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090440> | 말레이시아 의회 원내 구성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왼쪽에서부터 상원 · 하원 의석 수 순서) | |||
| 연립 여당 | ||||
| [[희망동맹|희망동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국민전선(말레이시아)|국민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 [[사라왁 정당연합|사라왁 정당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사바 인민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 기타 정당 및 무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 야당 | ||||
| [[국민연합(말레이시아)|국민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 |||
1. 개요
Barisan Nasional말레이시아의 정당연합으로, 구 동맹당(AP)의 후신이다. 약칭은 BN. 1973년부터 2018년까지는 연립여당이었으며, 현재는 제1 야권연합이다.
현재 구성원은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말레이시아 화인 협회(MCA),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 3당이다. 한때는 10개 넘는 수많은 정당들이 있었으나, 2018년 총선 패배 이후 상당수가 탈퇴하였다.
2. 역사
2.1. 창당 전 (1969년 ~ 1973년)
구 동맹당(AP)은 말레이인을 대변하는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중국인을 대변하는 말레이시아 화인 협회(MCA), 인도인을 대변하는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 3당이 결집해 민족 간 단결을 표방한 연합체였다. 그러나 1969년 총선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고, 누적된 인종 갈등이 폭발하면서 5.13 사건이 발생해 전국이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이를 수습하려 했던 툰쿠 압둘 라만 총리는 급격히 정치적 입지를 잃고, 결국 1년 만에 사퇴했다.1970년 총리에 오른 압둘 라작은 정국 안정과 여권 재편을 위해 연합 확대 구상을 추진했다. 기존 동맹당의 이미지만으로는 더 이상 국민적 지지를 얻기 어렵다는 위기감 속에서, 그간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던 군소정당인 민중운동당(GERAKAN)과 인민진보당(PPP)이 세력 확장을 위해 합류를 결정했다.
애초에는 이렇게 5당 체제 구축이 유력했으나, 말레이·이슬람 대표성을 강화하려던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이 최종적으로 참여를 선택하면서, 확대된 연합 구도가 갖추어졌다.
2.2. 창당과 전성기 (1973년 ~ 2008년)
1973년 1월 1일, 압둘 라작은 동맹당의 공식 해체와 함께 새로운 여권 연합의 출범을 선언했다. 이 연대는 국민전선(BN)이라는 이름을 채택했고, 상징은 평등을 의미하는 저울을 채택했다. 약 1년 반 동안 비공식 정당 연합으로 활동한 뒤, 1974년 6월 1일 선거위원회에 정식 등록을 마치며 명실상부한 집권 연합으로 자리 잡았다.초기의 BN은 말라야를 중심으로 했지만, 라작 총리는 합류한 지 10여 년이 지난 사라왁과 사바에서도 세력 확장을 꾀했다. 마침 중앙정부와 협력 관계를 모색하던 현지 정당인 통일원주민유산당(PBB), 사라왁 통일인민당(SUPP), 사바 동맹당(SAP) 등이 속속 합류하면서 연합은 더욱 확대되었다.
겉보기에는 순항하는 듯했으나, 보수적 성향이 강한 클란탄 주에서 PAS가 지역 기반을 쥐고 있던 것이 문제였다. UMNO와 PAS의 갈등이 결국 수면 위로 드러났고, 1977년 총선을 앞두고 PAS는 연합에서 축출되었다. 일시적으로 위기가 온것처럼, BN은 총선에서 오히려 대승을 거두며 정치적 우위를 공고히 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클란탄 기반을 상실한 탓에, 이후 1990년대 들어서는 이 지역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1980년대에는 사바 통일당(PBS) 등이 새로 합류했으나, 내부 갈등과 탈퇴·축출 같은 소동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 결과에는 큰 타격이 없었고, BN의 장기 집권 구도는 흔들리지 않았다. 1987년에는 당권 경쟁에서 밀려난 틍쿠 라잘레이 함자가 46년 정신(S46)을 창당해 도전장을 내밀었고, 퇴임 후 UMNO와 각을 세우던 툰쿠 압둘 라만 전 총리마저 S46을 지원하면서 정계에 파문을 일으켰지만, 결국 찻잔 속 태풍에 그쳤다. S46은 선거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UMNO에 흡수되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냉전 종식과 아시아 금융위기 등 외부 악재가 잇따랐으나, BN의 지배 체제는 여전히 굳건했다. 1998년 부총리 안와르 이브라힘의 실각과 그 일가를 중심으로 한 인민정의당(PKR) 창당, 그리고 야권의 맏형 격이던 민주행동당(DAP)과의 연대가 이루어지면서 다시 한번 위기론이 대두했지만, 현실 정치에 미치는 파장은 제한적이었다. 오히려 야권은 끊임없는 분열과 갈등으로 힘을 소진했고, 2004년 총선에서는 역사상 최악의 참패를 기록했다. 이 선거에서 BN은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2.3. 붕괴의 시작 (2008년 ~ 2018년)
2008년은 안와르의 집행 유예가 종료되는 해였고, 총선이 바로 몇달 전에 치러졌다. 그래봤자 BN의 승리였지만...선거를 앞두고 DAP와 PKR이 구 BN의 구성원이었던 PAS를 끌어들여 인민동맹(PR)을 결성했고, 안와르의 복귀 문제를 두고 일어난 지지자들의 결집 + DAP를 불안하게 여기던 말레이인의 공포심이 PAS를 통해 사그라들면서 PR이 개헌 저지선을 넘기는 데 성공했다. 그간 원내 ⅔ 이상의 의석은 무난하게 차지하던 BN으로서는 참패나 다름 없었으며, 이 사태로 압둘라 아마드 바다위 총리가 사임했다.
