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23:01:42

김장겸(기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김장겸(프로게이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svg 비례대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국민의미래
18석
최보윤 박충권 최수진 진종오
강선영 김건 김소희 인요한
김민전 김위상 한지아 유용원
조배숙 김장겸 김예지 안상훈
이달희 박준태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서미화 위성락 백승아 임광현
정혜경 용혜인 오세희 박홍배
강유정 한창민 전종덕 김윤
임미애 정을호
조국혁신당
12석
박은정 조국 이해민 신장식
김선민 김준형 김재원 황운하
정춘생 차규근 강경숙 서왕진
개혁신당
2석
이주영 천하람
21대
23대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김장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제3대 제4대 제5대 제6-8대
김지태 고원증 황용주 조증출
제9-12대 제13대 제14·15대 제16대
이환의 이진희 이웅희 황선필
제17대 제18·19대 제20·21대 제22대
김영수 최창봉 강성구 이득렬
제23대 제24·25대 제26대 제27대
노성대 김중배 이긍희 최문순
제28대 제29·30대 제31대 제32대
엄기영 김재철 김종국 안광한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김장겸 최승호 박성제 안형준
}}}}}}}}} ||
제33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colbgcolor=#e61e2b><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김장겸
金張謙 | Kim Jang-gyum
파일:국민의힘김장겸.jpg
출생 1961년 5월 8일 ([age(1961-05-08)]세)
경상남도 마산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재임 기간 제33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2017년 2월 28일 ~ 2017년 11월 13일
학력 마산고등학교 (졸업 / 38회)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경제학[1]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 석사[2])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 비례대표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2
소속 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경력 문화방송 보도국 정치국제에디터 국제팀 런던특파원
문화방송 보도국 사회에디터 사건팀장
문화방송 보도국 정치국제에디터 국제팀장
문화방송 보도국 네트워크부장
문화방송 보도국 사회1부장
문화방송 보도국 생활과학부장
문화방송 보도국 취재센터 정치부장
문화방송 보도국장
문화방송 보도본부장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
문화방송 제33대 대표이사 사장
자유미디어국민행동 고문
공영언론미래비전100년위원회 공동대표
공정언론국민연대 상임고문
국민의힘 ICT미디어진흥특위 포털소위원장
국민의힘 가짜뉴스괴담방지특별위원장
국민의힘 미디어정책조정특별위원회 포털 TF 공동위원장
제22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14번 / 국민의미래)

1. 개요2. 생애3. 기타4. 수상 경력5. 저서6. 선거 이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언론인.

2. 생애

1961년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나 마산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농경제학과(현 식품자원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 11월에 문화방송 공채 기자로 입사했다. 사회부, 스포츠취재부, 국제부, 정치부 등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1995년에 영국 카디프대학교 대학원으로 연수를 간 적도 있었다.

2003년에 차장으로 승진한 후 2004년 런던 특파원으로 부임했다. 2008년에 귀국한 이후로는 국제팀장, 네트워크팀장, 사회1부장, 정치부장을 역임한 후 2013년에 보도국장이 됐고, 2015년에 보도본부장이 되었다. 2017년 2월 안광한 사장의 임기가 끝나가자 방송문화진흥회의 차기 사장 공모에 나서 23일에 상대 후보들인 권재홍 부사장, 문철호 당시 부산MBC 사장을 제치고 임기 3년의 대표이사 사장직에 선출되었고, 28일 정식 취임하여 '품격있는 젊은 방송'을 모토로 편향 보도/선정적 방송의 유혹에서 벗어난 철저한 팩트체크, PD에 대한 자율성 부여와 과감한 투자/지원, 강력한 평가/보상 시스템 확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모바일 플랫폼 사업 모색 등을 내걸었다.(취임사 전문)

임기 초반인 2017년 6월까진 27억 흑자로 경영/재정 면에서 순풍을 다는 듯했으나,[3] 당시 정권교체 등으로 인해 노사분규를 겪다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퇴진 위기에 몰렸고, 결국 2017년 11월 13일 방문진 임시이사회에서 재임 8개월 만에 해임당했다.

