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03:46:09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의원회


국립치의학 연구원 대구 유치위원회
대구광역시 치과의사회 (회장 : 박세호) 산하 위원회로 구성됨
설립일 : 2014년 3월
위원장 : 이원혁
홈페이지 : https://xn--2e0bb075g6imb6aixn27a4tn.com/

설립 : 대구광역시 치과의사회에서 2014년 3월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위원회를 발족. 현재까지 10여 년간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법안의 국회 통과와 국립치의학연구원의 대구 유치를 목표로함.


1. 개요


- 국립치의학연구원이란 국책 연구기관으로써 구강보건 및 치의학 정책의 방향을 수립하고 의료기술 등의 연구를 진행하며 치의학 산업의 육성과 진흥 방안을 조사하고 지원하는 기관
-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기본 방향 및 목표
1) 치의학 분야의 대규모 융합연구 및 국제적 해결
2) 국내 연구역량을 집결하여 융합형 원천기술의 선점 및 네트워크 형성
3) 수요자 중심의 연구를 통해 신산업 창출의 기반 구축
4)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국민 삶의 질 향상
5) 치과 산업 관련 미래 선도형 신산업 창출을 통해 국가 성장 동력 확보
6) 국민 구강질환 극복을 통한 복지사회를 실현
-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시 유치를 위한 타당성과 기대효과
1) 대구시는 국립치의학연구원의 최적지로서, 전국 최고의 교통 요충지로 탁월한 접근성을 가지며, 풍부한 치과관련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경북대 치과대학/치과병원을 포함하는 우수한 연구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치과관련 산업 육성의 강력한 의지가 있음
2) 치과서비스 선진화를 통하여 치과병원과의 연계를 통한 의료관광을 활성화하고, 지역 내 대학 및 연구단지와 공동 연구수행으로 맞춤식 인력을 양성하고 취업을 증진함으로써 지역 균형개발을 실현
3) 대경광역경제권의 한 축으로서 치과의료산업의 구심점을 확보하여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고 첨단치과의료산업을 주축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하여 국제 치과의료 산업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음
이에 대구광역시 치과 의사회는 2014년 3월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위원회를 발족시킨 후 현재까지 10여 년간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법안의 국회 통과와 국립치의학연구원의 대구 유치에 노력하고 있음.
2. 대구 유치위원회 활동
- 2014년 4월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위원회 출정식
- 2014년 5월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후보 캠프 방문
- 2014년 6월 국립치의학연구원 회의(국립치의학연구원 동영상 제작 관련 회의)
국립치의학연구원 대시민 홍보(전단지 및 기념품 제공)
- 2014년 8월 김부겸 국회의원과 간담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미래비전위원회 연석회의
- 2014년 11월 첨단의료복합단지 방문 -> 제반 시설 탐방
- 2015년 11월 영남권(대구,부산,울산,경북,경남) 치과의사회에서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 지지 성명
- 2015년 1월 영남권 치과계(치과의사회, 치과기공사회, 치과위생사회, 치과기재산업회)에서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지지 성명
-2015년 5월 국립치의학연구원 관련 강연회 개최
-2015년 8월 대한치과의사협회, 대구광역시 관계자 회의
-2015년 12월 공청회 개최
-2016년 6월 대한치과의사협회장 및 언론기관 관계자등 첨단의료복합단지 방문
-2017년 5월 제2기 국립치의학연구원 추진위원회 발족
-2017년 6월 김철수 대한치과의사협회장, 김상훈 의원 간담회
-2018년 4월 국립치의학연구원 회의(신,구 위원 간담회)
-2018년 6월 대시민 홍보
-2018년 7월 국립치의학연구원 회의
-2018년 11월 대구시 치과의료산업 발전 심포지엄 개최
-2020년 2월 박세호 위원장 영남일보 기고
-2020년 5월 제3기 국립치의학연구원 추진위원회 발족
-2020년 7월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위원회 회의
-2020년 10월 대구시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2020년 11월 강대식 국회의원과 간담회
-2021년 2월 홍준표 국회의원과 간담회
-2021년 5월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위원회 회의
-2021년 7월 대시민 홍보
-2021년 10월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위원회 회의
-2021년 11월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 보고서 발표회 개최
-2022년 5월,6월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위원회 회의
-2022년 7월 대시민 홍보
-2022년 8월 대구시 의료산업 과장 및 관계자 간담회
-2023년 2월 대구시 의료산업 과장 및 관계자 간담회
-2023년 7월 대시민 홍보
-2023년 7월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를 위한 대구광역시장, 윤재옥 당대표, 홍석준 국회 의원, 강대식 국회의원 간담회
-2023년 8월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의원등 약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치의학 연구원 유 치 왜 덴탈시티 대구인가’ 라는 주제로 국민의힘 조명희의원과 대토론회 공동개최
-2023년 9월 기자 간담회
-2023년 10월 대시민 홍보
-2024년 1월 대구시와 공동으로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 추진위원회 발대식 개최
-2024년 3월 대만 타이난 치과의사회 지지 서명서 접수
-2024년 3월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장과 간담회
-2024년 3월 실무 TF 회의 개최
-2024년 4월 신동철 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정무비서관과 간담회
-2024년 4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및 관계자 간담회
-2024년 4월 대구 국제 마라톤 대회에서 대시민 홍보
-2024년 4월 강대식 국회의원과 간담회


