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6:27:52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파일:슈퍼글로벌대학_투명.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슈퍼글로벌대학 《TOP형》 지정교
국립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쓰쿠바대학
도쿄대학 도쿄의과치과대학
도쿄공업대학 나고야대학 교토대학
오사카대학 히로시마대학 규슈대학
사립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슈퍼글로벌대학 《글로벌화 견인형》 지정교
국립 치바대학 도쿄외국어대학 도쿄예술대학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가나자와대학 토요하시기술과학대학
교토공예섬유대학 오카야마대학 구마모토대학
나라선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
공립 국제교양대학 아이즈대학
사립 국제기독교대학 시바우라공업대학 조치대학
토요대학 호세이대학 메이지대학
릿쿄대학 소카대학 국제대학
리츠메이칸대학 간세이가쿠인대학 APU
}}}}}}}}} ||

1. 개요2. 역사
2.1. 헤이세이2.2. 레이와

1. 개요

일본의 국립 기술과학대학이다. 니가타현 나가오카 소재. #

2. 역사

  • 쇼와 47년 8월 15일: 문부성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관련 조사연구회의” 설치
  • 쇼와 48년 12월 27일: 쇼와 49년도 예산 정부안에서 기술과학대학원(가칭)의 나가오카시 설치 결정
  • 쇼와 49년 4월 11일: 도쿄공업대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창설 준비실” 설치
  • 쇼와 49년 8월 29일: 문부성에 “기술과학대학원(가칭) 교육과정 및 시설 등 조사회” 설치
  • 쇼와 51년 5월 25일: 국립학교설치법 일부 개정을 위한 법률(쇼와 51년 법률 제26호) 시행에 따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신설 공포
  • 쇼와 51년 10월 1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개교 및 사무국을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내에 설치
  • 쇼와 52년 4월 18일: 공학부에 기계시스템공학과정, 창조설계공학과정, 전기·전자시스템공학과정, 전자기기공학과정, 재료개발공학과정, 건설공학과정 설치
  • 쇼와 52년 12월 1일: 사무국을 나가오카시 카미토미오카초 1603-1(현재 위치)으로 이전
  • 쇼와 53년 4월 1일: 어학센터 설치
  • 쇼와 53년 4월 18일: 제1회 학부 입학식 실시
  • 쇼와 54년 4월 1일: 체육·보건센터 설치
  • 55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석사과정) 설치 (기계시스템공학전공, 창조설계공학전공, 전기·전자시스템공학전공, 전자기기공학전공, 재료개발공학전공, 건설공학전공) 및 분석측정센터 설치
  • 쇼와 55년 4월 3일: 제1회 대학원 입학식 실시
  • 쇼와 56년 4월 1일: 기술개발센터 및 계산기센터 설치
  • 쇼와 57년 1월 30일: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기술개발 교육연구진흥회” 설치
  • 쇼와 57년 3월 1일: 라디오동위원소센터 설치
  • 쇼와 57년 4월 1일: 공작센터 설치
  • 쇼와 59년 4월 1일: 음향진동공학센터 설치
  • 쇼와 59년 11월 1일: 입자빔공학센터 설치 (헤이세이 11년 4월 1일 폐지)
  • 쇼와 61년 3월 25일: 국제교류회관 준공
  • 쇼와 61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박사과정 설치 (재료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전공) 및 이학센터 설치
  • 쇼와 61년 4월 23일: 쇼와 61년도 대학원 공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 입학식 실시
  • 쇼와 61년 10월 1일: 개교 10주년 기념식 실시
  • 쇼와 62년 3월 25일: 본 학과 공학박사 학위 수여 (제1호)
  • 쇼와 62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정보·제어공학전공(박사후기과정) 설치
  • 쇼와 63년 4월 8일: 계산기센터를 정보처리센터로 개칭

