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1 14:44:44

금남호남정맥



한반도의 산맥 및 산경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산맥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마천령산맥 함경산맥 낭림산맥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소백산맥
노령산맥 태백산맥
}}}}}}}}}
[ 산경표 ]
}}} ||

1. 개요

1. 개요

錦南湖南正脈.

금남호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영취산에서 시작해 장수 장안산과 팔공산, 진안 마이산과 주화산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주화산에서 금남정맥호남정맥으로 나누어진다.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북쪽 사면에서 장수의 천천(天川)이 시작되어 401㎞의 금강을 이루고 남쪽 사면에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이 시작되어 225㎞의 섬진강을 이룬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이루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섬진강유역의 경계를 이룬다.
이 산줄기는 양유역의 기후 차이를 유발하여 연평균기온의 경우 북쪽은 12℃, 남쪽은 13℃이며, 개나리의 개화일도 5일간의 차가 생겨 섬진강유역은 대개 3월 25일경, 금강유역은 3월 30일경이 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남호남정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