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급, |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다이호, |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 군수지원함 |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제1호형 수송함 |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1. 개요
長良型軽巡洋艦일본 제국 해군의 경순양함.
주로 구축대나 잠수함대의 기함으로 활약하여 호위나 지역 방어 임무에 활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비교적 우수한 활약을 보여줬다. 1번함 나가라는 미드웨이 해전에서 항공모함 아카기에서 퇴함해 온 나구모 주이치 제독과 참모들이 사령기를 올린 함으로도 유명하다.
처음 개발은 5,500톤급 경순양함 을형 또는 쿠마급改라고 불리며 시작되었고, 나가라급이란 명칭은 1번함에서 따왔다.[1] 여기서부터 건조 당시부터 61cm 어뢰를 장착하기 시작했다.[2]
2. 제원
| 종류 | 경순양함 |
| 배수량 | 5,659톤 |
| 길이 | 162.1m(전체), 158.6m(수면) |
| 전폭 | 14.2m |
| 흘수선 | 4.8m |
| 출력 | 9만 마력 |
| 속력 | 36노트 |
| 항속거리 | 11,000km(14노트) |
| 승무원 | 450명 |
| 무장 | 7 x 14cm/50 3년식 함포 |
| 2 x 8cm/40 3년식 함포 | |
| 2 x 6.5mm 기관총 | |
| 4 x 2연장 61cm 어뢰발사관 | |
| 기뢰 48발 | |
| 장갑 | 측면 60mm, 갑판 30mm |
3. 개량
원래는 수상기 캐터펄트가 있지만 태평양 전쟁 중 배수량 유지와 함께 대공무장 증설을 이루기 위해서 제거되고 1943~1944년엔 생존함들에 레이더도 장착되었다.2번함 이스즈는 독특한 개조를 받아서 유일하게 대공 대잠 전용 순양함이 되었다. 기존 14cm 주포가 철거되고 그 대신 3기의 12.7cm 89식 연장 대공포와 94식 사격 관제 장비가 설치되고 96식 대공기관포가 3연장 11기, 단장 17기가 장착되고 폭뢰 레일도 설치되었다. 그리고 최신 레이더와 수중 청음기, 소나를 장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