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14:27:20

김희준(언론인)

<colbgcolor=#003366><colcolor=#fff> 김희준
HEEJUN KIM | 金姬濬
파일:Heejun.jpg
출생 1969년 9월 3일 ([age(1969-09-03)]세)
대한민국
소속 YTN
직업 언론인, 방송인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치커뮤니케이션 (석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제정치학 (박사 수료)
컬럼비아 대학교 웨더헤드 동아시아연구소(WEAI) 방문연구원
경력 YTN 워싱턴 특파원
YTN 취재부국장
YTN 통일외교안보부장
한국여성기자협회 부회장
외교부 정책 자문위원
주요 활동 YTN 워싱턴 특파원 및 해설위원
폼페이오·블링컨 등 美 고위당국자 단독 인터뷰
한미동맹, 대북정책, 대선 관련 등 다수 토론회 패널
국제협상의 이해 번역서 출간
수상 2021년 이화여자대학교 올해의 이화인
2020년 제20회 이화언론인상
2013년 노근리평화상 방송부문
2013년 이달의 방송기자상
2013년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링크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학력4. 언론인 경력5. 주요 단독 인터뷰6. 저술 및 논문7. 방송·다큐멘터리 제작8. 수상 경력9. 주요 활동10. 주요 토론회 패널 및 사회11. 기타

1. 개요

김희준(1969년 9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YTN 소속 방송기자다. 현재 해설위원으로 외교안보국제 등 다양한 분야 논평을 하고 있고, YTN 전 워싱턴 특파원, 취재부국장, 국제부장, 앵커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30여 년간 주로 외교·안보·국제 보도를 전문으로 취재해왔다. 워싱턴 특파원 시절 미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들과의 단독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방송 다큐멘터리 제작과 저술 활동, 학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2. 생애

김희준은 1969년 9월 3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대학 시절부터 언론과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 국회 <의회발전 연구회> 연구원을 지냈다. 1994년 한국의 첫 24시간 뉴스전문채널 YTN 공채 2기로 입사한 뒤 30여년 간 방송 언론인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 2016년 YTN 최초의 여성기자 출신 특파원으로 워싱턴에 부임했으며 트럼프 1기 행정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을 국내 언론 처음으로 단독 인터뷰한 바 있다. 외교안보 전문성을 다지기 위해 국제정치학 박사를 수료했으며 <국제협상의 이해>를 공역 출간하고 학술지에 북핵 협상 관련 논문도 게재했다. 한국여성기자협회, 관훈 클럽 등 언론단체 임원으로 활동했으며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서울유엔평화유지 장관 회의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2024년엔 국제 에미상을 주관하는 International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정회원에 올라 시사, 다큐멘터리 부문 심사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이와 함께 서강대학교 단기 MBA 과정(SHAPE), 이화여대 경영전문대학원 '여성사외이사' 과정을 수료하며 경영 관련 전문성도 다져가고 있다.

3.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치커뮤니케이션 석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국제정치 박사 수료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Weatherhead 동아시아연구소 방문연구원(2011년~2012년)

4. 언론인 경력

1994년 한국 최초 뉴스전문 채널 YTN 입사

통일외교안보부장, 국제부장, 보도국 취재부국장 등 역임

워싱턴 특파원(2016~2019): 백악관, 국무부 등 출입 / 싱가포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취재

국제·외교안보·시사 해설 및 토론회 패널 활동

5. 주요 단독 인터뷰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2021)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2018)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2017)

토니 블링컨 국무부 부장관, 대니얼 러셀 동아시아 차관보 (2015)

게부자 모잠비크 대통령(2013)

리언 라포트 주한미군 사령관 (2003)

6. 저술 및 논문

공역서:

『국제협상의 이해: 갈등 해소를 위한 분야 간 협력 연구』 (한울아카데미, 2024.01.25)

학술 논문:

「북한의 협상 행태와 '결의 평판' 구축 연구」, 『한국국가전략』 제7권 제1호, 2022.3

「국회의원의 매체가시성에 대한 연구: 1992년도 국정감사 활동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7. 방송·다큐멘터리 제작

『전력산업의 블루 오션 (Blue Ocean in the Power Industry)』 (2005, 3부작 다큐멘터리)

주제: 일본, 덴마크, 네덜란드 등 세계 각국의 청정에너지 개발 사례

YTN <뉴스창>, <월드뉴스>, <세계세계인> 앵커

8. 수상 경력

2021년 올해의 이화인

2020년 제20회 이화언론인상

2013년 노근리평화상 방송부문

2013년 방송기자연합회 이달의 방송기자상

2013년 한국방송기자클럽 보도상

2013년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2013년 한국방송비평학회 올해의 방송비평상

9. 주요 활동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2020년 ~ )

한국여성기자협회 부회장 (2020~2022)

관훈클럽 편집위원 (2016)

한국안보문제연구소(KINSA) 회원

국제에미상 International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정회원 (2024~)

10. 주요 토론회 패널 및 사회

2025.5: 김문수 대통령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

2024.4:“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Elections and US-ROK Relations' GWIKS 토론회

2023.5: 박진 외교부 장관 초청 KPF 포럼

2021.3: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미 관계 전망 토론회

2020.12: 미국의 대북 정책 방향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토론회 사회

2020.11: 'US Elections and US-ROK Relations' GWIKS(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 토론회

2017.11 'NK and US-Korea Relations' SAIS 토론회

2017.5 'South Korea Politics, Policy, NK and the Alliance' Asan Seminar in D.C.

2015.12: 윤병세 외교부 장관 초청 방송기자클럽 토론회

2015.7: 윤병세 외교부 장관 초청 관훈토론회

11. 기타

1992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연구원

2002년: 영화 <광복절 특사> 출연

가족관계 : 배우자 권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