2009년 압둘 라작의 아들인 나집 라작이 총리에 취임했다. 나집은 기존의 부미푸트라 정책의 완화 및 1Malaysia를 통한 민족 간의 단결로 표심 확장과 당 쇄신을 위해 힘썼으나, 나날이 갈수록 강해지는 PR의 영향력을 정면으로 이겨야 하는 커다란 위기를 맞이하였다.
그럼에도 2013년 총선은 BN의 견고한 승리로 끝났지만... 의석 수가 감소한 것은 그렇다 쳐도 득표율이 PR에 뒤지면서 BN이 사상 처음으로 득표율 1위에 실패하는 굴욕 of 굴욕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나마 위안거리라면 당초 여론조사에서 PR이 1위를 기록했던 것과는 달리 일단 정권을 유지했다는 점이다.[1]
여하튼 나집 총리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되었지만, 이 사건의 여파가 가시지 않았으며 이어 안와르가 재수감되면서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게다가 2015년 중후반 무렵 일명 1MDB 게이트가 수면 위로 오르기 시작하면서 지지율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비당권파가 축출되는 등 혼란이 가속화되기 시작했다.[2] 하지만 PR이 또 내분을 겪다가 와해되고, 2016년 사라왁 주 지방선거에서 BN이 초압승을 거두면서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되었다.[3]
그리고 이 상태에서 2018년 총선을 맞이하게 된다.
2.4. 2018년 총선과 몰락
DAP, PKR이 통일원주민당(PPBM)[4] 및 국민신뢰당(PAN)[5]과 새로 연대해 희망동맹(PH)이라는 신야권연합을 결성했으며 마하티르 전 총리를 총리 후보로 내세우는 파격 행보를 보였으며, 지지율 면에서 BN을 살짝 앞서는 등 PH에 유리한 구도가 형성되는 듯 싶었으나, 2013년 총선의 선례가 있었으며 역으로 PAS와의 결별, 각종 논란에도 BN의 무난한 승리 등 선거 자체는 BN에게 철저하게 유리했다. 오히려 PH는 90대로 초고령인 마하티르를 총리 후보로 입후보한 것 등에서 상황이 편하지 않았고, 언제 또 불거질지 모르는 내분 문제 등으로 승리는커녕 일각에서는 아예 참패 여론이 일치감치 제기되기도 했다.그러나 PH가 제노포비아적 국민성을 노려 외노자 추방 등 노골적인 포퓰리즘 공약을 내세워 유권자들을 자극하기 시작했고, 이어 BN이 스캔들 논란 등으로 불안에 빠지자 이 때다 싶어 가짜뉴스를 남발하면서 유권자들을 선동하기 시작했다. 반면 BN은 본인들에게 유리한 구도가 형성되었다 싶어 안일하게 임했는데, 즉 빼도 박도 못 하는 자만이었다. PAS가 PR에서 이탈한 후로 시너지 효과가 사라졌다는 생각에 빠진 BN은 혹시나 하는 불안에 일부를 중심으로 PAS를 다시 끌어들이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그래도 이길 것"이라는 자만감에 빠져 이에 소극적으로 대처했으며, 심지어 잦은 야권발 가짜뉴스에 이를 막는다 치고 "가짜뉴스 방지법"을 제정했으나, 이마저도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2013년 총선의 선례가 있었던 나머지, "득표율은 뒤져도 우리가 이긴다"는 생각에만 가득차 있었다.
하지만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총선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사례처럼 자만은 화를 부르는 법이라는 사실을 끝내 알아채지 못했다.
결국 2018년 5월 9일 총선에서 121:79로 BN은 사상 유례 없는 참패를 당하고 만다. 개표 초반만 해도 예상대로 BN이 앞서면서 예상이 맞아 떨어지는 듯 싶었으나, 선거 중반 쯤 PH가 앞서기 시작하면서 분위기가 혼란에 빠지기 시작했고, 막판에는 PH가 크게 리드하기 시작하면서 전국이 혼란에 빠지기 시작했다.
2.5. 분열 및 몰락 (2018년 ~ )
구 동맹당 시절까지 합쳐 무려 61년간 정권을 유지해온 국민전선(BN)은 안일하게 상황을 바라보다가 결국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패배를 맞이하고 만다.
