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2:12:00

그림 동화 변주곡

NETFLIX 오리지널
그림 동화 변주곡 (2024)
グリム組曲
The Grimm Variations
<nopad> 파일:그림 동화 변주곡 키 비주얼.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판타지, 호러, 드라마
감독 카나모리 요코1화
아카마츠 야스히로(赤松康裕)2화
하시구치 준이치로(橋口淳一郎)3화
카마쿠라 유미4화
타케우치 마사토(竹内雅人)5화
나카자와 신타로(仲澤慎太郎)6화
쿠보 유타로(久保雄太郎)・마이야 사토미(米谷聡美)프롤로그&에필로그[1]
조감독 카타쿠라 아오이치(片倉青一)3화
각본 요코테 미치코
캐릭터 원안 CLAMP
캐릭터 디자인 오오스기 나오히로(大杉尚広)1~3, 5화
요네카와 마이(米川麻衣)4, 6화
토리 나미코(鳥井なみこ)프롤로그&에필로그[2]
서브 캐릭터 디자인 미노와 아이코(簑輪愛子)3, 5화
총 작화감독 오오스기 나오히로1~3, 5화
액션 작화감독 세라 유코(世良悠子)1화
호시노 타쿠(星野 拓)3화
이펙트 작화감독 코타케 아유무(小竹 歩)2화
프롭 디자인 이시모리 렌(石森 連)・히라타 료오(ヒラタリョウ)1~3화
타카바타케 사토시(高畠 聡)3화
요네카와 마이4, 6화
세타 미하루(瀬田美晴)5화
이미지 보드 사이토 엔조(斎藤猿三)5화
컬러 스크립트 세타 미츠호(瀬田光穂)5화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1~3, 5화
콘노 나루미(今野成美)3화
사토 마유미(佐藤真由美)4, 6화
이토 유이(伊藤 唯)프롤로그&에필로그
3D 감독 나가하마 히로키(長濱裕樹)1, 2화
3DCG 제작 그라피니카5화
미술 감독 카토 히로시(加藤 浩)・고토 치히로(後藤千尋)1~3, 5화
오오노 히로시(大野広司)4, 6화
미술 디자인 카토 히로시1~3, 5화
타카바타케 사토시3, 5화
오오노 히로시4화
미술 Bamboo・타케다 유스케・야나가와 마리(柳川真梨)프롤로그&에필로그
촬영 감독 스즈키 아사요(鈴木麻予)1화
타나카 코지2, 4, 6화
오오타 호나미(太田帆波)3, 5화
요코이 타케루(横井武尊)프롤로그&에필로그
편집 사카모토 쿠미코(坂本久美子)1~2화
나가사카 토모키(長坂智樹)3, 5화
하마즈 타에코(濱宇津妙子)4, 6화
음향 감독 코이즈미 키스케
음향 제작 dugout
음악 미야가와 아키라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사쿠라이 타이키(櫻井大樹)
프로듀서 와다 죠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나카타케 테츠야・니노미야 겐타(二宮源太)1~3, 5화
마츠시타 케이코4, 6화
애니메이션 제작 WIT STUDIO
제작협력 Production I.G4, 6화
제작 Netflix
송신 시기 2024. 04. 17.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독점
편당 러닝타임 44분(1화)
37분(2화)
47분(3화)
45분(4화)
32분(5화)
47분(6화)
화수 6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4.1. 주연4.2. 회차별 인물
5. 줄거리와 원작과의 차이
5.1. 신데렐라5.2. 빨간 망토5.3. 헨젤과 그레텔
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미디어 믹스
8.1. 코믹스

1. 개요

그림 동화리부트한 일본의 오리지널 WEB 애니메이션. 캐릭터 원안은 CLAMP, 애니메이션 제작은 WIT STUDIO가 담당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다. 2024년 4월 17일 전 세계 공개.