2019년에 '자유미디어국민행동'이 발족되면서 고문으로 위촉됐고, 2020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후보로 나서려 했으나 3월 6일 컷오프됐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문서
번 문단을
파업 이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7년 해임 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안광한 전 사장과 함께 기소되었다.
대법원 3부(주심 대법관 안철상)는,
➀ 문화방송(MBC) 보도국장이었던 피고인 A가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 내 민주방송실천위원회 발행 보고서를 폐기하고, 편집회의 참석자들에게 ‘취재 및 보도 관련 사항에 관한 위 위원회 간사의 전화에 응하지 말고 간사와 접촉하는 경우 보고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함으로써 노동조합 운영에 개입하는 부당노동행위를 하였다는 이유로 문서손괴와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검사와 피고인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여, 위 보고서를 폐기한 행위에 대하여 문서손괴죄와 노동조합법위반(부당노동행위)죄를 유죄로 인정하고, 편집회의 발언으로 인한 노동조합법위반(부당노동행위) 부분에 대하여는 무죄를 선고한 원심(벌금 300백만 원)을 확정하였습니다(대법원 2023. 10. 12. 선고 2019도13024 판결).
➁ 문화방송(MBC) 대표이사였던 피고인 B, 보도국장 내지 대표이사였던 피고인 C가 사측과 갈등을 빚어 온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의 조합원들을 재배치하기 위한 센터에 위 노조 조합원들을 전보발령하고 보직 부장들에게 노조 탈퇴 지시를 하는 등 노동조합의 조직 또는 운영을 지배 내지 개입하는 등의 부당노동행위를 하였다는 이유로 노동조합법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검사와 피고인 C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여, ‘보직 부장들에 대한 노동조합 탈퇴 지시에 의한 노동조합 지배·개입 부분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고 나머지 공소사실에 대하여 노동조합법위반(부당노동행위)죄를 유죄로 인정한 원심(피고인 B: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피고인 C: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확정하였습니다(대법원 2023. 10. 12. 선고 2020도12582 판결). #
김장겸 및 안광한 전 사장은 대법원에 상고까지 했으나, 3년 동안 재판 끝에 2023년 10월 12일 대법원에서 부당노동행위 혐의에 대해 유죄가 최종 확정되었다.(연합뉴스, #, #)


2024년 2월 판결이 확정된지 석달만에 윤석열 대통령의 설 특사 명단에 오르면서 사면되었다.(#)

2024년 3월 18일,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공천에서 안정권인 14번을 부여받으며 사실상 국회입성을 확정지었다.

3. 기타

언론노조로부터 다른 전직 사장[4]들과 함께 언론부역자 2차 명단에 올랐다.# 해당 건에 대해서 명단에 이름이 오른 당사자 16명이 언론노조 및 미디어오늘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고소했으나 # 기각되었고, 2019년 4월 서울고등법원에 재정신청을 냈지만 역시 기각되었다.#

4. 수상 경력

  • 제1회 대한민국 언론인 대상 특별상 (2023)

5. 저서

  • 정권의 품에 안긴 노영방송 MBC: 김장겸 전 MBC 사장의 증언 - 펜앤북스. 2019.

6.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10,395,264 (36.67%) 당선 (14번) 초선[5]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대식 강명구 강민국 강선영 강승규
고동진 곽규택 구자근 권성동 권영세
권영진 김건 김기웅 김기현 김대식
김도읍 김미애 김민전 김상욱 김상훈
김석기 김선교 김성원 김소희 김승수
김예지 김용태 김위상 김은혜 김장겸
김재섭 김정재 김종양 김태호 김형동
김희정 나경원 박대출 박덕흠 박상웅
박성민 박성훈 박수민 박수영 박정하
박정훈 박준태 박충권 박형수 배준영
배현진 백종헌 서명옥 서범수 서일준
서지영 서천호 성일종 송석준 송언석
신동욱 신성범 안상훈 안철수 엄태영
우재준 유상범 유영하 유용원 윤상현
윤영석 윤재옥 윤한홍 이달희 이만희
이상휘 이성권 이양수 이인선 이종배
이종욱 이철규 이헌승 인요한 임이자
임종득 장동혁 정동만 정성국 정연욱
정점식 정희용 조경태 조배숙 조승환
조은희 조정훈 조지연 주진우 주호영
진종오 최보윤 최수진 최은석 최형두
추경호 한기호 한지아 }}}
}}}}}}



[1] 현재의 식품자원경제학.[2] 집권자의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언론의 역할: 제5공화국·서울신문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중심으로(1989)[3] 그러나 하반기 이후 총파업 등의 영향으로 565억원대 적자를 찍은 후, 2019년까지 3년 연속 적자만 찍어서 누적 적자만 2,700억원이 넘었다.[4] 김재철, 김종국, 안광한[5] 2024.4.26. 국민의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