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efe01><tablebgcolor=#fefe01> | 한신 타이거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00 하비 게라 · 13 이와자키 스구루 · 14 이와사다 유타 · 15 니시 준야 · 16 니시 유키 · 18 이하라 타카토 · 19 시모무라 카이토 20 존 듀플란티어 · 24 쿠도 타이세이 · 26 시이바 츠요시 · 27 이토 마사시 · 28 케사마루 유키 · 29 타카하시 하루토 30 몬베츠 케이토 · 31 하야카와 다이키 · 34 우루시하라 타이세이 · 35 사이키 히로토 · 36 하타케 세이슈 · 37 오요카와 마사키 41 무라카미 쇼키 · 42 닉 넬슨 · 46 시마모토 히로야 · 47 기리시키 다쿠마 · 48 이바라기 히데토시 · 49 오타케 고타로 · 50 토미다 렌 54 키노시타 리토 · 63 이시구로 유야 · 64 오카도메 히데타카 · 65 유아사 아츠키 · 66 츠다 준야 · 69 이시이 다이치 82 그랜트 하트윅 · 85 라파엘 돌리스 · 92 카와하라 리쿠 · 98 사토 렌 · 99 제레미 비슬리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기리시키 다쿠마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3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c7bc69 우승반지}}} |
202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 중간계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코노 히로후미 요미우리 / 12.45RP | 시마다 나오야 요코하마 / 24.75RP | 오치아이 에이지 주니치 / 19.70RP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8.15RP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6.20RP | ||
<rowcolor=#ffffff>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키즈카 아츠시 요코하마 / 28.40RP | 이시이 히로토시 야쿠르트 / 34.60RP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31.15RP | 오카모토 신야 주니치 / 24.80RP | 후지카와 큐지 한신 / 53HP | ||
<rowcolor=#ffffff>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후지카와 큐지 한신 / 35HP 카토 타케하루 요코하마 / 35HP |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55HP |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37HP |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4HP |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9HP | ||
<rowcolor=#ffffff>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2HP |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7HP | 야마구치 테츠야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2HP |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42HP |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39HP | ||
<rowcolor=#ffffff>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9HP | 쿠와하라 켄타로 마르코스 마테오 한신 / 43HP | 콘도 카즈키 야쿠르트 / 42HP |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4HP |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30HP 소부에 다이스케 후쿠 케이토 주니치 / 30HP | ||
<rowcolor=#ffffff>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53HP |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5HP 유아사 아츠키 한신 / 45HP | 시마우치 소타로 히로시마 / 42HP | 마츠야마 신야 주니치 / 43HP 기리시키 다쿠마 한신 / 43H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시마자키 타케시 닛폰햄 / 16홀드 | 하시모토 타케히로 세이부 / 25홀드 |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1홀드 |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6홀드 | 후지타 소이치 롯데 / 19홀드 | |
<rowcolor=#ffffff>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요시다 슈지 다이에 / 19홀드 | 모리 신지 세이부 / 32홀드 | 모리 신지 세이부 / 26홀드 | 타테야마 요시노리 닛폰햄 / 13홀드 | 키쿠치하라 츠요시 오릭스 / 36HP | |
<rowcolor=#ffffff>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45HP | 야부타 야스히코 롯데 / 38HP | 카와사키 유스케 롯데 / 31HP | 셋츠 타다시 다이에 / 39HP | 셋츠 타다시 브라이언 팔켄보그 다이에 / 42HP | |
<rowcolor=#ffffff>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히라노 요시히사 오릭스 / 49HP | 마스이 히로토시 닛폰햄 / 50HP |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8HP |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2HP | 마스다 타츠시 세이부 / 42HP | |
