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10:35:20

김도현(2000)/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도현(2000)/선수 경력
김도현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1. 개요2. 시즌 전
2.1. 시범경기
3. 페넌트 레이스
3.1. 3월
3.1.1. 3월 27일: 광주 키움전 [N/D]
3.2. 4월
3.2.1. 4월 2일: 광주 삼성전 [N/D]3.2.2. 4월 8일: 사직 롯데전 [N/D]3.2.3. 4월 16일: 광주 kt전 [패배]3.2.4. 4월 23일: 대구 삼성전 [패배]3.2.5. 4월 29일: 광주 NC전 [승리]
3.3. 5월
3.3.1. 5월 6일: 고척 키움전 [N/D]3.3.2. 5월 13일: 광주 롯데전 [-]
3.4. 6월3.5. 7월3.6. 8월3.7. 9월
4. 총평5. 시즌 후6. 관련 문서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완 투수 김도현의 2025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2월 22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연습경기에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 퍼펙트를 기록했다.

2월 27일 LG 트윈스와의 연습경기에 선발로 등판하여 3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2.1. 시범경기

3월 8일 사직 롯데전에서 3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3월 15일 광주 삼성전에서 선발로 등판하여 4⅓이닝 4K 1실점(비자책)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연습경기부터 이날 경기까지 12⅓이닝을 투구하며 단 1자책만을 허용하는 짠물 투구를 선보였으며, KIA의 5선발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쳤다.

그리고 3월 17일 고민 끝에 이범호 감독이 인터뷰에서 김도현을 개막 5선발로 낙점하였다고 밝혔다.

3. 페넌트 레이스

3.1. 3월

3.1.1. 3월 27일: 광주 키움전 [N/D]

3월 27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N/D 6 4(0) 3(0) 2 2(0) 81

2025 시즌 첫 선발 등판 경기에서 6이닝 2K 2실점(비자책) QS를 기록하며 호투했다. 주자 출루 허용과 득점권 상황이 적지 않았으나, 뛰어난 위기 관리 능력으로 실점을 억제했다.

3회와 5회에 나온 수비 실책과 그로 인한 2실점, 이 날 부진했던 타선의 1득점으로 인해 아쉽게도 승리를 챙기진 못했다. 그러나 5선발임에도 시즌 첫 등판 경기에서 QS를 기록하였으니, 이것만으로도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3.2. 4월

3.2.1. 4월 2일: 광주 삼성전 [N/D]

4월 2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N/D 6 5(0) 1(0) 7 2(2) 92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로 기존 로테이션보다 하루 밀린 4월 3일에 등판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범호 감독이 윤영철에게 휴식을 부여하기로 결정하면서 기존 로테이션대로 4월 2일에 등판하게 되었다.

6이닝 7K 2실점을 기록하며 2경기 연속 QS를 기록하며 호투했으나, 팀 타선이 두 점밖에 지원해주지 못하면서 노 디시전에 그쳤다. 포심, 커브, 슬라이더, 커터, 체인지업 등 본인이 던질 수 있는 모든 구종을 스트라이크 존 구석구석에 찔러 넣으면서 안정적인 제구력을 선보였다.

3.2.2. 4월 8일: 사직 롯데전 [N/D]

4월 8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N/D 5⅓ 9(0) 0(0) 3 2(1) 84

자신이 약했던 롯데를 상대로 5⅓이닝 3K 2실점(1자책)을 기록하면서 호투를 펼쳤다. 비록 승운이 따르지 못하면서 승리 투수가 되지 못한 것은 아쉽지만, 이번 경기에서는 사사구 0개를 기록하면서 뛰어난 제구력을 보여줬다.

3.2.3. 4월 16일: 광주 kt전 [패배]

4월 16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패배 6 4(1) 1(0) 2 2(2) 91

로테이션 상 13일에 등판할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면서 이번 경기에 등판하게 되었다.

6이닝 2K 2실점 QS를 기록하면서 4경기 연속 호투를 펼쳤으나, 팀 타선이 무득점에 그치면서 결국 시즌 첫 패전을 떠안게 됐다. 2회에 장타를 집중적으로 맞으면서 2실점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투구 수를 절약하면서 6회까지 투구했고, 이번 경기 역시 선발투수로써의 역할을 잘 소화해주었다.

현재까지 ERA 1.93을 기록하면서 시즌을 5선발로 출발했음에도 토종 1선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득점 지원을 받지 못해 QS를 해도 승리를 따내지 못하고 있다...

3.2.4. 4월 23일: 대구 삼성전 [패배]

4월 23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패배 5⅔ 10(1) 1(0) 2 6(6) 100

5⅔이닝 2K 6실점을 기록하면서 시즌 최악의 피칭을 선보였다. 원래도 피안타가 많은 유형의 선수인데, 이날 경기에서는 집중타를 많이 맞으면서 대량 실점을 했다. 결국 ERA는 1.93에서 3.41로 대폭 상승했고, 선발승은 커녕 또 패전만 적립하게 되었다. 그래도 사사구는 단 1개밖에 없었으며, 많은 실점에도 불구하고 6이닝 가까이 소화했다는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다음 경기에서는 보다 더 나은 피칭을 선보여야 할 것이다.

3.2.5. 4월 29일: 광주 NC전 [승리]

4월 25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승리 5⅔ 6(1) 2(0) 3 3(0) 90

5⅔이닝 3K 3실점(비자책)을 기록하면서 드디어 시즌 첫 선발승[1]을 챙겼다. 2회에 선두타자에게 땅볼을 유도했으나, 3루수 변우혁의 실책과 몸에 맞는 공, 김형준에게 쓰리런을 허용하면서 선제 3실점[2]을 기록했으나, 이후에는 안정을 찾아가면서 무자책 투구를 완성시켰다.[3] 이로써 지난 경기의 부진을 만회함과 동시에 시즌 첫 승을 챙겼다. 평균자책점은 2.86으로 내려갔다.

3.3. 5월

3.3.1. 5월 6일: 고척 키움전 [N/D]

5월 6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N/D 6 4(0) 3(0) 5 3(3) 93

6이닝 5K 3실점을 기록하면서 QS를 기록, 준수한 피칭 내용을 선보였다. 1회 테이블 세터에게 연속 볼넷을 내주면서 2실점을 내주면서 불안하게 시작했으나, 이후 점차 안정을 찾아가면서 결과적으로는 QS를 기록했다. 하지만 또 승운이 없어 승리를 챙기진 못했고, 노 디시전에 그쳤다.

3.3.2. 5월 13일: 광주 롯데전 [-]

5월 13일 등판 기록
<rowcolor=#fff> 결과 이닝 피안타(피홈런) 볼넷(사구) 탈삼진 실점(자책점) 투구수
- 0 0(0) 0(0) 0 0(0) 0

3.4. 6월

3.5. 7월

3.6. 8월

3.7. 9월

4. 총평

5. 시즌 후

6. 관련 문서


[1] 2025 시즌 KIA의 첫 토종 선발승이다.[2] 자책점은 없었다.[3] 6회 2사까지 잘 잡아놓고 권희동과의 12구 승부 끝에 안타를 허용한 이후 6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