물론 의석 수 감소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다만 당시 전망은 가까스로 과반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의 참여와 지지를 확보해 정권을 연장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결과는 전혀 달랐다.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는 단독으로는 여전히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고, 의원내각제 국가인 말레이시아에서는 제1당이 우선적으로 정부 구성권을 갖기 때문에 UMNO는 정부 재구성에 나섰다. 하지만 다당제가 뿌리 깊은 말레이시아에서, 정당연합 전체를 기준으로 하면 범야권 연합인 희망동맹(PH)이 사실상의 제1당이었기 때문에 정부 구성권은 결국 PH에 넘어갔다. 이로써 PH의 총리 후보였던 마하티르 빈 모하맛이 총리에 취임하면서 BN 정권은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총선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BN의 몰락은 더 선명해진다.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단 한 명의 의원도 배출하지 못했고, 함께 열린 주별 선거에서도 상당수 주가 PH의 손에 넘어갔다. 느그리슴빌란 주의 경우 UMNO가 원내 제1당 자리를 유지했음에도 과반은 PH가 차지하여 정권을 잃었고, 믈라카·조호르·페락 등 그동안 BN이 장악하던 말라카 해협 연안 주들 역시 모두 PH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마하티르의 연고지이자 신당 PPBM의 창당으로 기반이 무너진 크다에서는 특히 참담한 패배를 겪었다.
사바 주의 경우, 애초에는 29:29 동률로 정권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었고, 제프리 키팅안 당선자의 BN 합류로 무사 아만 주수상의 연임이 확실시되는 듯했으나, 지역 여론의 강한 반발로 합류가 철회되며 정국 혼란이 이어졌다. 최종적으로 BN은 퍼를리스, 파항, 사라왁 3개 주만 가까스로 지켜냈으며, PH 지역구였던 트렝가누는 PAS로 넘어가고 말았다.
앞서 언급했듯이 당시 BN은 여러 호재 덕분에 승리가 유력할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실제 선거 결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충격적인 것이었다. 결정적인 패인은 PH 이전 범야권연합인 PR에서 이탈한 PAS를 끌어들이지 못한 데 있었다. 독자 노선을 택한 PAS는 곳곳에서 표를 잠식하며 BN의 발목을 잡았다. 그 결과 다수 선거구에서 PH 후보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득표율로 당선되는 사례가 속출했고, BN 후보들은 PAS가 대략 10~20%의 표를 분산시킨 탓에 낙선하는 일이 이어졌다. 문제는 쿠알라룸푸르 티티왕사 선거구의 조하리 압둘 가니 의원 등 UMNO의 핵심 인사들마저 이 흐름에 휘말려 패배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 차세대 주자로 꼽히던 인물들까지 대거 정치적 타격을 입게 되었다.
그나마 UMNO는 50석 이상을 얻어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했고, 통일원주민유산당(PBB)도 20석 안팎을 확보했지만, 그 외 정당들은 3석을 넘기지 못하며 사실상 붕괴했다. 민중운동당(GERAKAN)은 아예 원외 정당으로 추락했고, 말레이시아 화인 협회(MCA)는 현역 의원 위 카시옹 한 명만 가까스로 당선되는 데 그쳤다.
선거 참패 이후 BN의 분열은 급속히 진행되었다. 일부 BN 소속 주의원들이 PH로 이적했고, 본래 BN의 일원이던 UPKO는 아예 PH에 합류했다. 이는 사바 정국의 판도를 바꾸는 결정타가 되었고, 결국 사바마저 PH로 넘어갔다. 이어 사바 지역 정당인 PBS 등도 연이어 탈퇴했으며, 이들은 PH에 합류하지는 않았으나 별도로 통합사바연맹(USA)을 결성하며 새로운 연대의 움직임을 보였다.
6월 12일에는 사라왁 지역 정당들이 탈퇴를 선언하면서, 사라왁에서 BN은 사실상 붕괴했다. 사라왁은 원래 UMNO, MCA, MIC같은 BN 주요 정당들이 뿌리내리지 못하고 PBB 등 BN을 지지하는 지역 정당 중심으로 운영되던 곳이었는데, 이들마저 탈퇴하면서 BN의 기반은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이들은 사라왁 정당연합(GPS)을 창립하여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 결국 이어 6월 23일, 마지막 다민족정당이던 GERAKAN마저 탈퇴를 선언하면서 BN은 결국 원래의 동맹당(AP) 체제로 되돌아간 꼴이 되었다.
2.6. 미래?
BN의 빠른 분열로, 얼마 못 가 BN 자체가 와해될 것이라는 설도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아예 구성원들이 PAS를 포함한 조화의 힘(GS)에 가맹하거나, 또는 새로운 연대를 조직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물론 지켜봐야 하지만.결국 2022년 총선에서 전체 222석 중 단 30석 획득에 그친, 역사상 최악의 패배를 기록했다. 각각 82석과 74석을 차지한 희망동맹(PH)와 국민연합(PN)에 크게 뒤지는 결과였고, 정당 연합 내 주요 인사들이 자신들의 지역구에서 줄줄이 패해 낙선했다. 그래도 의회 과반을 차지하는 세력이 없는 헝 의회(hung parliament)가 되면서 BN은 결국 1당이 된 희망동맹과 대연정을 구성하기로 합의했고, 이에 따라 한때의 숙적이었던 안와르 이브라힘을 총리로 지지하는 대가로 새 정부 내 각료직을 보상으로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