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배 | 버닝 이펙트 | 생존고백 |
그레이마크 | ||
등장인물 | 설정 |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그레이마크 the GRAYMARK | |
<nopad>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 액션 판타지 |
작가 | 박태현 |
연재처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시리즈 ▶ |
연재 기간 | 2024. 08. 17. ~ 연재 중 |
연재 주기 | 일 |
이용 등급 | 15세 이용가 |
관련 사이트 |
1. 개요
한국의 액션 웹툰. 작가는 박태현. 작가의 전작 버닝 이펙트, 지배, 생존고백의 에필로그 이후의 이야기며 작가의 웹툰 유니버스인 WORLD OF GRAYMARK의 최종장이다.2. 줄거리
수많은 죄를 짓고 우주로 쫓겨난 잔학무도한 죄인 <그레이트>
그곳에서 만난 우주의 왕 <로훔로가하>에 의해 과거로 내쫓겨진다.
그레이트는 과거 범했던 숱한 잘못을 바로잡고
올바른 미래를 다시 쓰려 하는데..
집행인으로서 많은 사람을 목숨을 빼앗은 그레이트는 지구 정복을 선언했으나 왕에게 우주로 추방당하게 된다.[1] 그레이트는 우주를 떠다니던 중 로훔로가하를 마주치게 된다. 로훔로가하는 우주가 더러워진다며 그레이트를 없애려했지만, 되레 자신의 목이 그레이트에게 베일 위기에 처하게 된다. 로훔로가하는 죽지 않기 위해 그레이트그곳에서 만난 우주의 왕 <로훔로가하>에 의해 과거로 내쫓겨진다.
그레이트는 과거 범했던 숱한 잘못을 바로잡고
올바른 미래를 다시 쓰려 하는데..
3. 연재 현황
네이버 웹툰에서 2024년 8월 17일부터 매주 일요일에 연재된다.4. 특징
지금 이 순간,
모든 이야기가 바뀌기 시작했으니.
관중들이여.
지난 이야기를 안다고 자신하지 말라.
죽었던 자는 안심하지 말라.
지금 이 시점부터,
역사가 다시 쓰여진다.
GRAYMARK season 1
검은피의 도시 개막(開幕)
3화 나레이션 일부
전작을 읽었던 독자들은 버닝 이펙트의 후속작으로, 전작을 모르는 독자들은 일종의 회귀물 장르로 볼 수 있으며, 그레이트가 압도적인 힘과 미래의 지식들을 바탕으로 과거를 너무나 큰 폭으로 바꿔가기 때문에 전작을 모르는 독자들은 물론 전작을 봤던 골수팬들조차도 전개를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그레이트가 과거로 떨어지자마자 전작의 대형 빌런을 한 칼에 썰어버린 것이 있다.모든 이야기가 바뀌기 시작했으니.
관중들이여.
지난 이야기를 안다고 자신하지 말라.
죽었던 자는 안심하지 말라.
지금 이 시점부터,
역사가 다시 쓰여진다.
GRAYMARK season 1
검은피의 도시 개막(開幕)
3화 나레이션 일부
다만 이런 행동은 전작에서 바뀐 신념이 다시 이전으로 돌아간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낳았고, 베어도 그것이 확실치 않아서 그레이트에게 자신의 힘을 넘기지 않았다. 그래서 과거를 바꾸며 베어가 만족할 만한 답을 내는 것이 그레이트의 주요 숙제가 되었다.
버닝 이펙트의 후속작 및 과거 이야기이므로 전작을 알고 보면 더욱 이입이 잘 되고 재미있게 볼 수 있긴 하지만 작품 내에서도 어느 정도는 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전작을 보지 않았다고 못 볼 만화는 아니다.[2] 그래도 어느 정도의 사전지식이 요구되는 점은 있다.
또한 검은피의 도시 개막이라고 써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부터 하고 싶었던 그레이트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를 이제야 풀어내게 된것으로 보인다.
5. 해외 연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min(0.9em, 3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6.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ORLD OF GRAYMARK/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WORLD OF GRAYMARK/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레이트
수많은 죄를 짓고 우주로 쫓겨난 잔학무도한 죄인. 그곳에서 만난 우주의 왕 로훔로가하에 의해 과거로 내쫓겨지고 과거 범했던 숱한 잘못을 바로잡고 올바른 미래를 다시 쓰려 한다.
- 로훔로가하
우주로 쫓겨난 그레이트가 만난 우주의 왕. 그레이트를 과거로 쫓아내려 했지만, 자신의 일부도 함께 과거로 떨어지고 만다.
7. 설정
8. 떡밥
- 헤도스의 정체
남들한테 보이지않는 로훔로가하를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본것과 그레이마크0에서 나온 모습.
