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Functionalism트랜스포머 IDW 코믹스에 등장하는 사이버트론의 정치사상 중 하나.
2. 설정
"모든 이의 형태에는 이유가 있다."
노미너스 프라임 시기 사이버트론의 기본 교리로, 태어난 외형에 따라 직업과 행동을 제한해야 하며, 그에 따라 신분을 정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예를 들어 현미경으로 변신이 가능한 트랜스포머의 경우는 과학자를, 굴삭기 등으로 변신 가능한 트랜스포머는 건설 현장에서만 일할 수 있다. 범용성 있는 변신 모드를 가진 트랜스포머는 직업 선택의 폭이 더 컸지만, 이 경우도 직업을 한 번 정하면 평생 바꿀 수 없었다.[1][2]
기능주의 사상에 기반한 카스트 제도는 특정한 변신 모드가 얼마나 희귀한지에 따라 계급의 상하가 갈리기 때문에 최고위 계층은 연구 장비 등으로 변신하는 과학·예술직종이 차지하고, 중간 계층에는 데이터 전문가, 문화 조사자, 프로그래머 등이 있으며, 최하위 노예 계층은 중장비 등으로 변신하는 광부·검투사·배달부 등 육체노동자들로 구성된다. 당연히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을 차별하는 것도 빈번하다 못해 당연시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마저도 디셉티콘이 창단될 시기에는 메가트론을 포함한 하위 노동자 계급들은 아예 본인들 몫의 에너존마저 받지 못한 채 데시머스 의원의 광산 자동화 정책으로 인해서 대부분이 실직했다. 광산에 직접 방문하여 이런 결정에 반발하는 광부들을 상대로 일장 연설을 하는 데시머스를 상대로 조목조목 반박하며 따지던 광부는 총에 맞아 숨지자, 분개한 광부들은 무장 봉기를 감행하였으며, 이 무장 봉기는 메가트론이 디셉티콘을 창설하여 대전쟁이 발발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된다.[3]
케이온에는 아예 오토봇 정부의 눈을 피해 지내며 기능주의 사상의 카스트 제도에 따르지 않은 채로 검투시합을 벌이는 지하 검투장이 대대적으로 성행했을 정도이며 이중에는 프레데콘들과 그림록 또한 존재했다.
[1] 불도저로 변신하는 트랜스포머는 변신 모드가 공사에만 쓰이기 때문에 육체노동자만 할 수 있었지만, 트럭으로 변신하는 트랜스포머는 변신 모드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육체노동자 외에도 경찰·데이터 기록관·과학자 등의 직업군 중에서 하나를 고를 수 있는 식으로 말이다.[2] 항공기로 변신 가능한 트랜스포머들은 이런 선택권조차 없이 변신하는 기종과 무관하게 항공 아카데미와 군대에 입대해야 했다. 월이 여기에 정면으로 반항하며 시계 수리공 일을 하다가 엠퓨라타를 당했다.[3] 사실 어찌 보면 이렇게라도 터져나온 것이 다행이다. 메가트론과 디셉티콘의 무장봉기가 없었던 세계선에서는 기능주의 의회가 노미너스 프라임을 제거하고 사이버트론의 모든 것을 장악한 디스토피아 세계가 펼쳐졌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