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6:47:21

국가행정조직/독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독일 정부]]{{{#!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국가행정조직]]{{{#!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독일 정부 문장.svg
독일연방공화국 행정각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독일 총리기.svg 연방총리
연방방위부 연방법무부 연방재무부
연방군군수청
연방군항공청
연방군사관학교
연방법무청
특허청
연방재정법원
연방행정법원
연방특허법원
연방금융감독청
연방금융시장청
연방부동산청
연방국세청
관세총국
연방정보기술원
연방내무부 외무청 연방농무부
연방행정청
연방형평청
연방통계청
연방방재청
연방난민청
연방주택부 연방경제부 연방보건부
연방건설청
연방담합청
연방시설청
연방통상청
연방교육부 연방운수부 연방사회부
연방환경부 연방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 연방대외경제원조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서독 · 동독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브레멘(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DAX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KSM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파일:독일 연방정부 로고.svg
독일 연방정부 로고[1]

1. 개요2. 연방행정조직
2.1. 연방총리 산하조직2.2. 연방대통령 산하조직2.3. 연방 내각2.4. 사라진 연방행정조직

1. 개요

독일 정부서독 정부가 1949년에 수립되면서 세워진 직제를 계승하고 있는데, 이 때 서독 정부의 구성은 대체로 19세기독일 제국 시절의 부처명을 요리조리 빼다가 만든 것이라 사실상 독일 제국바이마르 공화국 행정부의 시즌 2다.

2. 연방행정조직[2]

2.1. 연방총리 산하조직

2.2. 연방대통령 산하조직

  • 연방대통령청 (Bundespräsidialamt / BPrA)

