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트얼룩말 区裸徒駁 | Grant's zebra | |||
| |||
학명 | Equus quagga boehmi Matschie, 1892 |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
강 | 포유강 Mammalia | ||
목 | 기제목 Perissodactyla | ||
과 | 말과 Equidae | ||
속 | 말속 Equus | ||
아속 | 얼룩말아속 Hippotigris | ||
종 | 사바나얼룩말 E. quagga | ||
아종 | 그랜트얼룩말 E. q. boehmi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 그랜트얼룩말 | |
영어 | Grant's zebra | ||
중국어 | 格兰特氏斑马 | ||
일본어 | グラントシマウマ |
1. 개요
기제목 말과의 동물이며 사바나얼룩말의 아종이다. 아프리카 중동부의 초원지대에 서식한다.2. 특징
어깨높이 125cm, 몸무게는 226.5~272kg이다.이 종류의 얼룩무늬는 다른동물이 발견하기 쉬울 것 같지만, 현지 초원에서는 좀처럼 발견되기 어려운 보호색 역할을 한다.
서식지는 탄자니아, 케냐, 르완다,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 동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이며, 넓은 초원에서 수십마리씩 떼를 지어 무리 생활을 하며 사진의 기습에 대처하여 살아간다.
세렝게티 국립공원에서는 누 다음으로 수가 많으며[1] 대이동 기간에는 누와 함께 푸른 목초지를 찾기 위해 세렝게티 국립공원과 케냐 마사이마라 국립공원을 왕복한다. 달리는 속도가 시속 64km 정도다.
천적은 사자, 점박이하이에나, 나일악어다. 그러나 뒷발로 차는 힘이 말보다 매우 세서 큰 천적인 사자가 나타나면 뒷발로 차서 방어를 할 수도 있다.
새끼의 천적에는 치타, 표범, 아프리카들개도 포함된다.
3. 국내 보유 현황
동물원에서 사육하고 있는 얼룩말은 대한민국에선 모두 그랜트얼룩말이며,[2] 전세계적으로는 대부분 이 종이 많다.번식력이 좋아서 암컷과 수컷이 동물원에서 만났을 때도 결혼한 후 짝짓기를 하면 새끼를 낳는 일이 아주 쉽다.
[1] 무려 20만 마리가 서식한다. 누는 대략 100~120만.[2] 2023년 서울어린이대공원 얼룩말 탈출 사건을 일으킨 '세로'도 해당 아종이다. 다만 이 중에 사바나얼룩말의 다른 아종과의 교잡인 개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