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3 14:50:25

나 혼자 만렙 뉴비(웹툰)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나 혼자 만렙 뉴비
I’m the Max-Level Newbie
파일:나만뉴.jpg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dddddd> 장르 탑등반, 게임빙의, 헌터
원작 메슬로우 《나 혼자 만렙 뉴비
작가 각색: WAN.Z
작화: 스윙뱃
출판사 레드아이스 스튜디오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1. 07. 29. ~ 연재 중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5세 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해외 연재
4. 등장인물5. 설정6. 평가7. 원작과의 차이점8. 논란9. 기타

[clearfix]

1. 개요

동명의 웹소설 《나 혼자 만렙 뉴비》를 원작으로 한 한국의 판타지 웹툰. 각색은 WAN.Z, 작화는 스윙뱃이 담당했다.

2. 줄거리

PV
게임 너튜버로 활동 중인 주인공 진혁은 유일하게
[시련의 탑]의 엔딩을 봤지만, 게임의 인기가 하락하여
더 이상 게임 너튜버로서의 삶도 유지하기 힘들어진다.

엔딩을 보았기에 이대로 게임을 마무리하려는 진혁.
바로 그날, [시련의 탑]은 현실이 되었다.
게임의 모든 요소를 다 알고 있는 진혁은
누구보다 빠르게 모든 것을 차지한다!

"진짜 고인물이 뭔지 보여주지."

3. 연재 현황

네이버 웹툰에서 2021년 7월 29일부터 매주 금요일에 연재된다.

3.1. 해외 연재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해외 연재 여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min(0.9em, 3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2021년 9월 19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태국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ผู้เล่นหน้าใหม่เลเวลแมกซ์) (링크)
  • 2021년 9월 21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인도네시아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I'm the Max-Level Newbie) (링크)
  • 2021년 10월 11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프랑스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I'm the Max-Level Newbie) (링크)
  • 2021년 11월 16일부터 Tappytoon(태피툰)의 영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I’m the Max-Level Newbie) (링크). 또한 2022년 2월 26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영어 페이지에도 같은 제목으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링크)
  • 2021년 11월 18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이자 일본의 출판 만화 전자책 서비스인 LINE 망가에서 일본어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俺だけレベルMAXなビギナー) (링크) (관련 트윗)
  • 2021년 11월 22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중국어 정체(대만)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滿級新手) (링크)
  • 2021년 12월 16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독일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제목: I'm the Max-Level Newbie) (링크)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 혼자 만렙 뉴비/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 혼자 만렙 뉴비/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include(틀:토론 합의, 합의사항1=틀:평가/네이버 웹툰을 생성, 토론주소1=ChunkyRoughGodlyStart
, 합의사항2=디자인 고정을 해제하되\, 네이버 시리즈만이 아닌 네이버 웹툰을 지원한다, 토론주소2=MindlessQuickestUltraBear)]
파일:네이버 웹툰 가로 로고.png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series?productNo=6430046|별점 9.77 / 10 {{{#!wiki style="display:inline;display:1348;"]]'''
2022. 05. 06. 기준


