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22:20:27

김철남(독립운동가)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0066><tablebgcolor=#330066>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부차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통부차장 (1919~1948)
<nopad> 이승만 내각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김구 내각
초대
선우혁
제2대
김철
제3대
김규면
제4대
김철남
교통부차장 · 국토교통부 제1차관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0066><tablebgcolor=#330066>대한민국 임시정부
참모부차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참모부차장 (1944)
<nopad> 김구 내각
초대
김철남
}}}}}}}}}
<colbgcolor=#330066><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4대 교통부차장
김철남
金鐵男
파일:독립운동가 김철남.jpg
출생 1895년 9월 12일
황해도 신천군 신천면 남조리
사망 1952년 10월 7일 (향년 57세)
베이징시
재임기간 제4대 교통부차장
1943년 3월 4일 ~
초대 참모부차장
1944년 12월 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 이명 김병두(金炳斗), 김갈자(金喝者)
학력 경신학교 (졸업)
푸저우 군관학교 (졸업)
황포군관학교 (졸업)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1992년 추서)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임시의정원 의원과 교통부차장, 참모부차장 등을 역임하였다.

2. 생애

1895년 9월 12일 황해 신천군 신천면 남조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병두(金炳斗), 갈자(喝者)이다. 어려서 서울로 올라와 경신학교(儆新學校)를 졸업하였다. 1915년 5월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자세한 신상은 밝혀지지 않지만, 중국 푸저우(福州) 소재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참위(參尉)로 재직 중이던 1920년 2월 하순 안창호를 방문하여 독립운동자금 모금 방안을 협의하였다. 1921년 말경 손두환(孫斗煥) 등과 『신조선(新朝鮮)』을 발행하였으며, 상하이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단합을 도모하기 위해 한인구락부(韓人俱樂部)를 조직하였다.채원개(蔡元凱)의 회고에 따르면, 1926년 11월 15일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5기생으로 입교해 1927년 8월 졸업했고, 손두환과 함께 교본부(校本部) 부관으로 근무하였다. 이 때 한인교관으로 함께 근무한 인물로는 양녕·최추해·공주선·안경근·오명·이일태·채원개 등이었다고 한다.1934년 12월에 작성된 일제 자료에는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일본어 교사로 근무 중으로, 김문(金文)·김종(金鐘) 등과 왕래, 교유하고 있는 관계 상, 의열단(義烈團)에 있어서도 중한 인물로, 군관학교 입교생 모집·연락 방면에도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 발발 후 손두환·이연호와 함께 각 단체 통일에 나섰다. 그 결과 난징(南京)이 함락되기 직전의 긴장감 속에서 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 조선혁명자연맹 등 각 단체 대표 15인이 조선민족전선통일촉성회(朝鮮民族戰線統一促成會)를 조직하고 통일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라는 선언을 발표하였다.1937년 12월 중국군 중교(中校)로, 1934년 일본 기록에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난징에 있는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일본어 교수로 재직하였다. 1943년 중국군 상교(上校)로 궤이양항공대(貴陽航空隊)에 근무하였으며 이 무렵 중국 방공총감부(防空總監部)에서 과장으로 근무한 것으로 파악된다.1942년 10월 25일 개회한 제34차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황해도 출신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1월 임시정부 교통부 차장을 겸직하였다. 한국독립당통일동지회(韓國獨立黨統一同志會) 간부를 거쳐, 1943년 2월에 개최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제7차 전당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1944년 12월 참모차장에 임명되었고, 1945년 5월 8일 제38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는 김원봉·지청천·유동열·이연호와 함께 제4분과(군무·교통) 위원으로 활동하였다.1945년 2월 7일 한국독립당에서 탈당한 홍진·유동열·김붕준 등과 일부 조선민족혁명당원들이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창당할 때, 중앙집행위원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고, 이후 조직부장을 역임하였다. 광복 후에는 중국에 머물다가, 1952년 10월 베이징(北京)에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3. 대중매체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