- 로훔로가하의 목적
GRAYMARK 0편에서 로훔로가하가 그레이트와 과거로 간것이 사실 의도적이었다는게 암시되며 과거로 간 목적또한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배때 인간의 몸을 얻었던것처럼 물리법칙을 거스르는 힘이 깃든 그레이트의 몸을 얻기 위해서라는 추측을 했으나 28화에서 로훔로가하가 그레이트의 힘을 그저 흥미로운 유흥거리마냥 취급하면서 확실치 않게 되었다.
8.1. 버닝 이펙트와의 괴리
전전작인 버닝 이펙트와 세세한 차이점들이 있다. 나열하자면- 전작에서는 기존의 이질적인 모습으로 그레이트와 돼지가 탄 우주선을 손으로 짓이기며 공격한 반면 그레이마크에서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킹스핑거라는 병기로 공격한 것
- 그레이마크에서 설명된 그레이트의 과거가 버닝 이펙트 당시의 행적과 다른 부분이 있는 점[3]
- 같이 우주로 떠났던 Y의 행방이 묘연한 점
- 언급도 되지 않던 마스터의 딸이자 레오의 누나 마르게리타 합스부르크의 등장
- 마스터가 에넥도트 학살을 방해할 하이퍼를 그냥 봐주는 것.[4]
- 버닝 이펙트에서는 합스부르크의 수족같이 묘사된 다른 관리장로들이 그레이마크에서는 권력을 취하려는 마스터의 뜻에 반발해 각자만의 판단을 하는 것
- 에넥도트 가문이 납치된 시점이 버닝 이펙트에서는 800년 전쟁 전에 합스부르크가 에넥도트를 숨긴것에 반해[5] 그레이마크에서는 수십년전에 바실리스크의 아버지가 자취를 감추고 있던 에넥도트를 찾아 가둬놨다는 서로 다른 언급 인것
자세한건 로훔로가하 문서의 추측 참조.
9. 여담
- 연재 전에는 그레이트가 왕와 전투를 벌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도주한 뒤 또다른 세계를 돌아다니며 동료들을 모음과 동시에 왕에게 대적하다가 버닝 이펙트 에필로그2 이후의 스토리로 넘어갈 것이라는 추정이 지배적이었으나 왕이 처음부터 참수당하고 그대로 둘의 몸이 융합되며
섞으며과거로 가 과거의 이야기를 바꾼다는 예측할 수 없는 전개에 기존 독자들에게 패닉을 줌과 동시에 관련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8]
- 연재를 하자마자 버닝 이펙트와 같이 며칠동안 인기급상승 1위에 오르는 위상을 보여준다.[9]
[1] 꽤 많이 왜곡된 소리. 왕은 그레이트를 벌하지도 않았으며, 그레이트가 우주로 떠난 것은 로훔로가하를 처단하기 위함이다. 평행세계의 그레이트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2] 주로 그레이트와 몸이 합쳐진 로훔로가하가 그레이트의 생각을 읽거나 대화하는 방식으로 설명이 된다.[3] 그레이트는 애초에 저지된게 아닌 설득당하여 저지당해준 점, 우주로 추방당한게 아닌 그레이마크의 적 로훔로가하를 처단하기 위해 우주로 떠난 점 등이다.[4] 에넥도트 학살은 싸움이라고도 할 수 없는 말 그대로 일방적인 대학살이었다. 그런데 마르게리타는 이걸 전쟁이라고 표현했고 하이퍼는 그 전쟁을 더 엉망으로 만들어줄거라며 마스터를 설득했다. 다만 후반에 자신의 힘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다른 구역의 병력 끌어와 공멸시키려는 의도로 드러난다.[5] 에넥도트가 자취를 감춘 원인이 사실 합스부르크가 에넥도트를 숨겨서인데 작중 에넥도트가 자취를 감춘 시기가 800년 전쟁 전이기에 이렇게 해석된 면도 있다. 다만 서술 트릭일 수 있고 납치한 시간은 긴 시간동안이란 언급 뿐이라서 아직 정확하진 않다.[6] 원래의 이질적인 모습과 달리 그레이마크 때의 모습은 우주급 이야기를 지닌 존재들처럼 삐까번쩍한 신비한 모습을 하고 있다.[7] 그전까지는 온 우주를 지배하려는 탐욕적인 침략자라는 묘사였으나 그레이마크에서는 우주의 평화를 가져다준 전능한 왕이라는 다소 괴리감이 느껴지는 묘사로 되어있다.[8] 관련 추측들은 로훔로가하 문서 참조.[9] 버닝 이펙트가 네이버 웹툰에 이적함에 따라 기존의 카카오웹툰 독자들이 대거 넘어오면서 추가로 기존의 네이버웹툰에 있었던 생존고백 독자들과의 콜라보로 생긴 현상이라 추측된다. 그러나 그곳에 지배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