그림 동화에서 영감을 얻은 단편을 모은 작품으로 전체를 총괄하는 감독은 없고 에피소드 별로 감독이 다르다. 푸른 문학 시리즈와 유사한 방식이라 이해하면 쉽다. 매회 새로운 에피소드가 나오는 형식이다.

2. 공개 정보

2.1. PV

공식 예고편

2.2. 키 비주얼

파일:그림 동화 변주곡 티저 비주얼.png
티저 비주얼

3. 줄거리

어느 옛날, 야코프빌헬름 형제는 나라 곳곳을 다니며
동화를 수집해 책으로 엮는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에게는 나이 터울이 큰 여동생이 있었습니다.

이름은 샤를로테. 순진무구하고 호기심 왕성한 소녀로,
두 오빠는 동생을 무척 아꼈습니다. 어느 날, 평소처럼
샤를로테에게 동화를 들려준 두 오빠는 동생의 표정이
어두워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샤를로테는 오빠들에게 물었습니다.
"정말로 그들이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을까?"

'그림 동화'를 쓴 야코프빌헬름. 하지만 두 오빠와는
많이 다른 샤를로테의 독특한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된
'그림 동화'. 그 이야기의 책장이 지금 펼쳐진다.
― 넷플릭스 작품 소개 중

4. 등장인물

4.1. 주연

4.2. 회차별 인물

5. 줄거리와 원작과의 차이

5.1. 신데렐라

근현대 일본을 배경으로 하지만 귀족계층에 가까운 주인공 집안괴 그곳에 두 딸을 데리고 들어온 계모 등 이야기의 큰 틀은 원작과 거의 똑같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 후 계모와 딸들이 신데렐라를 하녀 취급한 원작과는 달리 본작의 두 언니는 조금 품위가 부족하고 철이 없을 뿐 악인까지는 아니다. 계모 역시 일반인 출신이지만 상냥한 사람이라 본작에서 신데렐라 역할인 키요코가 식모살이를 하는 건 아무도 시키지 않았는데 자진해서 하는 것이며, 키요코는 피해자를 연기해 두 언니를 주변에서 딱 신데렐라 원작의 두 언니같은 파렴치한으로 여겨지고 멸시받도록 유도하면서 재밌어하는 미친 여자이다.

키요코는 계모나 언니들을 원망하는 것도 아니고 인형놀이를 하는 감각으로 사람의 인생을 움직이며 노는 것이며 심지어 왕자님 포지션인 이치죠에겐 별 관심이 없고 두 언니에게 가장 애착이 강하다. 키요코의 아버지도 키요코에게 속아 양딸 둘이 키요코를 괴롭힌다고 믿었는데 거기서 더 나아가 둘을 강제로 유학보내려 했기에 키요코에게 살해당한 것이며, 계모도 역할이 없어지자 오랜 시간을 들여 키요코에게 독살당했다.

언니 둘이 무도회에 나간 것은 벼락출세를 노린 원작과는 달리 다른 집에 시집가서 키요코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필사의 탈출극이었으나, 품위없게 행동한 둘째의 실수에 더해 딱 원작의 신데렐라처럼 화려하게 재등장한 키요코가 이치죠의 마음을 빼앗고 둘을 악녀취급 받게 하면서 이마저도 실패하고, 끝내 키요코를 구하러 찾아온 이치죠에 의해 저택에서도 쫓겨나게 된다.

그러나 반전이 있었는데 두 딸은 평범하게 결혼해선 키요코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걸 알고 있었으며, 무도회장에서 실수한 것이나 고용인들을 막 대해 자신들의 평판을 떨어뜨리고 이치죠의 분노를 사 집에서 쫓겨난 것도 전부 의도한 것이었다. 둘은 키요코가 역할놀이를 즐기고 있다는 것을 간파하고 이상적인 악역을 연기해서 키요코가 만족할 만한 결말을 주어 탈출이 아닌 퇴장을 해야만 그녀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행동했던 것이다. 마지막에 키요코가 의미심장하게 웃으며 끝이 나지만 두 언니를 다시 잡아오려 하는지 새 희생양을 잡으려는 건지는 불명이다.