2.3. 연방 내각

  • 연방방위부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 BMVg)
    • 군사방첩국 (Militärischer Abschirmdienst / MAD)
    • 연방군작전지도사령부 (Einsatzhrungskommando der Bundeswehr / EinsFüKdoBw)
    • 연방군사관학교 (hrungsakademie der Bundeswehr / FüAkBw)
    • 연방군항공청 (Luftfahrtamt der Bundeswehr / LufABw)
    • 연방군기획청 (Planungsamt der Bundeswehr / PlgABw)
    • 연방군국토방위사령부 (Territoriales hrungskommando der Bundeswehr / TerrFüKdoBw)
    • 윤리후생교육원 (Zentrum Innere hrung / ZInFü)
  • 연방법무부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 BMJ)[4]
    • 연방법무청 (Bundesamt für Justiz / BfJ)
    • 연방검찰청(Der Generalbundesanwalt beim Bundesgerichtshof / GBA)[5]
    • 독일특허청 (Deutsches Patent- und Markenamt / DPMA)
    • 연방재정법원 (Bundesfinanzhof / BFH)
    • 연방일반법원 (Bundesgerichtshof / BGH)
    • 연방특허법원 (Bundespatentgericht / BPatG)
    • 연방행정법원 (Bundesverwaltungsgericht / BVerwG)
  • 연방재무부 (Bundesministerium der Finanzen, BMF)[6]
    • 연방금융감독청 (Bundesanstalt für Finanzdienstleistungsaufsicht / BaFin)
    • 연방금융시장청 (Bundesanstalt für Finanzmarktstabilisierung / FMSA[7])
    • 연방부동산청 (Bundesanstalt für Immobilienaufgaben / BImA)
    • 관세총국 (Generalzolldirektion / GZD)
    • 연방국세청 (Bundeszentralamt für Steuern / BZst)
    • 연방정보기술원 (Informationstechnikzentrum Bund / ITZBund)
  • 연방내무부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und für Heimat, BMI)
    • 연방행정청 (Bundesverwaltungsamt, BVA)
    • 연방헌법수호청 (Bundesamt für Verfassungsschutz, BfV)
    • 연방경찰청 (Bundespolizei, BPOL)
      • 연방경찰본부 (Bundespolizeipräsidium, BPOLP)
      • 연방경찰대학 (Bundespolizeiakademie, BPOLAK)
    • 연방형사청 (Bundeskriminalamt, BKA)
    • 연방형평청 (Bundesausgleichsamt, BAA)
    • 기술지원단 (Bundesanstalt Technisches Hilfswerk, THW)
    • 연방이민난민청 (Bundesamt für Migration und Flüchtlinge, BAMF)
    • 연방통계청 (Statistisches Bundesamt, StBA)
    • 연방방재청 (Bundesamt für Bevölkerungsschutz und Katastrophenhilfe, BBK)
    • 연방정보기술안전원 (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BSI)
    • 연방기밀업무기관디지털통신국 (Bundesanstalt für den Digitalfunk der Behörden und Organisationen mit Sicherheitsaufgaben, BDBOS)
    • 중앙보안정보기술청 (Zentrale Stelle für Informationstechnik im Sicherheitsbereich, ZITiS)
    • 연방측지처 (Bundesamt für Kartographie und Geodäsie, BKG)
    • 연방중앙서비스및미해결자산문제관리청 (Bundesamt für zentrale Dienste und offene Vermögensfragen, BADV)
    • 연방조달청 (Beschaffungsamt des BMI, BeschA)
    • 연방정치교육원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bpb)
    • 연방행정대학 (Hochschule des Bundes für öffentliche Verwaltung, HS Bund)
    • 연방인구연구원 (Bundesinstitut für Bevölkerungsforschung, BiB)
    • 연방스포츠과학연구원 (Bundesinstitut für Sportwissenschaft, BiSp)
  • 연방경제부(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Klimaschutz, BMWK)[10]
    • 연방담합청 (Bundeskartellamt, BKartA)
    • 연방시설청 (Bundesnetzagentur[11], BNetzA)
    • 연방소재연구소 (Bundesanstalt für Materialforschung und -prüfung, BAM)
    • 연방물리연구소 (Physikalisch-Technische Bundesanstalt, PTB)
    • 연방지질연구소 (Bundesanstalt für Geowissenschaften und Rohstoffe, BGR)
    • 연방통상청 (Bundesamt für Wirtschaft und Ausfuhrkontrolle, BAFA[12])
    • 독일통상투자 (Germany Trade and Invest, GTAI)[13]
  • 연방사회부 (Bundesministerium für Arbeit und Soziales, BMAS)
  • 연방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BMFSFJ)
    • 연방가족및시민사회과제수행청 (Bundesamt für Familie und zivilgesellschaftliche Aufgaben, BAFzA)
    • 연방유소년보건보호국 (Bundeszentrale für Kinder- und Jugendmedienschutz, BzKJ)
    • 연방반차별기관 (Antidiskriminierungsstelle des Bundes, ADS)
    • 아동성학대문제독립위원회 (Unabhängige Beauftragte für Fragen des sexuellen Kindesmissbrauchs, UBSKM)
    • 연방정부퀴어위원회 (Queer-Beauftragter der Bundesregierung) - 2022년 1월 신설
    • 연방정부반집시주의위원회 (Antiziganismusbeauftragter der Bundesregierung) - 2022년 5월 신설, 집시에 대한 차별에 대항하는 위원회로써 신설되었다.
    • 가정학자문위원회 (Wissenschaftlicher Beirat für Familienfragen)
    • 양육근로양립자문위원회 (Unabhängiger Beirat für die Vereinbarkeit von Pflege und Beruf)
    • 산모보호위원회 (Ausschuss für Mutterschutz)
    • 연방자원봉사자문위원회 (Beirat für den Bundesfreiwilligendienst)
    • 연방청소년정책이사회 (Bundesjugendkuratorium)
  • 연방환경자연보호핵안전소비자보호부 (Bundesministerium für Umwelt, Naturschutz, nukleare Sicherheit und Verbraucherschutz, BMUV)
  • 연방농무부 (Bundesministerium für Ernährung und Landwirtschaft, BMEL 또는 BML)
  • 연방대외원조부 (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liche Zusammenarbeit und Entwicklung, BMZ)
  • 연방보건부(Bundesministerium für Gesundheit, BMG)
  • 연방운수부(Bundesministerium für Digitales und Verkehr, BMDV)
  • 연방교육부(Bundesministerium für Bildung und Forschung, BMBF)
  • 연방주택부 (Bundesministerium für Wohnen, Stadtentwicklung und Bauwesen, BMWSB)
    • 연방건설청 (Bundesamt für Bauwesen und Raumordnung, BBR)
  • 연방특임장관[14] (Bundesminister für besondere Aufgaben)

