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17:27:55

극락조자리


[[별자리|별자리
Constellatio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극락조자리
Apus (Aps)
<nopad>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aps.gif
학명 Apus
약자 Aps
주요 별 수 4
가장 밝은 별 α Aps (3.83 등급)
가장 가까운 별 HD 134606 (86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남쪽삼각형자리, 컴퍼스자리, 파리자리, 카멜레온자리, 팔분의자리, 공작자리, 제단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딥 스카이 천체

1. 개요

Apus, Aps

극락조자리센타우루스자리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남반구의 작은 별자리이다.

2. 상세

천구의 남쪽 가까이에 위치한 관계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북반구 대부분 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북반구 내에서는 위도 기준 북위 5도 이남으로는 내려가야 볼 수 있다. 그나마도 구성하고 있는 별들이 전부 어두운 별들이어서 관측 자체도 그다지 쉽지는 않은 별자리이다.

설정 자체는 1600년경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와 프레데릭 드 호트만이라는 두 명의 네덜란드인 탐험가들의 손에 이루어졌지만, 정식 별자리로 자리잡은 것은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되면서부터이고 이후부터 인정되었다.

이후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유가 여러 밝은 별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12개의 별에 α(알파)부터 κ(카파)까지 12개의 별에[1]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그리스어를 붙였다.

별자리 이름의 극락조는 실존하는 새로, 대항해시대 이후로 유럽에서 매우 진귀하게 여겨졌던 이 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하지만 이 때문에 당시 극락조의 남획이 매우 심각했는데, 원주민들이 이 새를 잡아다 발을 잘라낸 다음 유럽으로 수출하는 형편이었다고 한다.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인 만큼 관련 신화나 전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3. 발견된 천체

파일:극락조자리아웃라인.png
[[극락조자리#구성원|극락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파라디스
Paradys
베타성
극락조자리 베타
β Aps
감마성
극락조자리 감마
γ Aps
델타성
극락조자리 델타1·2
δ Aps
엡실론성
극락조자리 엡실론
ε Aps
제타성
극락조자리 제타
ζ Aps
에타성
극락조자리 에타
η Aps
세타성
극락조자리 세타
θ Aps
이오타성
극락조자리 이오타
ι Aps
카파성
극락조자리 카파1·2
κ Aps
그 외 극락조자리에 속한 항성
극락조자리 R 극락조자리 S 극락조자리 Z 극락조자리 MY
극락조자리 NN 극락조자리 NO 고지라 HD 137388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101S ||<bgcolor=white,#1c1d1f><width=25%> IC 4499S ||<bgcolor=white,#1c1d1f><width=25%> Hen 2-131N ||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극락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3.1. 항성

  • α Aps(Paradys, 파라디스): 겉보기 등급 3.83등급의 K2.5형 거성으로, 반지름은 태양의 약 48배이고 태양보다 980배 더 밝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430광년이다. 2025년 5월 18일 파라디스라는 이름이 공식 채택됐다.
  • γ Aps: 겉보기 등급 3.86등급의 G9형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50광년이다.
  • β Aps: 겉보기 등급 4.24등급의 K0형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149광년이다.
  • θ Aps: 겉보기 등급이 4.65~6.2등급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보통 119일을 주기로 평균 약 5~6등급 사이에서 변광하지만 가끔 더 밝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별은 M7형의 거성이며 분광형 미상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50광년이다.
  • δ Aps: 겉보기 등급 4.66~4.87등급의 M5형 거성인 극락조자리 델타¹과 겉보기 등급 +5.27등급의 K3형 거성인 극락조자리 델타²로 나뉜다. 안시쌍성이다. 관측조건이 좋이면 맨눈으로도 분리해 볼 수 있다.
  • ε Aps: 겉보기 등급 5.06등급의 B3형 주계열성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이다.
  • HD 134606: 6.85등급의 G6형 준거성으로, 3개의 행성이 발견되었다. 지구와의 거리는 87광년이다.
  • HD 137388(Karaka[2], 카라카): 8.7등급의 K2형 준거성으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속하는 외계행성 '케레루'[3]가 존재한다. 케레루는 카라카로부터 0.89천문단위떨어진 곳에서 330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32광년이다.
  • S Aps: 겉보기 등급이 9.54에서 무려 17등급까지 떨어지는 북쪽왕관자리 R형 변광성으로[4], 모든 이 유형의 변광성이 그렇듯 탄소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3000광년으로 매우 멀다.

3.2. 딥 스카이 천체

극락조자리는 남반구 은하수와 가까운 거리에 있지만 은하수 내 천체는 거의 없으며, 몇몇 구상성단이나 어두운 행성상성운 등이 주로 분포한다.

* NGC 6101: 겉보기 등급 9.2의 구상성단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47,600광년이다. 콜드웰 목록 107번이기도 하다.
* IC 4499: 겉보기 등급 9.8의 구상성단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50,000광년이다. 적위가 -82에 달하는 천구상으로 가장 남쪽에 위치한 구상성단이다.
* Hen 2-131: 겉보기 등급 10.5의 행성상 성운으로, 중심별은 HD 138403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7,000광년이다.

[1] 이중 δ(델타)와 κ(카파)별에는 첨자가 붙어 2개로 나뉘었다.[2] 마오리어이며, 뉴질랜드 월계수라고도 불리는 나무 이름이다.[3] 뉴질랜드 비둘기를 뜻한다.[4] 적색거성에 백색왜성이 합병되었을 때 탄생하는 걸로 추정되는데, 너무나도 희귀해서 지금까지 100개 정도 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