5.2. 빨간 망토

늑대 포지션인 그레이라는 남성 시점의 이야기로, 무대는 극도로 발달한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인류가 대부분의 자극을 가상으로 대체하여 살아가는 SF 세계관이다.

그레이는 그런 세계 속에서 '리얼리티'가 아닌 '리얼'을 중시하는 재벌과 권력자들이 모인 쾌락 살인마 집단의 일원으로, 가상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을 추격해 실제 모습을 찾아내어 살해하며 그룹의 힘으로 사건을 묻어버리며 살고 있었다.

그러나 점점 과격해지는 행위에 그룹에서도 그레이에게 경고하며 자제를 부탁하고, 그룹 동료인 브라운은 그레이를 만족시키고 진정시키기 위해 빈민가에 사는 노파를 소개한다. 그레이는 그곳을 찾아가 질좋은 희생양이 될 소녀인 '빨간 망토'를 알선받는다.

결국 노파가 소개해준 빨간 망토인 '스칼렛'을 찾아가 위기에서 구해주고 집까지 찾아가지만, 사실은 첫만남부터 전부 스칼렛이 연출한 것이었고 그레이는 역으로 스칼렛에게 감금당해서 천천히 살해당하게 된다.

할머니가 보낸 빨간망토에게 늑대가 접근했다가 결과적으로 역으로 살해당한다는 틀 말고는 아무것도 원작 동화와의 접점이 없고 전개도 완전히 달라서 괴리가 가장 크고 맥거핀도 많은 에피소드.

5.3.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이 사는 집은 원작의 일반적인 가정집이 아닌 수많은 아이들을 교육하는 시설이다.

아빠와 엄마라고 불리는 매우 기계적인 보육교사들과 영혼이 느껴지지 않는 듯한 아이들, 아이들이 배우기엔 이상할 정도로 수준이 높은 교육 내용, 군대같이 규칙잡히고 울타리를 절대로 넘어서는 안된다는 엄격한 생활과 무엇보다 나날이 줄어가는 기념사진 속의 아이들이 모습이 오싹한 위화감을 준다. 그러나 헨젤과 그레텔을 비롯한 아이들은 나름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시설에서 말썽을 일으킨 헨젤과 그레텔은 숲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벌칙을 받게 되고, 숲속의 오두막에서 마녀를 만나 이 세상에는 끝이 존재하며 체육시간에 날아간 공을 울타리를 넘어 제 발로 쫓아가면 세상의 끝을 확인할 수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다음 날 마녀의 말대로 울타리를 넘어간 헨젤은 공이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에 부딪히는 것을 보게 되고, 마녀를 만나며 이 시설의 위화감에 대해 탐구한 끝에 마녀에게 이정표가 되어주는 마법의 사탕을 받아서 보이지 않는 장벽을 돌파해 세상의 밖으로 나가게 된다.

세상의 밖은 창밖으로 우주가 보이는 새하얀 공간이었고 헨젤과 그레텔은 어느새 둘을 쫓아온 엄마를 따돌리고 작은 우주선들이 있는 방에 도달하는데, 그곳에서 마녀에게 이 세상과 시설의 진실을 듣게 된다.

사실 지구는 진즉에 황폐화되어 사람이 살 수 없는 별이 되었고, 인류는 종을 보존하기 위해 사람들을 우주로 쏘아보내 새로운 별을 개척하려 했다. 보육교사들은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이었으며 우주선 속의 가상공간에서 아이들에게 테라포밍을 위한 지식을 교육시켜 새로운 별로 파견하는게 시설의 역할이었으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 미지의 세상으로 나아가려 하는 탐구심과 호기심이었기에 이것들이 충족된 아이들은 마녀의 집을 찾아가는 테스트를 거쳐 시설을 나가는 것이었다.

