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0:00:51

기쿠치 유세이/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기쿠치 유세이/선수 경력
기쿠치 유세이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즌 전3. 시범경기4. 정규시즌
4.1. 3~4월
4.1.1. 3월 30일: TB전 (원정) [패배]4.1.2. 4월 5일: NYY전 (원정) [ND]4.1.3. 4월 10일: SEA전 () [ND]4.1.4. 4월 16일: NYY전 () [승리]4.1.5. 4월 22일: KC전 (원정) [승리]4.1.6. 4월 27일: LAD전 () [패배]
4.2. 5월
4.2.1. 5월 3일: WSH전 (원정) [ND]4.2.2. 5월 10일: MIN전 () [패배]4.2.3. 5월 15일: BAL전 (원정) [ND]4.2.4. 5월 21일: CWS전 () [패배]4.2.5. 5월 26일: DET전 (원정) [ND]
4.3. 6월
4.3.1. 6월 1일: PIT전 () [패배]4.3.2. 6월 6일: BAL전 () [승리]4.3.3. 6월 11일: MIL전 (원정) [승리]
4.4. 7월4.5. 8월4.6. 9월4.7. 정규시즌 성적
5. 총평6. 시즌 후7. 관련 문서

1. 개요

기쿠치 유세이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토론토와의 3년 계약이 종료되는 마지막 해로 시즌 종료 후 MLB에서의 두 번째 FA 자격을 얻게 된다.

기쿠치로서는 작년의 반등이 플루크가 아니었음을 입증해야 하는 중요한 시즌이 되었다.

3. 시범경기

개막을 일주일 앞두고 총 3경기에 출장해 16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할 정도로 참담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원래도 고질적인 약점이었던 피홈런 허용 문제가 개선되지 않은 점이 특히나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정규시즌에 돌입한 이후로도 계속 실망스런 성적을 보인다면 선발 로테이션 탈락은 물론이고 지명할당의 위기까지 현실화될 수 있기에[1] 반드시 각성해야 할 것이다.

4. 정규시즌

4.1. 3~4월

4.1.1. 3월 30일: TB전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4⅓ 4 6 1 3 3 3 90

4.1.2. 4월 5일: NYY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5⅓ 7 4 0 2 0 0 96
개막전 4연승을 시작으로 기세를 무섭게 올리는 중인 양키스를 상대로 무실점 피칭을 선보이며 지난 첫 경기 패배에서의 아쉬움을 털어냈다. 비록 득점 지원이 없어 시즌 첫 승을 따내지는 못했으나 뒤이어 올라온 후속 투수들도 실점을 허용하지 않고 교체 이후 타선이 뽑아낸 점수를 지키며 경기를 승리로 마무리했다.

4.1.3. 4월 10일: SEA전 ()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 9 3 0 2 1 1 89
6이닝 3피안타 2볼넷 9삼진 1자책점으로 호투했으나 물방망이 타선과 10회 불펜진의 방화로 이번에도 승리를 챙기는 데는 실패했다.

4.1.4. 4월 16일: NYY전 ()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9 4 0 1 1 1 94
지난 경기에 이어 또다시 양키스의 타선을 잠재우며 6이닝 9K 1실점으로 호투, 시즌 첫 승을 수확했으며 토론토 이적 이후부터 보이는 양키스 킬러의 면모[2]를 제대로 과시했다.

4.1.5. 4월 22일: KC전 (원정)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4 5 1 0 2 2 81
6이닝 2실점 퀄리티스타트 피칭으로 선발로서의 몫을 다 해내며 마운드를 내려왔다. 시즌 2승 달성.

4.1.6. 4월 27일: LAD전 ()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3 9 0 0 4 4 91
4월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등판 경기로 인터리그를 통해 홈으로 불러들이는 LA 다저스를 상대한다. 과거 시애틀 시절 같은 지구 라이벌팀 소속이어서 자주 상대했던 오타니 쇼헤이와의 다저스 이적 후 첫 맞대결도 주목할만한 부분.[3]

메이저리그 데뷔 이래 가장 위력적인 기세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그런 기세조차 압도하는 리그 최강팀의 타선을 쉽사리 버티기는 어려웠는지 4실점을 허용했고 시즌 2패를 떠안으며 4월 마지막 경기를 다소 아쉽게 마무리했다. 그래도 평균자책점 2점대는 사수했기에 호조의 출발인 것은 변함이 없는 상황.

4.2. 5월

4.2.1. 5월 3일: WSH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 7 6 0 1 1 1 100
젊은 피들이 잔뜩 포진된 워싱턴의 타선을 상대로 시즌 첫 100구 경기를 달성하며 6이닝 7K 1실점으로 호투했다. 그렇게 승투 요건을 갖춘 채 마운드를 내려왔으나 불펜진의 방화로 승리를 챙기는 데에는 실패했다.

4.2.2. 5월 10일: MIN전 ()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8 3 4 1 0 2 2 97
8이닝 3K 2실점 호투에도 불구하고 타선의 침묵으로 시즌 3패를 떠안았다.