7. 원작과의 차이점

  • 주인공의 성격이 원작보다 많이 개선되었다. 이기기 위해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는 극한의 이기주의를 보여주었던 원작보단 동료들을 조금 더 신경쓰는 모습을 보이고 민간인들의 안위도 신경 쓰는[3] 전형적인 혼돈 선 캐릭터가 되었다.
  • 원작에서는 까마귀 길드의 전 마스터 신건수가 박하진에게 유적 타락한 자들의 회랑에서 강진혁을 처리하라고 시켰으나 박하진 등 암살자들이 유적 안에서 이를 눈치챈 강진혁에게 살해당했다. 반면 웹툰에서는 강진혁을 죽이려 작당한 정황이 생략되고 그냥 죽이려 했으니 길드 건물로 쳐들어간 것만 나왔으며, 박하진도 그 건물 안에서 신건수에게 깨지고 있었다.
  • 벨루스 전투신, 마인 협회와의 첫 접촉, 무도회 천유성 전투신 등은 통편집되었다.
  • 카지노 편에선 앨리스의 분량이 대폭 늘어났다.
  • 3층 보스와 싸울 때 이중첩자를 만들었지만 웹툰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 유천영을 치료할 때 엘릭서의 설정이 모든 것을 고치는 영약이었는데 마력 폭주증을 해결하기 위해 별의 가호와의 융합이 필요했다는 소설 원문이 설정 오류라고 생각했는지 웹툰에서는 단순히 엘릭서를 흡수시키는 것만으로도 병이 낫는다.
  • 웹툰에 유천영이 강진혁에게 유연화와의 혼인을 권유하고 강진혁이 요구했던 쌍룡검에도 혼수라는 메모지를 붙여 보내는 등 원작에서는 없었던 장면을 추가했다.
  • 4층 보스의 과거사가 추가되었다.
  • 릭과의 만남이 일부 수정됐다. 그 후 정신병동으로 갈 때 테레사가 같이 가는데 혼자 가는 소설과 내용이 완전히 달라졌다.
  • 안드리아와의 만남이 변경됐다.
  • 5층 공략에 테레사는 원작에선 등장도 하지 않았는데, 웹툰에선 같이 공략하고, 큰 비중을 차지한다.
  • 세력선택 과정에서의 아웃브레이크 장면의 전개가 상당히 바뀌었다. 우선 절망을 부르는 뿔피리에 대한 설명이 상당수 생략되었다.[4] 원작에선 모용수가 랴오위에게 뿔피리를 불게 직접 넘겨주었으나, 웹툰에선 랴오위가 모용수의 뿔피리를 넘겨달라는 명령을 거절하고 직접 불며 강진혁을 진짜로 당황하게 한다. 또한 중국에 3대 재앙이 현현하는 결과는 강진혁이 의도한 것이진 불명.[5] 일단 원작에선 3대 재앙의 중국인 대량학살에 일말의 죄책감도 가지지 않았으나 웹툰에선 학살을 보고 주먹을 꽉 쥐며 굳은 얼굴로 아무 말도 없이[6] 중국으로의 게이트로 간다.[주의]
  • 10층 보스의 대화 장면이 전부 잘렸다. 원작에서는 메두사의 머리의 효과인 석화와 보스의 무적의 양립할 수 없는 절대판정을 충돌시켜 쓰러뜨렸지만 웹툰에선 보스가 필드 전체에 건 중력 강화를 결계 스킬로 증폭시켜 골렘에게만 적용되도록 하여 형체도 남지 않을 정도로 압축시켜 버렸다.

8. 논란

43화에서 사당의 신령으로 장승이 등장했는데, 이때 지하장군을 지하장군으로 바꿔버려 댓글을 통해 많은 욕을 먹었으나 현재까지도 수정되지 않고 있다.[8]

9. 기타



[1] 작품 홈페이지. 회차별 연출 상 삭제된 이미지나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도 확인 가능하다.[2] 스윙뱃 작가의 유튜브. 매 회차 예고편이 올라온다.[3] 경매장 사장의 아들을 구한 후 감사 인사를 받자 흐뭇해하고, 아웃브레이크에서의 민간인 사체를 보고 제대로 분노하는 등 인간적인 묘사들이 많아졌다. 계획이 틀어진 것에 대한 분노도 영향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사체를 발견하는 묘사가 있다.[4] 대표적으로 4번째 뿔피리를 부른 자의 고향으로 3대 재앙을 현현시킨다는 설명이 생략되었다. 물론 모용수가 자신이 뿔피리를 불었다면 무림에 현현했을 거란 독백으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5] 웹툰에서 나온 본래 목적은 모용수가 뿔피리를 불어 무림에 3대 재앙을 현현시키고, 혼란스러운 틈을 타 무림의 환단과 비급서를 훔치는 것이였지만 원작에선 언급되지 않았다.[6] 소설에선 테레사를 반강제로 끌어들인다.[주의] 이러한 묘사가 중국 시장에서의 반감을 감하기 위한 각색이라는 평도 존재한다.[8] 참고로 과거 열렙전사에서도 똑같은 이유로 욕을 먹고 결국 작가가 사과하고 수정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