그렇게 헨젤도 시설을 나가게 되지만 계속 함께 해왔던 그레텔은 사실 헨젤의 또다른 인격이자 상상친구였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결국 헨젤은 정든 시설과 그레텔을 남겨두고 새로운 별로 떠나게 된다. 그곳에는 지금까지 사라졌던 다른 친구들이 먼저 도착해 별을 개척하고 있었고 다른 아이들도 마녀의 집을 찾아가 언젠가 모두 별에 정착할 것이라는 내용을 보여주며 끝이 난다.

그림 변주곡 중에서도 가장 밝고 희망찬 내용이며 유머스러운 장면도 여러번 나온다. 로봇 교사들도 사실은 인격을 가진 사람에 가까우며 아이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나오는 등 훈훈한 에피소드이다.

6. 주제가

6.1. OP

OP
ディレクションズ
Directions
WEB ver.
  • 오프닝 애니메이션 디렉터는 '홋치 카즈히로(ホッチカズヒロ)'.

6.2. ED

엔딩 애니메이션은 'sankaku△' 가 담당했다.

7.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제목[3] 감독 콘티 연출 작화감독 캐릭터 디자인 총작화감독
제1화 신데렐라 카나모리 요코 누마타 쿠미코
(沼田くみ子)
타카쿠 미야
(高久美弥)
야마모토 유코
(山本祐子)
테즈카 쿄헤이
타카하시 나오코
(高橋直子)
세라 유코[A]
(世良悠子)
오오스기 나오히로
(大杉尚広)
제2화 빨간 모자 아카마츠 야스히로
(赤松康裕)
누마타 쿠미코
야마모토 유코
타카쿠 미야
Marc Galang
장 샤오웨이
(張 紹偉)
코타케 아유무[E]
(小竹 歩)
제3화 헨젤과 그레텔 하시구치 준이치로
(橋口淳一郎)
하시구치 준이치로
마츠카와 토모히로
(松川朋弘)
미노와 아이코
(簑輪愛子)
Marc Galang
야마모토 유코
타카쿠 미야
누미타 쿠미코
(沼田久美子)
호시노 타쿠[6]
(星野 拓)
제4화 요정과 구두장이 카마쿠라 유미 카마쿠라 유미
사사키 신사쿠
카마쿠라 유미 이시카와 마리코
(石川真理子)
요네카와 마이
(米川麻衣)
오리이 카즈마사
(折井一雅)
나구라 사토시
(名倉智史)
카타기리 타카히사
(片桐貴悠)
요네카와 마이 -
제5화 브레멘 음악대 타케우치 마사토
(竹内雅人)
타케우치 마사토
오히가시 노부히코
(尾東ノブヒコ)
카와베 신야
(川部真也)
미카미 아야
(三上 彩)
아카마츠 야스히로
하시구치 준이치로
오오스기 나오히로
미노와 아이코
누마타 쿠미코
타카쿠 미야
호시노 타쿠
오오스기 나오히로
제6화[7][8]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람 나카자와 신타로
(仲澤慎太郎)
나구라 사토시 요네카와 마이 -

8. 미디어 믹스

8.1. 코믹스

파일:그림 동화 변주곡 코믹스.jpg 파일:그림 동화 변주곡 코믹스_작가 축전.jpg
2024년 4월 17일에 본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하는 코믹스의 연재가 시작됐다. 연재처

작가는 메구미 코지(恵広 史).


[1] 콘티 겸임. 연출은 하타 히나(仲畑ひな).[2] 1인 작화감독 겸임.[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판을 기준으로 한다.[A] 액션 작화감독[E] 이펙트 작화감독[6] 액션 작화감독 겸임.[7] 원화 나구라 사토시(名倉智史), 타카하시 히데키(高橋英樹), 미츠나카 스스무, 야마시타 아키히코, 하마다 타카유키,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혼다 타케시 등.[8] 나카자와 신타로 감독이 미야자키 하야오의 제자라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터가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