2.4. 사라진 연방행정조직

  • 연방하원사무부 Bundesministerium für Angelegenheiten des Bundesrates (1949 ~ 1969)
  • 연방실향민, 난민, 전쟁피해자부 Bundesministerium für Vertriebene, Flüchtlinge und Kriegsgeschädigte (1949 ~ 1969)
  • 연방내독부 Bundesministerium für innerdeutsche Beziehungen (1949 ~ 1991) : 대한민국통일부와 같은 역할을 한 부서이다.
  • 연방재무부 Bundesschatzministerium (1949 ~ 1969)
  • 연방체신부 Bundesministerium für Post und Telekommunikation (1949 ~ 1997) : 도이체 텔레콤, 도이체 포스트 민영화로 떨어져 나갔다.

[1] 대한민국 정부상징처럼 모든 부처가 동일한 상징을 사용하고 있다.[2] 나치 독일 시절까지는 부서명 앞에 연방(Bundes)이 아닌 제국(Reich)이 붙었다. 여기서 중앙정부 고유의 업무를 맡는 기관(외무청 등)은 연방 혹은 제국이 붙지 않는다.[3] 대한민국대통령실에 해당하는 조직이다. 독일 대통령실권이 없어 연방대통령청이 한국의 국무조정실 급이다.[4] 2013년부터 업무에 소비자 보호를 포함하여 연방법무소비자보호부(Bundesministerium der Justiz und für Verbraucherschutz / BMJV)로 불렸으나, 숄츠 내각 이후 소비자 보호는 환경부로 이관되었다.[5] Bundesanwaltschaft라고도 하는데, 이 단어가 GBA(연방대법원 산하 연방검찰청)보다 더욱 연방검찰청이라는 의미에 가까운 단어인지라 현지 언론 등에서는 GBA 대신 Bundesanwaltschaf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6] 기획재정부장관이 경제부총리를 겸하는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데, 차이가 있다면 한국의 경제부총리는 사실상 기획재정부장관이 맡도록 고정된 직책인 반면 독일의 연방부총리는 재무부장관 말고도 타 부처 장관이 임명될 수 있다.[7] 약칭은 2009년 7월 23일까지 사용한 이름인 Finanzmarktstabilisierungsanstalt(금융시장안정청)에서의 약칭을 사용하고 있다.[8] 연방의 부급 기관 중 유일하게 연방(Bundesminister)이 붙지 않는다. 외교권은 연방정부만의 권한이며, 따라서 주정부에는 외무부처가 없으므로 굳이 연방을 덧붙이지 않는 것.[9] 또한 연방의 부급 기관 중 유일하게 기관명이 (Ministerium)가 아닌 (Amt)이다. 이는 1870년 북독일 연방 시절에 창설될 때부터 사용하던 기관명을 현재까지 고수하는 것으로, 외무청은 연방내각에서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는 부처이기 때문에 그 역사성을 인정받아 예외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외무청보다 7년 늦게 창설되었지만 역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내무청, 재무청, 법무청은 예외 없이 현재 모두 '부'로 개칭되었다.[10] 2013년에 연방경제에너지부(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Energie, BMWi)란 이름으로 바뀌었으나 숄츠 내각 이후 기후보호 업무가 붙으면서 연방경제기후보호부가 되었고, 에너지 관련 업무의 일부는 BMU로, IT 기술관련 업무는 BMDV로 이관되었다.[11] 전체 명칭은 연방전력가스철도통신시설망청(Bundesnetzagentur für Elektrizität, Gas, Telekommunikation, Post und Eisenbahnen)이다.[12] 약칭은 통합 전 기관 중 하나인 연방통상청(Bundesausfuhramt, BAFA)의 약칭을 계속 쓰고 있다.[13] 독일어가 아닌 영어인 이유는 이 기관은 독일 내 투자 및 무역에 관한 정보 제공 및 마케팅을 수행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14] 무임소장관이므로 기본적으로는 담당 부처가 없다.