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VARREL 2025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0><colcolor=#fff>코치 | PAIN Dae1 | ||
로스터 | ||||
DAMAGE | Nico ]] | QKi ]] | TOPDRAGON ]] | |
TANK | KSG ]] | |||
SUPPORT | Mimoza | Qloud ]] | Sley ]] | |
OWCS 참가 팀 로스터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VARREL Sley | |
김재환 (Kim Jae-hwan) | |
출생 | 2004년 12월 6일 ([age(2004-12-06)]세) |
국적 |
|
신체 | 166cm |
MBTI | INFJ-T |
ID | Sley BabySley SAO 미배치부터챔까지 CGM RIRIZPT TsunaNekota |
포지션 | SUPPORT |
경력 상금 | $10,874 USD (₩15,486,309.13 KRW)[1] |
데뷔 | 2021년 3월 1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1-03-11)]일째, [age(2021-03-11)]주년) |
소속 |
(2025. 05. 08.~) |
|
1. 개요
|
Kim "Sley" Jae-hwan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2 프로게이머. 현 VARREL 소속 SUPPORT.
2. 상세
호주 컨텐더스에서 데뷔한 이래 빠르게 실력을 인정받아 한국 컨텐더스로 넘어왔던 선수이다. 불행히도 리그가 폐지되기 전까지 만개하지 못하여 리그 진출엔 실패하고, 2023년을 끝으로 1년의 휴식기를 가진다.2025년 복귀를 목표로 24년 말부터 팀을 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일본의 VARREL에 스테이지 2부터 입단하며 복귀했다.[2] 유창한 일본어 실력을 가지고 있어, 함께 영입된 탑드래곤과 기존 일본인 멤버들과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는 점에서 고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2025 재팬 스테이지 2를 압도적인 수준으로 우승하는데 큰 역할을 하며, 생애 첫 국제전인 미드시즌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5 미드시즌 챔피언십에선 뛰어난 일리아리 실력을 선보이며 ROC 이스포츠를 격파, VARREL의 첫 국제전 승리를 이루는데 큰 역할을 했다. 대회 이후엔 디스코드에서 8월 19일 군 입대가 예정되어있음을 알렸지만, 8월 12일 개인방송에서 바렐과의 계약이 연장되었음을 알리며 입영 시기를 미루는데 성공했다 밝혔다.
3. 플레이스타일
Viol2t을 떠올리게 할 만큼 공격적인 캐리롤을 선호한다. 상대 딜러들과 싸워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키리코, 일리아리 등의 영웅을 자주 플레이한다. 특히 일리아리의 경우 메타에서 완전히 뒤쳐진 상태가 아니라면 기용할 정도로 선호도가 높은 편. 이때문에 2025년 스테이지 2부터 변화한 VARREL의 플레이스타일에 끼친 영향력이 큰 편이다.과거 컨텐더스 시절엔 메타 상 브리기테 등을 맡기도 했으나 본인의 메인힐은 상위권 팀들에게 통할 수준은 아니라고 평했다. 그러나 VARREL에 들어와서는 같은 서브힐러 포지션인 Qloud와 함께 투섭힐로 게임을 풀어나는 탓에 조합 상 메인힐이 필요해지면 Sley가 담당하곤 한다.
2025년 출시되며 당시 메타의 핵심이 된 우양도 Sley가 담당했다. 처음엔 Qloud보다 숙련도가 좋은 Sley가 담당했을 뿐이었지만, 이후 우양이 점차 메인힐러가 담당하는 쪽으로 해석되며 Qloud와의 모스트 꼬임을 자연스럽게 피해갔다. Sley는 우양도 굉장히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는 편인데, 상대의 조합 상 자신을 물러올 영웅이 적다 판단되면 일반적으로 잘 찍지 않는 주요 특전인 쏟아지는 비를 골라 평타를 강화하는 한결같은 모습을 보인다.
4. 선수 경력
4.1. 대회 경력
- 2020년
- WESL AMAMENT #21 우승
- 2020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호주 시즌 3 준우승
- 2021년
- Flash Ops: Kanezaka Community Tournament - Korea 준우승
-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호주 시즌 1 준우승
- 2022년
-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A-Sides 준우승
-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B-Sides 7-8위
-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RUN IT BACK 8위
- 2023년
- 2025년
4.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2 우승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3 우승 | ||||
VARREL | → | VARREL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호주 시즌 1 준우승 | ||||
Mindfreak | → | Ground Zero Gaming | → | Mindfreak |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A-Sides 준우승 | ||||
Talon Esports | → | Talon Esports | → | T1 |
5. 여담
- 일본어는 VARREL에 들어오기 전부터 공부를 했었다고 한다. 때문에 VARREL 입단 후 개인방송에서 유창한 일본어를 선보이며 일본 현지 팬들을 늘려나가고 있다.
- 소드 아트 온라인의 광팬이다. VARREL의 브이로그에서 대회 장비로 소드 아트 온라인 마우스 패드와, 아스나 키보드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야채를 극도로 싫어한다. 무슨 음식을 먹던 야채는 빼고 먹을 정도.
- 개인방송에서 경쟁전을 돌릴 때, 같이 매칭된 팀원에 대한 실력 평가를 적나라하게 하는 편이다. 때문에 톡식한 행태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호불호가 갈리며 비판받곤 한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e48><tablebgcolor=#333e48> | OWCS 재팬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명단 |
Overwatch Champions Series Japan | ||||
2024 | 스테이지 1 | 파일:VARREL lightmode.png | Nico · QKi · KSG · plankton · mint · Qloud · Mihawk | |
스테이지 2 | | Hidden · CC2 · Leonopteryx · GodSam · kiru01 · Sakume · Neivis · Schwi | ||
2025 | 스테이지 1 | 파일:VARREL lightmode.png | Nico · QKi · KSG · Mimoza · Qloud · Mihawk | |
스테이지 2 | Nico · TOPDRAGON · QKi · KSG · Sley · Qloud · Mimoza | |||
스테이지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