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끝없는 어둠,한글명=그런티, 일러명=그런티(한글판), 영문명=Grunty,
비용=8, 공격력=3, 생명력=4,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무작위 멀록을 넷 소환한 후\, 적 하수인들에게 발사합니다.,
효과2=대상을 선택하세요!,
플레이버한=<아옳옳옳\, 드디어 올 것이 왔군.>,
플레이버영=<Mrrglglg\, it's about time.>,
황금획득=제작 또는 카드팩\, 황금 스타크래프트의 영웅들 구매,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SC_013.webm,
다이아=, 다이아획득=황금 스타크래프트의 영웅들 구매, 다이아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dia_webms/SC_013.webm)]
2. 상세
끝없는 어둠의 미니 세트 스타크래프트의 영웅들에 출시된 중립 전설 하수인으로 스타크래프트 2에서 이스터 에그로 등장한 멀록 해병 그런티이다. 능력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 등장하는 멀록 머키[1]의 궁극기 멀록 대행진을 사용하면 멀록을 소환하여 적을 공격하는 것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3. 성능
정규전 랩터의 해의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기준으로 장점을 찾기 힘들다.8마나 3/4 스탯은 전투의 함성을 감안해도 너무 높은 비용에 비해 부실한 능력치를 지녔다. 이때문에 비용이 8인 무작위 하수인을 소환하는 효과에서 소환되는 대표적인 함정 하수인으로 자리잡았다.
그나마 전투의 함성 시너지라도 좋으면 부실한 능력치를 커버하고도 남겠지만 랩터의 해 기준으로 정규전에서 쓸 수 있는 멀록들의 자체 능력치들은 대부분 너무 낮다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후술할 그런티의 효과로 소환되는 무작위 멀록을 보자면 만지느러미 보디빌더, 변이하는 생명체를 제외하면 스탯이 강력한 카드들이 없다. 비슷한 효과에 멀록 대신 언데드가 나오는 스컬지는 언데드들의 평균적인 성능이 훨씬 좋아서 9코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취향에 따라서 채용되기도 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이런 무작위 소환 하수인들은 대부분 높은 비용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멀록 카드들은 야생전을 포함해서 고비용 멀록의 수가 너무 적다. 그런티 본인을 제외하더라도 야생 카드인 거대지느러미는 거수라서 무작위 소환 효과로는 소환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기존의 멀록 덱하고 어울리는 것도 아닌 것이 기존의 멀록 덱은 저비용의 멀록들을 대량 전개해서 멀록 종족 광역 버프 카드들을 사용해 멀록들로 이기는 어그로덱 컨셉인데, 그런티는 비용이 8마나인 시점에서 어그로 멀록 덱에서 사용할 수가 없는 카드다.
의외로 투기장 밸런스를 맞춰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전까지만 해도 투기장 1티어였던 주술사의 성운 카드에서 튀어나오게 간접 너프를 시켜주기 때문. 동시에 직접 내는 경우, 투기장에서는 나름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4. 역사
4.1. 출시 전
스타크래프트의 영웅들 미니 세트의 전설 카드라는 사실이 공개되지마자 많은 유저들의 욕을 한바가지로 먹었다. 안그래도 미니 세트 대부분의 카드에서 일러스트 고증 문제로 평이 그다지 좋지 않았는데 미루고 미루다 공개한 전설 커드가 스타크래프트와 상관없는 멀록에 성능도 실전성이나 재미 면에서도 뭐 하나 좋은 구석이 없어 불타는 여론에 부채질을 하는 꼴이었다.이전의 미니 세트의 유일한 공용 전설 카드이니만큼 유저들은 위대한 제피르스나 고독한 방랑자 리노처럼 넓은 범위에 걸쳐 활용될 수 있는, 성능과 재미를 모두 갖춘 신카드를 기대했지만 막상 나온 내용물은 도저히 2025년의 신규 카드라고 볼 수 없는 형편없는 성능으로 스니드의 걸작 거수처럼 적 하수인들에게 원하는 만큼 피해를 나눠 가해 효율적으로 필드를 정리할 수 있는 하수인이지만 3년도 더 전인 2021년 4분기에 출시된 하수인과 밸류 면에서 비빈다는 것 자체가 문제이다.