4.2.3. 5월 15일: BAL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4⅓ 9 6 1 1 1 1 88

4.2.4. 5월 21일: CWS전 ()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6 5 0 3 3 2 101
6이닝 6K 3실점(2자책)으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했으나 영봉패 수모까지 당해버린 경기 결과로 인해 어느새 시즌 4패째를 달성. 선수 본인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승리를 올리지 못하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4.2.5. 5월 26일: DET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3 0 8 1 0 5 5 56
타격전으로 흘러간 이날 경기의 첫 희생양이 되어 탈삼진조차 하나도 뽑아내지 못한 채 3이닝 5실점으로 빠르게 무너지며 조기강판 되었다. 전반적으로 양 팀의 타선이 모두 활약한 경기였기에 뒤이어 올라오는 투수들마다 족족 점수를 꾸준히 뽑아내가며 역전에 역전을 거듭했고 결과는 노 디시전으로 마무리.

5월 일정까지 마무리된 시점에서 지구 최하위로 추락한 토론토의 트레이드 매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소속팀과의 계약 마지막 해이기에 대가가 크지 않을 전망이고 선수 본인도 미국에서의 두 번째 FA를 앞두고 여느 해보다 괜찮은 기량을 보여주고 있는 만큼 플레이오프를 위한 전력 보강을 노리는 팀으로 이적하기 유리해진 상황.

4.3. 6월

4.3.1. 6월 1일: PIT전 ()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⅓ 4 9 1 1 6 5 89
5⅓이닝 1피홈런 6실점(5자책)을 기록하며 2경기 연속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고 이번에는 순수하게 선수 개인의 기량 문제로 어느새 시즌 5패째를 찍었다. 시범경기에서 크게 망가지며 우려됐던 바와는 달리 정규 시즌 개막 후 FA로이드의 영향인듯 남다른 기량을 보여주며 상당한 기대를 품게 만들었으나 어느덧 시즌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이날 경기 결과를 포함 대량 실점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여기서 반등을 꾀하지 못한다면 결국 이번 시즌 성적도 커리어 평균으로 회귀하게 될 흐름.

4.3.2. 6월 6일: BAL전 ()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6 4 1 1 1 1 89
같은 지구 볼티모어를 상대로 6이닝 6K 1실점으로 호투해 간만에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며 시즌 3승을 달성했다.

4.3.3. 6월 11일: MIL전 (원정)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5 3 0 4 0 0 97
볼넷을 4개씩이나 내주는 등 다소 불안한 투구 내용의 경기였으나 실점까지는 끝끝내 허용하지 않았으며 최종 5이닝 5K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춘 채 교체되어 마운드를 내려갔다. 이후 득점을 끝까지 잘 지켜낸 팀 완봉승에 힘입어 시즌 4승을 따내며 한동안 뒤처져 있던 다승 페이스를 다시 끌어올리는 흐름을 보여주었다.

4.4. 7월

4.5. 8월

4.6. 9월

4.7. 정규시즌 성적

<rowcolor=#FFFFFF> 일자 상대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3/30 탬파베이 레이스 4⅓ 4 6 1 3 3 3
4/5 뉴욕 양키스 ND 5⅓ 7 4 0 2 0 0
4/10 시애틀 매리너스 ND 6 9 3 0 2 1 1
4/16 뉴욕 양키스 6 9 4 0 1 1 1
4/22 캔자스시티 로열스 6 4 5 1 0 2 2
4/2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6 3 9 0 0 4 4
3~4월 전체 - 6G 33⅔이닝 2승 2패 ERA 2.94 36K WHIP 1.16
5/3 워싱턴 내셔널스 ND 6 7 6 0 1 1 1
5/10 미네소타 트윈스 8 3 4 1 0 2 2
5/15 볼티모어 오리올스 ND 4⅓ 9 6 1 1 1 1
5/21 시카고 화이트삭스 6 6 5 0 3 3 2
5/2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ND 3 0 8 1 0 5 5
5월 전체 - 5G 27⅓이닝 0승 2패 ERA 3.62 25K WHIP 1.24
6/1 피츠버그 파이리츠 5⅓ 4 9 1 1 6 5
6/6 볼티모어 오리올스 6 6 4 1 1 1 1
6/11 밀워키 브루어스 5 5 3 0 4 0 0
6월 전체 - 3G 16⅓이닝 2승 1패 ERA 3.31 15K WHIP 1.35
시즌 전체 - 14G 77⅓이닝 4승 5패 ERA 3.26 76K WHIP 1.23

5. 총평

6. 시즌 후

7. 관련 문서


[1] 올해 토론토로부터 수령받는 10M의 연봉이 적지 않은 금액이긴 하나 그렇다고 구단 입장에서 완전히 큰 부담으로 다가오는 액수인 것도 아니므로 선수와 동행하는 마지막 계약 시즌이니 만큼 매몰 비용 처리하고 배제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2] 이날 경기 결과까지 포함 42⅔이닝 2.3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 중이다.[3] 다만 오타니의 기쿠치 상대 전적은 20타수 6삼진 3홈런 OPS 1.133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