3. 대구의 강점
1) 전국 최고의 교통요충지로 탁월한 접근성
국제공항(신공항 개통 예정), 6개의 고속도로, KTX, SRT등
교통시설 완비 (권역별 대도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망 구축)
전문 인력의 정주여건 탁월
2) 풍부한 치과관련 산업
42개 사, 매출 5,493억원, 전체 치과의료 수출액 30%,
대구경북 의료산업의 40%
:메가젠, 덴티스, 스누콘, 세양, 세신정밀, 덴토스, 하이니스 등
국내매출 상위 11개 기업중 4곳이 대구에 기반
관련 기업 종사자 수 2,240명 전국 3위 (서울, 경기, 대구 순)
국내 10대 임플란트 기업: 메가젠(3위), 덴티스(7위), 스누콘(8위)
의료용 핸드피스 생산96%, 수출의 98% 차지 : 세양, 세신정밀 등
3) 의료산업 관련정책 "메디시티, 덴탈시티 대구"
10년이상 지속된 일관성 있는 치과 산업 육성 정책(치과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미래
대비)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의료도시 부문 8년 연속 선정
문체부 주관 의료관광클러스터사업 3년 연속 전국1위
대구의료관광 프로그램 비수도권 최초 외국인 3만명 돌파
치과의료 관광유치 비수도권 1위
비수도권 최대규모의 보건의료산업전시회 메디엑스포코리야' 매년개최
4) 공동연구가 가능한 우수한 연구센터/기반 보유
첨단의료복합단지, DGIST, 뇌연구원, 포스텍
경북, 영남, 계명, 대구가톨릭대학교 : 10개의 의료관련 대학 집적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병원
MRC 사업평가 전국1위
치과대학 내 6개 연구소 (첨단치과의료기기개발연구소,
경조직 바이오 치아재생연구소 등)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13개
대구경북첨복단지 중심 풍부한 유관 기관들이 클러스터 형성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전임상센터, 첨단임상시험센터,
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 뇌연구원 등)
5) 풍부한 사업화 지원 인프라보유
치과용 의료기기 벤처기업 36개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의료기기 융합기술 개발/지원 기관
한국메디벤처센터 소재 (메디밸리창업지원센터, 메디스타트업 파크)
치과 의료기기 벤처기업 비수도권 최다
치의과학 투자 국가연구개발비 비수도권 2위, 기업주관 국가연구개발비 비수도권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