정규전(페가수스의 해)에서 생성될 수 있는 멀록 풀의 1/3이 공체합이 3 이하이며[2] 아오욿 아옳으엃처럼 고성능 죽메를 기대할 수도 없다. 그나마 보험을 기대해볼만한 느긋한 쿠키는 그런티의 전투의 함성으로 생성되지 않는다.[관련정보글] 하수인의 바닐라 체급으로 승부하려 해도 공체합이 11이상인 정규 멀록 하수인은 4/7인 만지느러미 보디빌더, 3/8인 변이하는 생명체, 6/6인 융합체 밴드 단 셋뿐으로 1/7의 확률로 뽑을 수 있다. 도저히 8코스트를 쓰며 낼 만한 하수인이 아닌 상황.
4.2. 출시 후
유저들의 예상대로 최악의 실전 성능을 선보여 아무도 덱에 집어넣지 않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미니 세트 카드들이 출시 전 예상을 뒤집고 준수한 성능으로 메타를 환기하는 데 성공한 것에 비해 폐급 전설의 입지를 차지했으며 스타크래프트 미니 세트 출시 이후 메타는 8턴 정도면 승부가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런 카드로는 8턴 게임을 뒤집을래야 뒤집을 수 없다. 정규전에서는 적어도 원작이든 하스스톤 오리지널이든 깡스텟이 높은 컨셉의 멀록이 나오지 않는 이상 포텐셜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그나마 활용 가능성이 있다면, 상술한 야생으로 바다아귀 쐐기술사를 이용해 4턴 날빌 그런티를 던지는## 정도의 활용법이 보고되고 있다. 이미 해당 덱이 걸신들린 무타누스, 거대지느러미로 날빌을 하고 있었던 걸 생각하면 날빌 보상이 하나 늘어난 셈.
랩터의 해 첫 확장팩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에서 멀록 하수인은 단 한 장만 추가되었는데, 이 유일한 멀록 하수인이 1마나 1/1 스탯이라 간접 하향만 받았다.
5. 그런티의 효과로 소환되는 무작위 멀록
5.1. 정규전(랩터의 해)
당첨 카드는 검은색 볼드, 꽝 카드는 붉은색 볼드 표기.- 1코스트 : 쑥쑥지느러미 멀록, 갉아먹는 녹색지느러미, (그런티의 효과로 처음에 소환되면 당첨)멀록 파도술사, 미랋, 적응형 융합체
- 2코스트 : 멀록 바다사냥꾼, 붉은아가미 칼날턱, 경품 상인, 두뇌아가미, 음료 서버,
- 3코스트 : (그런티의 효과로 제일 마지막에 소환되면 당첨)멀록 전투대장, 시린빛 예언자, 담대한 물감지느러미'''
- 4코스트 : 없음
- 5코스트 : 비성 핀자, 만지느러미 보디빌더, 변이하는 생명체
- 6코스트 : 없음
- 7코스트 : 없음
- 8코스트 : 없음
- 9코스트 : 없음
- 10코스트 : 없음
5.2. 야생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카드/하수인/멀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카드/하수인/멀록#|]][[:분류:하스스톤/카드/하수인/멀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기타
플레이버 텍스트는 스타크래프트2 자유의 날개 시네마틱 거래 영상에서 나온 타이커스 핀들레이의 명대사 패러디.출시 후 야생전이나 투기장에서는 버그로 인해 그런티로 거대지느러미가 소환되는 경우가 포착되었다. 난데없이 7공 하수인이 들이박고 그런티의 전함으로 소환되는 멀록들과 별개로 거수 효과로 4/7 도발 멀록 토큰까지 소환되기 때문에[4] 순식간에 필드가 뒤집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링크, 링크2 거대 지느러미는 무작위 하수인 소환이나 진화 등으로는 생성되지 않는 거수이기 때문에 31.4.3 핫픽스 패치로 더 이상 소환하지 않게 되었다.
7. 둘러보기
| |||||||
| | | |
[1] 뜬금없이 머키가 언급되는 이유는 머키의 스킨 중에 그런티 머키가 있기 때문.[2] 심지어 정규 멀록 풀인 21마리 중 공격력이 1인 멀록 하수인이 5마리로 상당한 확률로 스니드보다도 낮은 피해를 주게 될 수 있다![관련정보글] : 그런티 쿠키, 블록시니 칼리모스 관련.official[4] 소환된 거수는 그런티의 전함으로 직접 소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멀록들과 달리 공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