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 월영캠퍼스 | 팔용캠퍼스 | |||
| 대학 정보 | ||||
| 역사 | 학부 | 상징 | 교통/상권 | |
| 관련 기관 | ||||
| 북한대학원대학교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 | ||
| 극동문제연구소 The Institue for Far Eastern Studies | |
| 국가 | <colbgcolor=#ffffff,#191919> |
| 분류 | 연구소 |
| 설립 | 1972년 경남대학교 부설 통한문제 연구소 설립 |
| 총장 | 제12대 이관세 소장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5길 2 (삼청동) |
|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극동문제연구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경남대학교 부설 연구소다. 경남대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한마학원이 설립, 운영하는 대학원대학인 북한대학원대학교와 같은 건물에 있다.문의전화는 02-3700-0700, 0707 이다.
2. 역사
1972년 경남대학교 부설 통한문제연구소로 시작했으며 197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 후 2대 소장으로 현재 경남대학교 총장으로 재임 중인 박재규 박사가 취임했다. 이후 설립된 북한대학원대학교와 같은 건물에 위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3. 활동
북한 관련 연구 활동을 하고, 보고서도 발간한다. 홈페이지에서 대부분 열람할 수 있다. 북한 열병식이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4. 북한자료 전문도서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북한대학원대학교 도서관은 지난 50년간 국내 대학 내 유일한 통일·북한 전문 도서관으로서 북한의 각 분야 원전자료를 비롯하여 통일·남북관계·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극동문제연구소와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생산되는 각종 연구간행물을 제공하여 국내외 통일 및 북한 연구·교육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북한 발행 원전자료 접근의 현실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연구기관 및 연구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6년에는 특수자료 전용 아카이브 시스템을 개발·구축하였다.
2만여 권의 북한 원전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된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북한 발행 정기간행물과 단행본 자료의 관리 및 접근성 개선하고, 시청각 자료의 원문 제공 등 지속적인 디지털 콘텐츠 구축을 통해 ‘통일 · 북한 전문 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그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오고 있다.
도서관 이용 자격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직원, 재학생 그리고 도서관 유료회원이다. 2025년 5월 북한자료 개방 이후, 도서관 유료회원은 북한자료 열람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용자들의 관심과 방문이 크게 증가하였다.
도서관 유료회원은 일반회원, 학생회원, 기관회원, 개인평생회원, 기관평생회원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