<rowcolor=#ffffff>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2HP | 이와사키 쇼 소프트뱅크 / 46HP |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1HP |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4HP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40HP | |
<rowcolor=#ffffff>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호리 미즈키 닛폰햄 / 45HP | 타이라 카이마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35HP | 루이스 페르도모 롯데 / 42HP | 카와노 류세이 닛폰햄 / 34HP |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센트럴 리그는 릴리프 포인트(RP)라는 독자 지표로, 퍼시픽 리그는 홀드만 반영한 '최다 홀드 투수'라는 타이틀로 시상 대상을 선정하다 2002년에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와 동일한 명칭으로 개칭한 후 2005년부턴 홀드포인트(HP, 구원승+홀드)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시상하는 것으로 기준이 바뀌었다. 시미즈 노보루가 2021년 기록한 50홀드는 일본프로야구 단일시즌 최다 홀드 기록이다. |
}}} ||
| |
한신 타이거스 No.47 | |
<colbgcolor=#000000> 기리시키 다쿠마 桐敷拓馬 / Takuma Kirishiki | |
생년월일 | 1999년 6월 20일 ([age(1999-06-20)]세) |
국적 |
|
출신지 | 사이타마현 키타사이타마군 카와사토정[1] |
학력 | 혼조히가시고등학교 - 니가타의료복지대학 |
신체 | 178cm, 90kg |
포지션 | 중간 계투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21년 드래프트 3순위 (한신) |
소속팀 | 한신 타이거스 (2022~) |
등장곡 | 〈J.BOY〉 - 하마다 쇼고 |
연봉 | 2024 / ¥33,000,000 |
|
1. 개요
일본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스 소속의 투수.2. 선수 경력
2.1. 데뷔 전
고등학교 시절 코시엔 출장 경험은 없었고, 당시 야구부가 창단된 지 얼마 안 된 니가타현의 니가타의료복지대학에 진학하여 팀의 에이스 투수로써 대학리그 탈삼진 단일경기 신기록 및 첫 퍼펙트 게임을 달성하는 등의 활약을 펼쳤다.이후 2021년 드래프트에서 한신의 3순위 지명을 받고 계약금 6000만엔, 연봉 1000만엔에 계약을 맺고 입단한다.
2.2. 한신 타이거스
데뷔 시즌인 2022년부터 1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하는 등 즉전력으로 주목받았고, 같은 해 3월 27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개막 3차전에서 선발 투수로 데뷔전을 가졌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5이닝 3실점으로 그럭저럭 던졌으나 타선이 침묵하여 패전 투수가 되었고, 이후 중간계투나 땜빵 선발로 몇 차례 더 등판했으나 승리 투수가 되지 못한 채 첫 시즌을 7시합(3선발) 0승 3패, ERA 5.02로 마무리지었다.2년차인 2023년에도 1군에서 스프링캠프를 시작했으나 시범경기까지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5월까지 2군에 머물러야 했다. 그러나 5월 중순에 1군에 등록된 이후 같은 달 26일 코시엔 홈 경기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선발 등판하여 7이닝 10탈삼진 1실점의 호투로 데뷔 첫 승리를 따냈고, 이후 프레시 올스타전에 구원 등판했다가 계투로써 쓸 만하겠다는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의 판단에 의해 후반전부터 중간계투로 전향하여 계투로 25경기 등판, 14홀드 ERA 0.94의 맹활약을 선보이며 한신의 18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그 후 일본시리즈에서도 3차례 등판하는 등 포스트시즌에서도 출장하며 38년 만의 시리즈 제패의 일원이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최대 150km/h대의 포심 패스트볼과 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 체인지업, 포크볼이 특징이다.4. 기타
- 별명을 2개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로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이 "어떤 상황에서 등판하든 결과를 남기는 만능 선수"라는 의미에서 붙인 '스페이드의 에이스(スペードのエース)'가 있다.
두 번째로 위 별명보다 더 잘 불리는 '루키 기리시키(ルーキー桐敷)'가 있는데, 데뷔 시즌인 2022년 스프링캠프 때 야노 아키히로 감독이 사전 퇴임을 발표해서 주목을 모을 시점에 한신 선수단이 미리 우승을 축하한다는 세레머니를 자체 진행하게 되었고#, 이때 니시 유키가 미리 좋은 일을 축하한다는 의미의 '예축(予祝)'이 적힌 티셔츠를 보여주며 기리시키에게 "루키 기리시키. 무슨 의미인지 알겠나?"라고 물어본 것이 유래. 당연하지만 이 갑작스러운(?) 상황을 이해할 리 없었던 데뷔 첫 시즌의 기리시키는 아무 대답도 못했다. 이 에피소드 이후로 루키 기리시키라는 별명이 정착하게 된 것인데, 참고로 저런 성대한 행사를 연 한신이 시즌 개막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한신 타이거스/2022년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