년대2.2.3. 2020년대
3. 경제 교류4. 문화 교류
4.1. 스포츠
5. 대표부6. 여담7. 관련 기사8. 관련 문서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대만 관계남아프리카 공화국대만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90년대 중반에 남아공이 중국과 수교하면서 관교됐다. 남아공은 대만과 단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을 따르고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1.1. 1990년대

1993년, 만델라 전 대통령이 대만을 방문해 리덩후이 총통으로부터 특종대수경성훈장을 받았다.#

1996년 6월 8일, 남아공 측이 대만과 단교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12월 1일, 대만 측이 남아공의 단교 선언에 남아공을 방문하기로 했다.#

1997년 12월 13일, 남아공이 12월 28일에 중국과 수교한다고 밝히면서 대만과 단교했다.#

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2년 6월 28일, 남아공 측이 천수이볜 총통의 전용기 착륙을 불허했다.#

2.2.2. 2010년대

2013년 12월 6일, 대만 측은 만델라 전 대통령 사망 소식에 애도를 표했다.#

2017년 6월 16일, 대만 측이 대만의 아프리카 수교국들을 지키기 위해 에스와티니, 남아공, 모잠비크를 방문하는 대만 대표단을 지원하기로 했다.#

2.2.3. 2020년대

2021년 1월 24일, 대만에서 남아공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7월 12일, 남아공에서 대만 기업 머스텍(Mustek)의 사무실이 습격당했다.#

11월 28일, 대만 측은 오미크론 변이를 막기 위해 남아공, 보츠와나, 짐바브웨, 나미비아, 레소토, 에스와티니 등 남아프리카 6개국 출신 외국인의 방문을 막는다고 밝혔다.#1#2

2024년 10월 22일, 대만 측은 중국의 외교적 고립에 맞서서 주 남아공 대만 대표부의 이전을 거부한다고 밝혔다.#1#2

2025년 2월 3일, 남아공 측이 중국의 압력으로 프리토리아의 주 남아공 대만 대표처 이전을 요구하자 대만 측이 반발했다.#

4월 1일, 대만 측은 남아공 대만 대표처가 이전 시한 종료 뒤에도 운영중이라고 밝혔다.#

3. 경제 교류

2015년 10월 14일, 대만과 남아공, 싱가포르가 환율 정책을 고삐를 풀었다.#

4. 문화 교류

남아공에서 대만 버블티가 인기를 끌고 있다.#1#2

4.1. 스포츠

2001년 11월 12일, 대만 야구팀이 남아공 야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

2008년 3월 13일,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대만 야구팀이 남아공 야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

2015년 2월 19일, 루옌쉰 대만 테니스 선수가 남아공 테니스 선수와의 경기에서 승리했다.#

5. 대표부

주 남아공 대만 대표부가 프리토리아에 위치해 있다.

6. 여담

남아공의 IT시장에 대만이 진출해 있다.#

대만의 한 불교계 자선 단체가 남아공의 한 마을에서 자비행을 실천해 화제가 됐다.#

7. 관련 기사

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