2.1. 헤이세이

  • 헤이세이 원년 4월 1일: 공학부에 생물기능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원년 12월 1일: 논문 제출에 의한 공학박사 학위 수여 (제1호)
  • 헤이세이 4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생물기능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6년 4월 1일: 공학부에 환경시스템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8년 10월 4일: 개교 20주년 기념식 실시
  • 헤이세이 9년 6월 1일: 멀티미디어시스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0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환경시스템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11년 4월 1일: 극한 에너지 밀도 공학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12년 4월 1일: 공학부 기계시스템공학과정 및 창조설계공학과정을 기계창조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 전기·전자시스템공학과정 및 전자기기공학과정을 전기전자정보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에 경영정보시스템공학과정 설치
  • 헤이세이 14년 4월 1일: 유학생센터 및 테크노인큐베이션센터 설치
  • 헤이세이 15년 4월 1일: e러닝 연구실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6년 4월 1일: 국립대학법인 나가오카기술과학대학 설립; 대학원 공학연구과 기계시스템공학전공 및 창조설계공학전공을 기계창조공학전공으로, 전기·전자시스템공학전공 및 전자기기공학전공을 전기전자정보공학전공으로 개편;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경영정보시스템공학전공(석사과정) 설치
  • 헤이세이 17년 4월 1일: 고성능 마그네슘공학연구센터 및 지적재산센터 설치
  • 헤이세이 18년 4월 1일: 대학원 기술경영연구과 시스템안전전공(전문직 대학원) 설치
  • 헤이세이 18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생물통합공학전공(박사후기과정) 설치 및 아시아 그린테크 개발센터 설치
  • 헤이세이 18년 10월 1일: 개교 30주년 기념식 실시
  •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교육방법개발센터 및 공통교육센터 설치
  • 헤이세이 19년 10월 1일: 산학융합 톱러너 양성센터 설치
  • 헤이세이 20년 3월 27일: 30주년 기념 학생 기숙사 준공
  • 헤이세이 20년 4월 1일: 유학생센터를 국제센터로 개명 및 안전안심사회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21년 5월 1일: 메탄 고도 이용 기술연구센터 설치
  • 헤이세이 23년 4월 1일: 국제센터를 국제연계센터로 개편
  • 헤이세이 23년 11월 1일: 기술지원센터 설치
  • 헤이세이 24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원자력 시스템 안전공학전공 설치
  • 헤이세이 25년 9월 1일: 기학 이노베이션 추진센터 설치
  • 헤이세이 27년 4월 1일: 대학원 공학연구과에 5년 일괄제 박사과정(기술과학 이노베이션 전공) 설치; 대학원 공학연구과 건설공학전공 및 환경시스템공학전공을 환경사회기반공학전공으로 개편; 대학원 공학연구과 재료개발공학전공을 물질재료공학전공으로, 경영정보시스템공학전공을 정보·경영시스템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공학부 건설공학과정 및 환경시스템공학과정을 환경사회기반공학과정으로 개편; 공학부 재료개발공학과정을 물질재료공학과정으로, 경영정보시스템공학과정을 정보·경영시스템공학과정으로 명칭 변경
  • 헤이세이 28년 10월 7일: 개교 40주년 기념식 실시

2.2. 레이와

  • 레이와 원년 7월 1일: 테크노인큐베이션센터와 지적재산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제산학연계센터(신설)로 이관; 수리·데이터 사이언스 교육연구센터 설치
  • 레이와 2년 4월 1일: 학생종합지원센터 설치
  • 레이와 3년 3월 1일: e러닝 연구실천센터, 정보처리센터, 멀티미디어시스템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종합정보센터로 이관
  • 레이와 3년 4월 1일: 시스템안전전공(전문직 대학원)을 시스템안전공학전공(석사과정)으로 개편
  • 레이와 3년 9월 1일: 지역방재실천연구센터 설치
  • 레이와 4년 4월 1일:
  • 공학부의 기계창조공학과정, 전기전자정보공학과정, 물질재료공학과정, 환경사회기반공학과정, 생물기능공학과정, 정보경영시스템공학과정을 공학부 공학과정으로 개편;
  • 대학원 공학연구과 석사과정의 기계창조공학전공, 전기전자정보공학전공, 물질재료공학전공, 환경사회기반공학전공, 생물기능공학전공, 정보·경영시스템공학전공, 원자력시스템안전공학전공을 공학전공으로 개편;
  • 대학원 공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의 정보·제어공학전공, 재료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전공, 생물통합공학전공을 선단공학전공으로 개편;
  • 교원 조직을 기계계, 전기전자정보계, 정보·경영시스템계, 물질생물계, 환경사회기반계, 양자원자력계, 시스템안전계, 기술과학이노베이션계, 기초공통교육계로 개편;
  • 아시아그린테크개발센터와 메탄고도이용기술연구센터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글로벌·지역자원순환센터(신설)로 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